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보기
LDR00000nam c2200205 k 4500
001000000440757
00520200709101001
008200707s2008 ulkf 000a kor
020 ▼a 9788956263380 ▼g 93810: ▼c \30000
040 ▼a 247004 ▼c 247004 ▼d 247004
056 ▼a 810.906 ▼2 6
090 ▼a 810.906 ▼b 근대문ㄴ ▼c V.1
110 ▼a 근대문학100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24510 ▼a 논문으로 읽는 문학사. ▼n 1, ▼p 해방 전/ ▼d 근대문학100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지음].
260 ▼a 서울: ▼b 소명출판, ▼c 2008.
300 ▼a 62, 509 p.: ▼b 도판; ▼c 24 cm.
49010 ▼a 근대문학 100년 연구총서; ▼v 04.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한국근대문학 ▼a 한국문학사 ▼a 논문
7001 ▼a 김영민
7001 ▼a 김동식
7001 ▼a 최시한
7001 ▼a 정호웅
7001 ▼a 한만수
7001 ▼a 김경수
7001 ▼a 양승국
7001 ▼a 천정환
7001 ▼a 조영복
7001 ▼a 심선옥
7001 ▼a 이선영
7001 ▼a 이재선
7001 ▼a 구모룡
7001 ▼a 고형진
7001 ▼a 금동철
7001 ▼a 하정일
7001 ▼a 김윤식
7001 ▼a 윤대석
7001 ▼a 박수연
740 ▼a 근대계몽기 신문의 문체와 한글소설의 정착 과정
740 ▼a 철도와 근대성
740 ▼a 현대소설의 형성과 시점
740 ▼a 한국 현대소설과 만주공간
740 ▼a 식민지시기 문학검열과 연구대상으로서의 판본문제
740 ▼a 근대소설의 형성과 독서체험
740 ▼a 근대 초기 희곡에 나타난 남성성/ 여성성의 구조와 의미
740 ▼a 1920~30년대 소설 독자 형성과 분화의 과정
740 ▼a 근대 초기 시의 미적 개념 인식과 근대시 장르의 체계화 과정 연구
740 ▼a 1920년대 민요시의 근원과 성격
740 ▼a 한국 근대문학의 감성과 정치적 무의식
740 ▼a 현대소설의 '권태'의 시학
740 ▼a 한국 근대시와 불교적 상상력의 양면성
740 ▼a 방언의 시적 수용과 미학적 기능
740 ▼a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시의 수사학적 연구
740 ▼a 프로문학과 식민주의
740 ▼a 이중어 글쓰기 공간에서의 글쓰기 유형론
740 ▼a 1940년을 전후한 조선의 언어 상황과 문학자
740 ▼a 일제 말 친일시의 계보
830 0 ▼a 근대문학 100년 연구총서; ▼v 04.
910 1 ▼a 근대문학 백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910 1 ▼a 근대문학 일백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949 ▼a 근대문학일백년 연구총서; ▼v 04
949 ▼a 근대문학백년 연구총서; ▼v 04
990 ▼a ***1808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