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의 말 ... 5
이끄는 말: 중국문화의 위기와 재건 ... 15
상편 현대신유학의 사상특징
제1장 문화사조로서의 신유학 ... 35
1. 민족위기는 본질적으로 문화위기이다 ... 36
2. 중서지쟁中西之爭은 고금지쟁古今之爭과 같지 않다 ... 41
3. 전통의 의의 ... 48
4. 신유가와 국수파·강유위 간의 차이 ... 56
5. 과학과 민주, 그리고 유학의 제3기 발전 ... 58
제2장 철학사조로서의 신유학 ... 73
1. 과학주위에 대한 반동 ... 74
1) 유학의 운명과 현학의 운명 ... 75
2) 양분兩分의 세계 양식 ... 80
3) 도덕적 인본주의 ... 88
2. 도덕적 형이상학 ... 94
1) 형이상의 의미에 대한 추구와 서구의 전통적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 ... 95
2) 유가 형이상학의 재건 ... 100
3) 도덕적 형이상학의 기본 특징 ... 106
4) 신라학의 성질 ... 111
3. 반성적 직각방법 ... 115
1) 직각과 이지의 구분과 동서철학의 구분 ... 115
2) 신유가가 말하는 직각의 의미 ... 120
3) 신유가 지각사유의 주요 유형 ... 125
제3장 학술사조서의 신유학 ... 145
1. 건가학풍의 잔재를 극구 반대함 ... 146
2. 살아있는 역사와 죽은 역사 ... 151
3. 동정同情과 경의敬意의 이해 방식 ... 154
하편 현대신유학의 논리발전
제4장 신유가 제1대: 양수명·장군매·웅십력 ... 163
1. 현대식유학의 발단 ... 163
1) 양계초의 등장 ... 164
(1) 「구유심영록(毆游心影錄)」과 그 영향 ... 164
(2) 양계초는 신유가인가? ... 166
2) 양수명: 현대적 의미로서의 최초의 유가 ... 168
(1) 인물과 저서 ... 168
(2) 불가인가? 유가인가? ... 173
(3) 현대유학자 ... 177
3) 장군매와 '과학과 인생관논전' ... 183
(1) '학문과 정치의 사이에서 배회하다' ... 183
(2) '현학귀玄學鬼'가 된 장군매 ... 186
(3) 과현논쟁의 실내용과 의의 ... 189
2. 신유가철학의 기초자: 웅십력 ... 192
1) '헌신적으로 참존재의 체득을 추구한 철인' ... 192
(1) '전문가의 일을 한 것은 아닌다' ... 192
(2) 신불가로부터 신유가로 ... 197
2) 중국·서양·인도 본체관념의 검토 ... 207
(1) '체용불이體用不二로써 종자를 세운다' ... 208
(2) '체용불이'에 관한 논증 및 그 의의 ... 213
(3) 실체는 작용이다: '흡벽성변'설 ... 221
3) 심성본체론의 재건 ... 230
(1) 우주론에서 심성론으로 ... 230
(2) 도덕이성의 고양: 본심이 곧 본체이다 ... 235
(3) 양수명과 웅십력의 심성론 비교 ... 246
3. 웅십력 및 제1대 신유가의 기본적인 특징 ... 250
제5장 신유가 제2대: 풍우란·하린·전목 ... 269
1. 사회 사조의 변화와 신유학의 발전 ... 269
1) 새로운 사조의 형성원인과 특징 ... 270
2) 하인의 유학사상에 대한 총결과 신유학체계 건립의 구상 ... 274
(1) 신유학 사조에 대한 총괄적 평가 ... 275
(2) 신유학체계의 건립에 대한 구상 ... 279
3) 전목의 역사 연구 ... 286
2. 유학 논리화의 시험: 풍우란의 신리학 ... 292
1) 신리학체계의 형성 및 그 이론 구조 ... 293
(1) 철학사가에서 철학자에 이르기까지 ... 293
(2) 자연·사회·인생-'정원육서'의 논리구조 및 그 기본정신 ... 297
2) 하나의 특수한 사명-비엔나학파의 경험주의를 통한 유가의 형이상학 재건 ... 306
(1) '진정한 형이상학은 반드시 변화무쌍해야 한다' ... 307
(2) '분석적 현학' ... 314
3. 제2대 신유가의 기본특징 ... 329
1) 제2대 신유가의 기본특징 ... 329
2) 풍우란 신리학의 역사적 평가 ... 333
제6장 신유가 제3대: 모종삼·당군의·서복관 ... 347
1. 홍콩과 대만 신유가학파의 형성 ... 347
1) 신아서원과 「문화선언」 ... 348
2) 당군의의 철학연구 행로 ... 352
3) 서복관의 사상사 연구 ... 360
2. 분석과 체험의 통일 모색: 모종삼의 신심학 ... 364
1) '근본으로 돌아옴'(返本)과 '새롭게 시작함'(開新) ... 365
(1) 학문의 방법과 사상의 궤적 ... 365
(2) '삼통설'(三統之說)과 그 의의 ... 367
2) '도덕적 형이상학'의 완성 ... 369
(1) 내재적이자 초월적인 성체性體 ... 372
(2) 존재하며 활동하는 심체心體 ... 375
(3) 유가의 내성內性의 학의 의미: 도덕이자 종교 ... 381
3. 제3대 신유가의 특징과 제4대 신유가의 발생 ... 383
지은이의 말 ... 39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