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 3 총론 1. 어떻게 중국철학사를 학습할 것인가? ... 15 2. 중국 고대철학 유산을 비판, 계승하는 것이 사회주의 정신문명을 건설하는 데 어떤 의식을 갖는가? ... 18 3. 중국전통철학에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 24 4. 중국철학사를 학습하는 의의 ... 32 5. 중국철학의 발전은 어떤 단계를 경과하였으며, 각 단계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 37 6. 불교와 중국철학의 발전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 46 7. 중서철학(中西哲學)에 대해 비교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어떤 의의가 있는가? ... 54 학파 1. 왜 선사시기의 신화에는 철학과 과학의 맹아가 함유되어 있다고 하는가? ... 63 2. 춘추전국시대에 백가쟁명의 상황이 출현할 수 있었던 이유는? ... 66 3. 선진제자(先秦諸子)는 참으로 '백가'(百家)인가? 그 중의 주요 학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70 4. 춘추 말기에 '학술이 사인(私人)에게 내려간' 새로운 현상과 공자가 학파를 창립한 것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 73 5. 유가가 말한 '애인(愛人)'과 묵가가 주장한 '겸애(兼愛)'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 77 6. 유가와 도가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인격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 80 7. 도가학파의 창시자는 누구인가? 전국중기 후반에 도가가 황제와 노자의 이름을 병칭하여 '황노학파'로 불리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 84 8. 직하학궁(稷下學宮)은 어느 때에 창건되었는가? 그것은 선진시기의 학술문화의 번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 86 9. 법가의 학설을 다른 말로 '형명법술(刑名法術)의 학'이라고 하는 이유는? '형명'과 '법술'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 88 10. 전국 중 ·후기에 명변(名辯)의 학풍이 크게 성한 원인은 무엇인가? ... 91 11. 후기 묵가는 어떻게 자연과학지식을 흡수해서 묵적(墨翟)철학 중의 협애한 경험론과 관념론적 성분을 극복하였는가? ... 94 12. 선진시대의 '천인지변(天人之辯)은 사유와 존재의 관계에 대한 쟁론이었는가? ... 97 13. 선진제자는 '인간의 가치'문제에 대해 어떤 고찰을 했는가? ... 101 14. 선진의 '의리에 관한 논변'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그 가운데에는 어떤 경험적 교훈이 담겨 있는가? ... 105 15. 한초 '황노지학'이 일세를 풍미하게 된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그것은 한초의 정치에 어떤 작용을 일으켰는가? ... 109 16. '천인삼책(天人三策)'은 어떤 일이었나? ... 113 17. '백가를 내치고 유학의 도만을 홀로 높인 것'(罷黜百家 獨尊儒術)은 어떠한 형세에서 제출된 것인가? 그것은 후세에 어떤 영향을 발생시켰는가? ... 115 18. 금문경학과 고문경학간의 논쟁은 어떻게 발생하였는가? 양파의 학술경향은 어디서 근본적으로 구별되는가? ... 118 19. 석거각회의와 백호관회의에서는 각각 어떤 문제를 토론하였는가? 그것은 어떠한 작용을 일으켰는가? ... 121 20. 도교는 어느 시기에 발생하였는가? 그 사상의 연원은 어디에 있는가? ... 123 21. 서한과 동한 후기에 사회정치적인 위기를 공격하는 개량사조가 출현하였는데, 각각 어떤 대표적 인물이 있었으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가? ... 127 22. '정시지음'(正始之音)이란 무엇인가? ... 132 23. 무엇을 '청담'(淸談)이라고 하는가? 그 내용과 형식은 어떤가? 현학의 기원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 133 24. 위진현학은 명교와 자연의 관계에 대하여 어떤 논쟁을 전개하였는가? 그리고 그 의의는 어디에 있는가? ... 137 25. 불교는 어떤 시기에 어떻게 중국에 전래되었는가? 불교와 중국본토문화는 어떤 과정을 거쳐 결합할 수 있었는가? ... 143 26. 반야학의 '육가칠종'은 어떤 유파를 가리키는가? 그들의 기본관점은 어디서 구별되는가? ... 149 27. 무엇을 판교라 하는가? 불교 각 종파의 판교는 어떻게 다른가? ... 154 28. 왜 수당시기의 불교가 전성기를 이룰 수 있었으며, 그 사이에 어떤 중요한 종파가 형성되었는가? ... 157 29. 천태종의 '지관'학설에는 어떤 주요 내용이 있는가? 그것이 남북학풍을 융합하는 데 어떤 작용을 일으켰는가? ... 162 30. 유식종의 '3성' 설과 '8식' 설은 어떤 사변 구조인가? ... 165 31. 화엄종의 '법계연기' 설이란 무엇인가? ... 168 32. '남돈북점'의 논쟁이란 무슨 사건인가? ... 172 33. '회창훼불' 사건은 어떻게 발생하였는가? ... 175 34. 선종의 사상적 특징은 무엇인가? ... 178 35. 무엇이 이학인가? 그것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183 36. '염락관민'은 이학가 중 어떤 학파를 지칭하는가? 이들에는 어떤 특색이 있는가? ... 187 37. 남송의 '절동학파'에는 어떤 학파가 포괄되어 있는가? 각 학파의 특징은 어떤가? ... 190 38. 영가학파는 공리라는 것을 어떻게 제창하였는가? ... 193 39. '아호지회'란 무엇을 말하는가? 그것은 어떻게 주·륙사상의 이동을 집중적으로 나타내 주는가? ... 195 40. 무엇이 '심학'인가? 그것이 송명시대에 변천한 맥락은 어떠한가? ... 199 41. '심학'의 정주이학에 대한 비판을 어떻게 정확하게 평가할 것인가? ... 202 42. 양명학파는 어째서 '왕양명의 학문이 세상에 두루 퍼져 있다'고 일컬어지는가? ... 205 43. '왕학3변'은 무엇을 말하는가? ... 207 44. 태주학파 사상의 특색은 어떤가? ... 209 45. '이욕'지변의 실질은 무엇인가? 송명시대의 각 학파가 이를 위해 힘들여 변론한 초점은 무엇인가? ... 212 46. 명청 교체기에 중국 계몽사상이 출현한 원인은 무엇인가? 이 시대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 216 47. 명청 교체기의 '경세치용'의 학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 223 48. 안이학파는 정주사상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 227 49. 안이학파는 공리주의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 231 50. 근대 중국의 '고금' ·'중서'의 논쟁은 어떻게 전개된 것인가? 그리고 어떤 역사적 의의가 있는가? ... 234 51. 서구의 진화론사상은 근대중국에 어떻게 전파되었으며, 그것은 어떤 단계를 거치는가? ... 240 52. 중국철학은 서구계몽운동의 발생에 대해 어떤 영향이 있는가? ...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