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1711nam k200289 k 4500
001000000375592
00520170414132418
008170328s2016 ulka 000a kor
020 ▼a 9788956294131: ▼c \112,000
040 ▼a 247004 ▼c 247004 ▼d 247004
056 ▼a 517.1 ▼2 5
1001 ▼a 이혜영
24510 ▼a 간호와 보건의료정책= ▼x Policy in nursing & health care ▼h [전자책]/ ▼d 이혜영,; ▼e 조미영,; ▼e 김윤주,; ▼e 박금주,; ▼e 문재우 편저.
256 ▼a e-Book
260 ▼a 서울: ▼b 계축문화사, ▼c 2016;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2016).
300 ▼a 전자책 1책: ▼b 천연색.
516 ▼a IMGB
520 ▼b 간호부문이 이제는 국가 보건정책의 중심에 서 있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최근 간호계는 보건정책이나 간호정책과 관련된 이슈를 활발하게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논의와 의견개진 또한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어느 때 보다 활발하게 보건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간호정책과 연결되고 있다. 이는 국가 보건정책과 간호정책이 상호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간호학습성과의 마지막 부분이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변화를 인지한다’로 되어 있다. 그동안 우리에게 ‘정책’이란 용어는 쉽지 않은 단어였다. 특히 간호라는 말이 들어가서 ‘간호정책’이란 용어를 접할 때면 맘이 무겁게만 느껴졌다. 분명 학습성과로 정책의 변화를 인지해야 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지만 이와 관련된 자료나 교재는 많지 않고 정책변화를 따라갈 감각이나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530 ▼a 책자형태로도 간행: 978895629413
7001 ▼a 조미영
7001 ▼a 김윤주
7001 ▼a 박금주
7001 ▼a 문재우
7761 ▼a 이혜영 ▼t 간호와 보건의료정책, ▼z 9788956294131
85640 ▼u http://ebook.dhu.ac.kr/Content_Check.asp?barcode=M0027364
9500 ▼b \112,000
990 ▼a ***1814117
991 ▼a 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