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1605nmmk 00241 k
001000000382538
00520180207094057
008180201s2015 ulk z e a kor
020 ▼a 9788920015434: ▼c \48000
040 ▼a 247004 ▼c 247004 ▼d 247004
056 ▼a 512.8698 ▼2 5
1001 ▼a 이선옥, ▼d 1951-
24510 ▼a 노인 간호학 ▼h [전자책]= ▼x Gerontologic nursing/ ▼d 이선옥,; ▼e 정성희 공저.
256 ▼a e-Book
260 ▼a 서울: ▼b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15; ▼f ((주)블루마운틴소프트, 2017).
300 ▼a 전자책 1책: ▼b 천연색.
504 ▼a 참고문헌(p. 378-384)과 색인수록
516 ▼a XML
520 ▼a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의 건강문제와 노인간호학에 대한 사회적·학문적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장기간의 요양이 필요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결과적으로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노인들의 건강요구를 사정, 진단하고 간호를 계획, 수행하고 그 간호의 효과를 평가하는 노인간호의 과정은 건강증진과 유지, 재활, 말기 노인환자에 대한 지지 등의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어야 합니다. 의료기관, 가정, 노인시설 등 모든 장소에서 노인에 대한 간호와 서비스 향상, 노인에 대한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인력 교육, 노인에 대한 직접적인 간호제공과 관련된 연구 활동이 수행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학습자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간호 영역에서 노화에 따른 변화와 발달과업을 이해하고 노년기에 흔히 발생하는 건강문제를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문제해결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7001 ▼a 정성희, ▼d 1967-
7761 ▼a 이선옥 ▼t 노인 간호학, ▼z 9788920015434
85640 ▼u http://ebook.dhu.ac.kr/Content_Check.asp?barcode=X0181197
9500 ▼b \48000
990 ▼a ***1012033
991 ▼a 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