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第1章 總說
Ⅰ. 문제와 방법에 관한 理論的 省察 ... 8
1. 문제의 제기 ... 8
2. 歷史主義의 함정 ... 11
3. 呪術 극복의 문제 ... 16
4. 範疇로서의 종교 ... 21
5. 宗敎의 機能과 역사 ... 27
6. 宗敎의 시대적 성격 ... 32
Ⅱ. 朝鮮時代의 價値體系와 社會構造 ... 38
1. 價値體系 ... 38
2. 支配構造 ... 44
3. 身分構造 ... 49
4. 經濟構造 ... 53
5. 家族制度 ... 58
맺는말 ... 62
第2章 朝鮮前期에 있어 國家儒敎와 性理學的 轉回
Ⅲ. 國家儒敎의 制度化 ... 66
1. 支配宗敎 交替의 사회적 배경 ... 67
2. 制度化의 개념 ... 76
3. 儒敎의 制度的 성격 ... 80
4. 政治社會的 과제 ... 93
Ⅳ. 性理學的 轉廻-脫宗敎化 ... 102
1. 性理學의 宇宙論과 神觀念 ... 104
2. 人性論에서 禮論으로 ... 114
3. 사회적 실천 ... 124
맺는말 ... 131
Ⅴ. 宗敎敎團의 社會的 性格 ... 133
1. 中世佛敎敎團과 戒律 ... 134
2. 佛敎敎團 존속의 사회적 배경 ... 143
3. 佛敎敎團의 대중적 성격 ... 152
4. 非敎團宗敎 신앙과 불교 ... 158
맺는말 ... 162
第3章 朝鮮後期에 있어 儒敎文化의 定着과 民衆宗敎
Ⅵ. 儒敎文化의 地方的 擴散과 分節的 結合 ... 164
1. 文廟祭享의 형식화와 祠廟·祠宇의 발생 과정 ... 166
2. 家族制度의 변천과 家廟의 확대 ... 174
3. 同族集團과 同族部落 ... 185
맺는말 ... 190
Ⅶ. 擴散宗敎의 사회적 機能 ... 192
1. 巫俗과 儒敎文化의 對立 ... 193
2. 共同祭의 儒化 ... 202
3. 演희的 祭儀의 社會性 ... 209
4. 宗敎象徵群과 歲時風俗 ... 217
맺는말 ... 221
Ⅷ. 四民體制의 붕괴와 流動性의 증대 ... 223
1. 鄕權과 18세기 이후 鄕村社會의 動態 ... 226
2. 四民體制의 붕괴 ... 235
3. 農民層의 分解와 遊離民의 증가 ... 243
맺는말 ... 250
Ⅸ. 呪術宗敎와 民衆運動 ... 253
1. 巫蠱와 詛呪 ... 258
2. 邪術과 政治過程 ... 261
3. 邪術과 민간신앙의 관계 ... 269
4. 鑑訣信仰과 민중운동 ... 274
맺는말 ... 283
Ⅹ. 19세기 知識人의 宗敎的 覺醒 ... 284
1. 老論一黨專制下의 支配構造 ... 284
2. 19세기의 鄕村實態 ... 295
3. 天主敎 信仰共同體의 사회적 성격 ... 300
4. 內寅邪獄과 開化期 知識人의 종교적 각성 ... 314
맺는말 ... 323
Ⅴ. 19세기 민중봉기의 종교적 성격과 東學敎門 ... 325
1. 理論의 整合性 문제 ... 328
2. 민중 운동과 鄕村知識人의 역할 ... 335
3. 原始 東學의 성립과 전개 ... 345
4. 運動으로서의 東學 ... 354
맺는말 ... 362
마무리 ... 364
찾아보기 ... 36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