MARC보기
LDR02361nam ac200253 k 4500
001000000284913
001000000284913
00520140819104324
007ta
008140310s2010 ulk z e a kor
020 ▼a 9788993599497: ▼c \79000
040 ▼a 247004
056 ▼a 512 ▼2 5
1001 ▼a 김혜영
24510 ▼a (가정전문간호사를 위한) 간호과정 ▼h [전자책]// ▼d 김혜영.
256 ▼a e-Book
260 ▼a 서울:: ▼b 포널스,, ▼c 2010;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300 ▼a 27,145k: ▼b 천연색.
516 ▼a XDF
520 ▼a 가정전문간호사가 독자적으로 효율적인 가정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호수행의 순서와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간호과정의 지속적인 적용이 필요합니다. 가정전문간호사는 간헐적인 방문만으로 환자의 건강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환자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뿐 아니라 환자를 돌보는 가족과 거주하는 환경이 환자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함께 사정하여 간호진단을 도출하고 가정간호계획을 수립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가정간호계획에 따라 목표달성을 위한 전문적 간호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평가하면서 간호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가정간호 대상자들은 기존의 질환 외에 합병증 발생으로 인해 복잡하고 전문적인 치료를 받고 있거나, 더 이상의 치료방법이 없어 대증치료를 받고 있는 노인들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신 의료기술 및 첨단 의료장비 개발로 인해 가정간호 현장에서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 및 새로 개발된 기계와 의료용품 적용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사회 재가간호의 서비스 제공기관이 다양해지고 다학제 팀 접근으로 전문화 되면서 가정전문간호사에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 및 정보에 대한 요구와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의뢰와 연계 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면서 효율적으로 환자를 관리하기 위해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가정간호 수행을 선택하여 수행하고 평가하는 간호과정을 끊임없이 적용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출판된 간호과정은 병원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가정간호에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습니다. 저자는 이를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가정간호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호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가정간호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호과정으로 저자의 가정전문간호사로서의 실무 및 교육경험과 현장에서 가정전문간호사들이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전문적 간호수행을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653 ▼a 간호학/ ▼a 가족간호학
7761 ▼a 김혜영 / ▼t (가정전문간호사를 위한) 간호과정, ▼z 9788993599497
85640 ▼u http://ebook.dhu.ac.kr/Content_Check.asp?barcode=3101B521-980C-482a-914E-7EACA315983F
950 ▼b \79000
991 ▼a 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