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서문 ... 3 감사의 말 ... 9 서론 ... 11 제1장 보건의료와 도시의 위기 ... 15 도시의 성장 ... 21 개발도상국의 도시화 정책 ... 32 도시빈민 ... 37 도시의 급격한 성장이 건강에 미친 영향 ... 43 도시 빈곤의 특징 ... 62 보편적 적용 ... 65 제2장 도시보건의료체계의 방향재설정 ... 66 일차보건의료 접근법 ... 68 일차보건의료 접근법의 도시에의 적용 ... 74 형평성 ... 77 도시지역의 건강상태 측정 ... 79 보건의료체계 연구 ... 90 일차보건의료 도입에서의 우선순위 ... 94 자원 : 돈, 사람, 그리고 상상력 ... 98 오리엔테이션, 교육과 훈련 ... 101 도시지역 일차보건의료의 재원 조달 ... 107 도시보건부 ... 110 병원 : 사용되지 않은 자원 ... 115 정책집행 ... 119 도시 변화의 관리 ... 120 제3장 지역주민참여 ... 125 보건의료체계와 지역사회의 연계 ... 125 지역주민참여를 위한 지역조직 ... 130 촉진자의 역할 ... 138 지역사회 보건일꾼 ... 142 지역주민참여 사례 ... 151 지역사회 자조를 위한 지원 ... 152 지역사회와 재정 ... 155 제4장 도시지역의 보건개발과 보건관련개발 ... 157 사회경제적 발전과 건강 ... 157 도시지역의 부문간 활동의 조정 ... 157 도시개발 ... 168 고용, 수입과 영양 ... 173 시민주택 ... 177 법률의 제정과 합법화 ... 179 식수공급과 위생 ... 181 문자해득과 교육 ... 189 보건요소가 포함된 다부문 사업 ... 193 제5장 전 주민을 포괄하기 위하여 ... 199 인류 모두에게 건강을 : 모두의 책임 ... 199 도시보건의료체계를 위한 국가전략 ... 201 일차보건의료를 위한 보건부의 강화 ... 203 시범사업에서 본격적인 사업으로 ... 205 정부와 민간조직 사이의 협력 ... 214 도시간의 협력 ... 219 제6장 결론 ... 221 참고문헌 ... 224 부록 : 태국의 사회개발 지표 ...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