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Ⅰ. 한국 근대문학을 보는 시각
植民地文學觀의 극복문제 : 民族文學觀의 모색 / 廉武雄 ... 15
1. 문제의 제기 ... 15
2. 개인과 공동체 ... 18
3. 民族文學史의 시대구분 ... 20
4. 19세기의 文學史的 意義 ... 25
5. 移植文學의 문제 ... 29
6. 맺는말 ... 32
古代詩와 現代詩의 교차점 / 李佑成 ... 34
1. 詩史斷想 ... 34
2. 詩와 민족 ... 35
3. 교차점의 地帶 ... 36
4. 향토의 詩 ... 39
5. 민족의 詩와 詩정신의 전개 ... 41
민요와 현대시·趙東一 ... 45
1. 서론 ... 45
2. 민요와 현대시의 차이 ... 46
3. 민요의 계승문제 ... 56
농촌현실과 농민문학 / 申庚林 ... 61
歷史小說과 歷史意識 / 白樂晴 ... 89
1. 歷史小說이란 무엇인가? ... 89
2. 신문학 초기의 역사와 역사의식 ... 94
3. 李光洙의『端宗哀史』 ... 101
4. 金東仁의 代案 ... 108
5. 소설화의 몇가지 문제점 (1) ... 114
6. 소설화의 몇가지 문제점 (2) ... 121
Ⅱ. 민족의 위기와 근대문학의 모색
開化·救國期의 愛國詩歌 / 趙東一 ... 135
1. 서론 - 전반적인 고찰 ... 135
2. 1860년대의 상황과 崔濟愚의「龍潭遺詞」 ... 142
3. 1866년의 상황과 申在孝의 (괘씸한 西洋 되놈) ... 147
4. 1894년의 상황과 독립신문의 애국·독립가 ... 149
5. 1905년의 상황과 大韓每日申報의 항일가 및 의병의 창의가 ... 156
6. 결론 ... 172
開化期의 歷史·傳記小說 / 李在銑 ... 174
1. 신소설과 역사문학 ... 174
2.『愛國婦人傳』 ... 177
3.『을지문덕』 ... 180
4.『서사 건국지』 ... 182
新小說과 西歐文化 수용 / 申東旭 ... 184
1. 서론 ... 184
2. 신소설의 題材論 ... 186
3. 構造를 통해본 新小說의 미학 ... 204
4. 결론 ... 214
「은세계」연구 / 崔元植 ... 217
1. 개화기와 개화기소설 ... 217
2. 개화기의 창극 운동 ... 221
3.「銀世界」분석 ... 232
4. 맺음 ... 243
「長恨夢」과 위안으로서의 文學 / 崔元植 ... 244
1. 머리말 ... 244
2. 尾崎紅葉과「金色夜叉」 ... 246
3. 趙重煥의「長恨夢」 ... 252
4.「長恨夢」이후의 한국 長篇小說 ... 257
5. 맺음 ... 267
Ⅲ. 3·1운동과 신문학의 전진
新文學 운동과 民族現實의 발견 / 林熒澤 ... 271
丹齋소설에 있어서 民族과 民衆의 인식 / 宋載소 ... 306
1. 丹齋의 文學觀 ... 306
2.「꿈 하늘」과 民族主義 ... 309
3.「龍과 龍의 大激戰」과 아나키즘 ... 316
궁핍한 시대의 詩人 : 한용운의 詩 / 金禹昌 ... 324
素月詩의 現實認識 / 尹永川 ... 345
1. 머릿말 ... 345
2. 對象認識 태도 ... 347
3. 소월과 자연 ... 356
4. 素月의 현실인식과 자기성찰 ... 364
近代 敍事詩의 形成과 그 性格 / 金容稷 ... 372
1. 敍事詩가 대두한 몇가지 여건 ... 372
2. 초기 제작자 柳葉 ... 374
3. 金東煥의 등장과「國境의 밤」 ... 376
4.「昇天하는 靑春」의 경우 ... 383
1920년대 植民地的 現實 : 민족적 궁핍 속의 崔曙海 / 洪以燮 ... 387
1. 序 ... 387
2. 崔曙海의 생애와 작품 ... 388
3. 조선사람들의 이농과 간도 이주 ... 390
4.「홍염」의 이야기 ... 393
5. 1920년대 ... 397
프로文學의 成立 / 金允植 ... 399
1. 金基鎭·朴英熙의 활약 ... 399
2. 조직 ... 412
Ⅳ. 군국주의의 위협 앞에 선 문학
1930년대 문학론 / 廉武雄 ... 425
1. 문화적 식민주의와 30년대의 문학 ... 425
2. 30년대 문학의 특징 ... 427
3. 문예이론의 다양화 ... 431
4. 30년대 문학의 성과 ... 434
5. 맺는말 ... 440
1930년대의 시인들 / 金種哲 ... 441
1. 서론 ... 441
2. 金永郞과 金光均 ... 447
3. 金起林 ... 454
4. 鄭芝溶 ... 457
5. 李陸史 ... 464
6. 白石 ... 469
7. 李箱 ... 474
1930년대 評壇의 小說論 / 姜玲珠 ... 483
1. 序 ... 483
2. 小說論의 방향 모색 ... 485
3. 長篇小說 논의 ... 487
4. 小說論의 한계 ... 507
5. 結 ... 514
蔡萬植의「濁流」와「太平天下」 / 金治洙 ... 517
金裕貞의 時代認識과 言語表現 / 金炳翼 ... 526
1. 머릿말 ... 526
2. 再考되어야 할 金裕貞論들 ... 528
3. 궁핍화 - 裕貞의 現實認識 ... 531
4. 전도된 男女관계 - 裕貞의 정서 ... 533
5. 時代를 초월하는 文學性 ... 535
「常綠樹」考 / 全光鏞 ... 537
1. 작품계보 ... 537
2. 농촌운동의 방향감각 ... 538
3. (흙의 문학)으로서의 主題 ... 542
4. (브나로드)의 작가의식 ... 544
5. 정신적 계몽과 경제적 부흥 ... 545
6. 계급의식과 레지스땅스 ... 548
7. 結語 ... 551
부록 ... 551
柳致眞論 / 柳敏榮 ... 557
1. 序論 ... 557
2. 抵抗과 順應의 궤적 ... 558
陸史의 詩와 世界認識 / 金興圭 ... 583
1. 문제제기 ... 583
2. 陸史가 섰던 자리 ... 587
3. 陸史詩의 세계 ... 592
4. 재평가 ... 614
春園 李光洙論 : 한 親日文學家의 意識構造 / 宋建鎬 ... 616
1. 기억에 남는 春園 ... 616
2. 抗日獨立運動 ... 618
3. 사이비 民族運動시대 ... 621
4. 香山光郞 시대의 (애국운동) ... 629
5. 親日의 논리 ... 634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