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ⅲ 1. 문학사적 시각 소설가와 예술가의 갈등 ... 3 Ⅰ. 원점으로서의 「나상」 ... 3 Ⅱ. 소설가 이호철의 표정 ... 9 Ⅲ. 예술가 이호철의 선구적 역할 ... 13 Ⅳ. 소설가 ... 20 박완서론 ... 25 Ⅰ. 이 땅에 제일 잘 자랄 수 있는 품종 키우기 ... 25 Ⅱ. 사실 자체의 두 기공 ... 32 Ⅲ. 사실 자체의 근거 찾기 ... 38 Ⅳ. 대중성의 근거 ... 46 네 가지 죽음의 형태 ... 52 Ⅰ. 저마다의 고유한 죽음 ... 52 Ⅱ. 나도향 ... 56 Ⅲ. 고월 ... 63 Ⅳ. 김소월 ... 67 Ⅴ. 이상 ... 75 우리 문학의 만주탈출 체험의 세 가지 유형 ... 80 Ⅰ. 해방의 심정적 측면과 귀소본능 ... 80 Ⅱ. 현실인식의 추상성과 작가의 주관성 ... 85 Ⅲ. 지식인의 귀환유형 ... 90 Ⅳ. 귀환여로의 소설 장르적 성격 ... 96 Ⅴ. 만주국 탈출과 조선인 작가에로의 귀환여로 ... 102 아나키즘의 시적 범주 ... 108 Ⅰ. 육사시에 이른 길 ... 108 Ⅱ. 무정부주의 사상이라는 범주 ... 110 Ⅲ. 범주로서의 육사시 ... 115 소설이냐 로만스냐 ... 118 Ⅰ. 자본주의 노선의 사상적 비판 ... 118 Ⅱ. 절망과 행동의 문학적 형식 ... 124 Ⅲ. 상대적 적과 절대적 적 ... 129 Ⅳ. 소설이냐 로만스냐 ... 133 2. 우리 문학의 과제들 해방공간에서의 민족문학론 ... 143 Ⅰ. 문단 쪽의 정치적 감각 ... 143 Ⅱ. 해방공간의 문단이념노선 비판 ... 145 Ⅲ. 민족문학론 ... 149 신진들의 분단문학관 ... 153 Ⅰ. 창작과 체험영역의 관계 ... 153 Ⅱ. 아비 곧 이데올로기의 도식 ... 159 Ⅲ. 6·25 미체험 세대의 조마조마함 ... 171 「홀로서기」에서「마주서기」로 ... 175 해금시 99편 평설 ... 181 Ⅰ. 네 번째 조치에까지 이르기 ... 181 Ⅱ. 우리 근대시의 두 가지 형태 ... 182 Ⅲ. 임화·백석·이용악 그리고 안용만 ... 184 Ⅳ. 해방공간의 설정식의 열정의 성격 ... 185 Ⅴ. 역사에의 변명 ... 188 수필·산문·명문 ... 189 Ⅰ. 해금의 문학사적 위상 ... 189 Ⅱ. 예도와 구인회 ... 191 Ⅲ. 명문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 195 Ⅳ. 산문의 형식 ... 197 국제시대와 우리 문학 ... 199 Ⅰ. 국제적 감각과 문학 ... 199 Ⅱ. 프라하의 이효석 ... 200 Ⅲ. 소련의 두 표정 ... 206 급변하는 사회에 있어서의 문학의 영원성과 가변성 ... 209 Ⅰ. 민족적 형식과 민화의 세계 ... 209 Ⅱ. 뫼뵈우스의 띠, 클라인씨의 병 ... 214 Ⅲ. 인간성의 한계에 대한 통곡 ... 218 88년 우리 문학의 문제점 ... 221 Ⅰ. 재북·월북문인 해금과 그 다음 단계 ... 221 Ⅱ. 서울에서 멀어진 문학적 굿 ... 224 Ⅲ. 우리 문학의 울타리 찾기 ... 229 Ⅳ. 문학적 성과로서의 세 작품 ... 233 Ⅴ. 전망 ... 237 찾아보기 ...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