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3 Pr'eface / Simon Jeune ... 9 줄임말표 ... 16 서론 ... 17 제1부 한국인의 서양 문화와의 초기 접촉 ... 21 제1장 네덜란드 인들과의 접촉 ... 23 제2장 중국을 통한 서양 문화의 도입 ... 43 제3장 천주교와 프랑스 선교사들의 잠입 ... 56 제4장 서구 열강에의 개국을 향하여 ... 87 제2부 한국에서의 프랑스 문화의 전파 ... 97 제1장 개국에서 한·일 합방까지(1876∼1910) ... 99 1. 정치적 상황 ... 99 2. 근대화의 시도 ... 101 3. 프랑스 선교사들의 입국 ... 102 4. 프랑스 문화의 도입 ... 104 제2장 일제 치하(Ⅰ) ... 120 1. 정치적·문화적 상황 ... 120 2. 1911∼1919년간의 개관 ... 124 3. 기사 ... 124 4. 프랑스 문학 작품의 번역 ... 128 5. (태서 문예 신보) ... 130 제3장 일제 치하(Ⅱ) ... 132 1. 1920∼1939년간의 개관 ... 132 2. 기사 ... 133 3. 번역 ... 166 4. 1940∼1945년간 ... 192 제4장 1945년 이후 ... 197 1. 해방, 독립, 그리고 전쟁(1945∼1953) ... 197 2. 기사와 번역(1945∼1970) ... 200 3. 1971∼1980년간 ... 206 제5장 한국에서의 번역 및 번역의 이론과 실제 ... 210 1. 한국에서의 번역 ... 210 2. 번역의 이론과 방법 ... 214 3. 번역의 실제적 고찰 ... 2l9 제6장 프랑스 어의 보급 ... 234 1. 조선 쇄국 시대(개국 이전) ... 235 2. 개화기(1876∼1910) ... 239 3. 일제 식민 시대(1911∼1945) ... 245 4. 국제화 시대(해방 이후) ... 246 5. 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 252 6. 대학의 외국 어문학과에 관하여 ... 256 결론 ... 259 참고문헌 ... 271 부록Ⅰ 1945∼1970년간 프랑스 문학에 관한 정기 간행물의 기사, 저서, 프랑스 문학 작품 번역 ... 279 부록Ⅱ 正音社 및 乙酉文化社의 (세계 문학 전집)중의 프랑스 문학 번역 작품 ... 328 부록Ⅲ 1910∼1945년간 프랑스 문화에 관한 기사가 게재된 잡지·신문 일람표 ... 331 인명색인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