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0000nam c2200205 k 4500
001000000370818
00520161227135626
008161010s2009 tjka b 000c kor
020 ▼a 9788963251646 ▼g 93600
040 ▼a 247004 ▼c 247004 ▼d 247004
056 ▼a 911.0025 ▼2 6
090 ▼a 911.0025 ▼b 국립문하 ▼c V.5
110 ▼a 국립문화재연구소
24510 ▼a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n 5/ ▼d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4611 ▼a Methods and practices in Korean archaeology
260 ▼a 대전: ▼b 국립문화재연구소, ▼c 2009.
300 ▼a 437 p.: ▼b 삽도; ▼c 23 cm.
504 ▼a 서지적 각주 및 참고문헌 수록
5050 ▼a 고분과 고대사회 / 권오영. - 장제와 묘제의 의미 / 이성준. - 영남지역의 토광묘 / 이재현. - 호남·호서·경기지역의 토광묘 / 성정용. - 삼국시대 석곽묘의 연구와 조사방법 / 이주헌. - 횡혈식석실묘의 조사방법 / 홍보식. - 적석목곽묘의 적석봉토분의 이해 / 김용성. -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의 조사와 연구 / 이정호. - 분구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 김승옥. - 일본의 고분 조사·연구 방법 / 히가시 노리아끼 (東憲章). - 고분 부장품의 해석 / 서현주. - 고대 분묘 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김동숙. - 한반도 묘제에 반영된 외래요소의 해석 / 김낙중. - 매장인골의 수습과 정리 / 김재현.
7001 ▼a 권오영
7001 ▼a 이성준
7001 ▼a 이재현
7001 ▼a 성정용
7001 ▼a 이주헌
7001 ▼a 홍보식
7001 ▼a 김용성
7001 ▼a 이정호
7001 ▼a 김승옥
7001 ▼a 동헌장
7001 ▼a 서현주
7001 ▼a 김동숙
7001 ▼a 김낙중
7001 ▼a 김재현
740 ▼a 고분과 고대사회
740 ▼a 장제와 묘제의 의미
740 ▼a 영남지역의 토광묘
740 ▼a 호남·호서·경기지역의 토광묘
740 ▼a 삼국시대 석곽묘의 연구와 조사방법
740 ▼a 횡혈식석실묘의 조사방법
740 ▼a 적석목곽묘의 적석봉토분의 이해
740 ▼a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의 조사와 연구
740 ▼a 분구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740 ▼a 일본의 고분 조사·연구 방법
740 ▼a 고분 부장품의 해석
740 ▼a 고대 분묘 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740 ▼a 한반도 묘제에 반영된 외래요소의 해석
740 ▼a 매장인골의 수습과 정리
90010 ▼a 히가시 노리아끼
9501 ▼a 비매품 ▼b \13000
990 ▼a ***1808702 ▼b ***1808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