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 3 제1장 歐美資本主義의 침입과 일본의 변화 1. 開國前夜의 일본 ... 13 2. 종속화의 첫걸음 ... 19 3. 개항 직후 일본경제의 예속적 변화 ... 25 4. 개국·개항 후의 정치변화와 민중운동의 앙양 ... 30 제2장 明治維新 1. 내란의 전개과정과 전국통일 ... 41 2. 내란 승리 직후의 개혁들 ... 44 3. 침략국가를 지향한 근대화의 길 ... 49 제3장 자유민권운동과 해외침략 개시 1. 침략국가 건설을 위한 경제적 토대 구축 ... 61 2. 중국 및 한국에 대한 침략 개시 ... 69 3. 자유민권운동의 발전 ... 75 제4장 자유민권운동의 패퇴와 천황제 침략국가 형성 1. 군국주의의 촉진과 자유민권운동의 패퇴 ... 91 2. 甲申政變을 둘러싼 일본 군국주의의 침략책동 ... 104 3. 천황제지배체제의 확립 ... 115 제5장 자본주의의 발전과 본격적 한국침략 개시 1. 초기 의회와 침략주의의 횡행 ... 133 2. 조선의 농민전쟁에 대한 일본 군국주의의 간섭 ... 141 3. 청일전쟁과 한국·대만 민중의 반일 투쟁 ... 152 4. 자본주의의 발전과 노동운동의 앙양 ... 164 5. 일본 자본가의 정치적 지위의 강화 ... 178 제6장 일본 제국주의의 성립과 러일전쟁 1. 일본 제국주의의 성립과 극동의 헌병 ... 191 2. 러일전쟁과 한국인의 수난 ... 204 제7장 植民帝國의 성립과 러일전쟁 후의 일본사회 1. 한국·중국에 대한 침략과 제국주의 상호간의 모순 격화 ... 221 2. 일본 독점자본의 지위 강화 ... 226 3. 민중운동에 대한 탄압강화와 조선의 병탄 ... 232 4. 러일전쟁 후의 사회와 문화 ... 240 제8장 전반적 위기의 시작과 제1차 세계대전 1. 일제의 한국·중국에 대한 침략의 강화 ... 245 2. 정치의 부패와 민주화운동의 앙양 ... 253 3. 제1차 세계대전과 중국침략의 강화 ... 257 4. 동아시아에서의 열강간의 모순 격화와 러시아 혁명에 대한 간섭전쟁 ... 273 5. 사회운동·민족해방운동의 앙양과 지베체제의 개편 ... 282 제9장 천황제체제의 재정비와 전반적 위기의 격화 1. 사회운동의 조직화와 지배정책의 전환 ... 307 2. 보통선거와 치안유지법 ... 317 3. 전반적 위기의 격화 ... 325 4. 田中義 一 내각의 파쇼화와 민중운동의 수난 ... 336 제10장 파시즘의 성립과 15년전쟁의 개시 1. 세계대공황과 침략전쟁 전야의 일본 ... 353 2. 준전시체제의 형성 ... 366 3. 화북침략 재개와 준전시체제의 강화 ... 377 제11장 전면전쟁 개시와 일본 제국주의의 붕괴 1. 中日戰爭 개시와 국가총동원법의 발동 ... 391 2. 近衛新體制와 민중지배 강화 ... 406 3. 태평양전쟁과 일본 제국주의의 붕괴 ...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