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7
서장 유교를 어떻게 볼 것인가? ... 13
제1장 유교의 성립 - 춘추전국에서 한의 무제까지 ... 31
1. 원시유가의 성립 - '인'과 공자 ... 31
2. 유가학단의 전개 - 맹자의 왕도론 ... 42
3. 유가사상의 형성 - '예'와 순자 ... 50
4. 음양사상과「역전」 ... 59
5. 황노사상과 동중서 ... 68
6. 사마천과 역사 기록 ... 79
제2장 예교 국가의 학술과 사상 ... 91
1. 유씨 한왕조의 수명과 예교의 세계 ... 91
2. 참위사상과 그 비판자들 ... 102
3. 한위의 학술 ... 114
4. 무한 세계와 인간사회 - 생성론에서 통사까지 ... 123
제3장 유교 권의의 상대화 - 삼교 교섭의 시대 ... 143
1. 시대 사조 ... 143
2. 동진의 기풍과 경학 ... 149
3. 남북조의 유교 ... 165
4. 불교의 수용과 도교의 형성 ... 171
제4장 의소학의 완성과 신유교의 태동 - 수당의 유교 ... 180
1. 수와 당대 초기의 유교 ... 180
2. 새로운 유학으로의 움직임 ... 191
3. 유학의 도학화와 합리적 사상의 발전 ... 199
제5장 불교·도교의 번영과 전개 ... 209
1. 불교의 융성시대 ... 209
2. 왕실의 도교정책과 도교사상의 전개 ... 219
3. 송 이후의 불교와 도교의 흐름 ... 228
제6장 신체제의 모색과 신유학의 태동 ... 240
1. 북송의 신체제와 왕안석 ... 240
2. 새로운 유학의 대두 ... 248
3. 두 정자와 도학 ... 257
4. 북송에서의 천관의 전한 ... 262
제7장 주자학의 홍기와 체제 교학화 ... 270
1. 주자학의 경세 이념 ... 270
2. 주자의 철학 ... 277
3. 육상산의 학문 및 기타 ... 287
4. 주자학의 체제 교학화 ... 290
5. 주자학의 확산 - 송에서 원으로 ... 293
제8장 양명학의 발흥과 신국면 ... 297
1. 양명학 이전의 주자학 수정의 움직임 ... 297
2. 양명학의 발흥 ... 301
3. 심즉리에서 치량지로 ... 305
4. 새로운 성인관 ... 307
5. 양명학의 사상사적 위치 ... 308
제9장 이관(理觀)의 전개 - 명에서 청으로 ... 319
1. 무선무악의 조류 ... 319
2. 명말의 이단자, 이탁오 ... 323
3. 명말 청초의 경세관과 군주비판 ... 326
제10장 청대의 새로운 이관(理觀) ... 335
1. 이기론·인성론의 전개 ... 335
2. 대진의 이관 ... 341
3. 청대의 인관(仁觀) ... 344
4. 개관 실증주의의 대두 ... 350
제11장 청대의 경세론 - 봉건론과 전제론(田制論) ... 358
1. 청대 경세론의 사회적 배경 ... 358
2. 청초의 봉건론과 전제론 ... 360
3. 청초의 전토 배분론의 특징과 의문점 ... 366
4. 청대 중엽·후엽의 전제론 ... 370
제12장 유교의 재생 - 공화 중국에서 인민 중국으로 ... 375
1. 청말의 공화사상 ... 375
2. '공'(公)혁명으로서의 중국혁명 ... 389
3. 인민 중국을 향하여 ... 394
(부록)
유교사 연표 ... 402
주요 유교관계자 일람(五代~民國) ... 418
참고문헌 ... 436
찾아보기 ... 44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