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전통사상의 의의 ... 1
Ⅰ. 서론 ... 1
Ⅱ. 전통의 의미 ... 3
1. 전통의 일반적 이해와 그 문제점 ... 3
2. 전통의 자의 ... 4
3. 전통에 있어서 인간주체성의 의미 ... 6
4. 전통의 사회적 실현방안 ... 10
Ⅲ. 한국사상의 원천 ... 14
1. 원천의 뜻 ... 14
2. 한국사상 원천으로서의 동이족 사상 ... 16
3. 한국 고유사상의 특성 ... 20
Ⅳ. 결론 ... 24
제1장 한국사상의 본질 ... 27
Ⅰ. 서론 ... 27
Ⅱ. 한국사상의 다양성 ... 30
1. 홍익인간과 세속오계에 수용된 사상과 그 특징 ... 30
2. 신라 말 고려 초 유·불·도 3교의 교섭과 그 특성 ... 34
Ⅲ. 한국사상의 개방성 ... 40
1. 한국 불교에서의 화쟁론과 그 개방성의 의미 ... 40
2. 한국 성리학에서의 이기론과 그 개방성의 성격 ... 45
Ⅳ. 한국사상의 주체성 ... 50
1. 충효사상의 한국적 전개 ... 50
2. 도학과 예학사상의 본질 ... 56
3. 한국 실학사상 전개의 특징 ... 64
Ⅴ. 결론 ... 70
제2장 한국 유학사상과 윤리 ... 73
Ⅰ. 서론 ... 73
Ⅱ. 삼국 유학 ... 74
1. 고구려 유학 ... 74
1) 고구려의 학술과 유학 ... 74
2) 고구려의 정치이념과 유학 ... 76
3) 고구려인의 생활과 유학 ... 79
2. 백제 유학 ... 81
1) 백제의 정치이념과 유학 ... 81
2) 백제인의 생활과 유학 ... 83
3) 백제의 학술과 유학 ... 85
3. 신라 유학 ... 86
1) 신라의 정치이념과 유학 ... 86
2) 신라인의 생활과 유학 ... 88
3) 신라의 학술과 유학 ... 91
Ⅲ. 통일신라 유학 ... 92
1. 국학의 건립과 유교 교육사상 ... 92
2. 통일신라의 대표적 유학자 3인과 그 유학사상 ... 95
Ⅳ. 고려 유학 ... 101
1. 고려 전기 유학 ... 101
1) 고려 전기 유학 개요 ... 101
2) 왕건의 고려 창업과 유학 ... 103
3) 성종의 유교적 통치이념 ... 105
4) 최승로의 시무책과 유교정치론 ... 106
5) 최충의 사학설립과 유교교육론 ... 108
2. 고려 후기 유학 ... 109
1) 고려 후기 유학 개요 ... 109
2) 안향과 주자학 소개 ... 110
3) 고려 말의 유학과 불교 관계 ... 112
4) 고려 말의 대표적 유학자와 그 학풍 ... 114
Ⅴ. 결론 ... 119
제3장 한국 불교사상과 윤리 ... 121
Ⅰ. 서론 ... 121
Ⅱ. 불교의 근본사상 ... 123
1. 불교란? ... 123
2. 연기의 진리 ... 125
3.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 127
4. 불교의 특성 ... 128
5. 불교의 두 흐름 ... 131
Ⅲ. 한국 불교의 수용과 전개 ... 132
Ⅳ. 한국 불교사상의 성격 ... 135
1. 원융회통사상 ... 135
2. 현실정토사상 ... 140
Ⅴ. 원효의 사상 ... 145
1. 시대적 배경 ... 145
2. 생애 ... 146
3. 저술 및 세계 불교에 미친 영향 ... 148
4. 사상 ... 149
1) 하나인 마음에 즉한 화쟁 ... 149
2) 하나인 마음에 돌아가서 모든 생명을 이롭게 함 ... 152
5. 원효사상의 의의 ... 155
Ⅵ. 지눌의 사상 ... 157
1. 시대적 배경 ... 158
2. 생애 ... 160
3. 지눌의 사상 ... 163
1) 돈오점수 ... 163
2) 정혜쌍수 ... 166
3) 선교융회 ... 167
4. 지눌사상의 성격과 의의 ... 168
Ⅶ. 결론 ... 169
제4장 한국 도교사상과 윤리 ... 173
Ⅰ. 서론 ... 173
Ⅱ. 도교의 근본사상 ... 177
1. 노자의 무위자연사상 ... 177
1) 노자사상의 발단 ... 178
2) 도 ... 179
3) 지와 무위자연 ... 183
4) 허정과 덕 ... 184
2. 도교의 단학 ... 186
3. 종교 교단으로서의 도교의 성립과 전개 ... 191
4. 도교의 신과 종교의례 ... 196
Ⅲ. 한국사상과 도교 ... 200
1. 한국 고대의 신선설에 보이는 도교적 성격 ... 200
2. 삼국시대의 도교사상 ... 201
3. 고려시대의 도교 ... 205
4. 조선시대의 도교 ... 210
1) 도교의 의례 ... 210
2) 단학사상 ... 213
3) 「노9자」 「장자」에 대한 주석서 ... 219
Ⅳ. 결론: 도교와 윤리 ... 220
제5장 한국 성리학과 윤리 ... 223
Ⅰ. 서론 ... 223
Ⅱ. 한국 성리학의 전개 ... 225
1. 중국 성리학의 수용과 한국 성리학파의 형성 ... 225
2. 조선조 성리학의 전개와 논쟁점 ... 230
Ⅲ. 성리학적 인간관과 인륜규범서 ... 236
1. 한국 성리학에서의 인간관 ... 236
2. 인륜규범서와 그 내용 ... 245
Ⅳ. 윤리론의 실제와 그 실천 ... 252
1. 가족윤리와 그 덕목 ... 252
2. 사회윤리와 그 덕목 ... 262
3. 정치윤리와 그 덕목 ... 268
Ⅴ. 결론 ... 276
제6장 한국 실학사상과 윤리 ... 279
Ⅰ. 서론 ... 279
Ⅱ. 실학발생의 역사적 배경 ... 281
1. 사회·경제적 모순의 심화 ... 281
2. 당쟁의 전개와 정국의 상황 ... 285
Ⅲ. 실학파의 계보와 그 사상적 특성 ... 290
1. 실학의 개념과 그 범위 ... 290
2. 성호학파의 사상적 특성 ... 294
3. 북학파의 사상적 특성 ... 302
Ⅳ. 실학사상의 윤리적 성격 ... 308
1. 공사의 엄격한 구분과 나눔의식 ... 308
2. 인권의식과 자아의식 ... 313
3. 인륜과 경제의 불이정신 ... 317
Ⅴ. 결론 ... 321
제7장 한국 개화사상과 윤리 ... 325
Ⅰ. 서론 ... 325
Ⅱ. 현대 한국의 주체정신과 도덕성 문제 ... 328
1. 전통윤리의 성격과 가치관 ... 329
2. 개화기의 윤리와 도덕교 ... 331
3. 일제침략과 광복 이후의 비도덕교육 ... 335
4. 주체정신과 도덕성 회복 ... 338
Ⅲ. 한 말의 효제충신과 주체의식 ... 340
1. 민족의 자존과 주체의식의 전개 ... 340
2. 최익현의 충절정신과 주체의식 ... 342
3. 유인석의 충신과 자주정신 ... 345
4. 김복한의 충절과 민족정신 ... 347
5. 김좌진의 독립정신 ... 349
6. 안중근의 독립정신과 민족정기 ... 351
7. 윤봉길의 민족적 양심과 독립정신 ... 356
8. 유관순의 충절과 독립정신 ... 360
Ⅳ. 결론: 도덕성 회복의 방향 ... 36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