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편]
서론 ... 17
제1절 문화와 전통문화 ... 19
1. 문화의 개념에 대한 여러 정의 ... 19
2. 전통문화의 특정한 내포(內包) ... 22
제2절 중국문화의 변천과 시대구분 ... 24
1. 중국문화의 잉육기(孕育期) ... 24
2. 중국문화의 추형기(雛型期) ... 29
3. 중국문화의 정형기(定型期) ... 33
4. 중국문화의 강화기(强化期) ... 37
5. 중국문화의 전형기(轉型期) ... 39
제3절 중국문화를 학습하는 목적과 의의 및 방법 ... 41
제1장 중국 문명발전의 특수경로 ... 43
제1절 원시종교의 발생 ... 45
1. 만물유령(萬物有靈)에서 다신숭배까지 ... 46
2. 동물숭배에서 토템숭배까지 ... 47
3. 토템숭배에서 조상숭배까지 ... 49
제2절 씨족제라는 탯줄과 문명이라는 문지방 ... 50
1. 조상숭배와 혈연심리 ... 50
2. 농업사회와 종법제도 ... 52
제3절 [인유구구(人惟求舊), 기유구신(器惟求新)] ... 55
1. 가족에서 국가로의 유신노선 ... 55
2. [하늘을 종으로 삼고 덕을 근본으로 삼는 以天爲宗, 以德爲本] 윤리틀 ... 56
제2장 중국 봉건사회 경제구조와 정치구조의 기본 특징 ... 59
제1절 중국 봉건사회 경제구조의 기본 특징 ... 60
1. 봉건사회의 유기체적 여러 재생산 ... 60
2. 지주경제와 소농경제의 상호 영축(盈縮) ... 63
3. 농본상말(農本商末)과 자본주의 생산관계의 맹아 ... 67
제2절 중국 봉건사회 정치구조의 기본 특징 ... 69
1. 가국동구(家國同構) ... 69
2. 세경세록(世卿世祿)과 관료제도 ... 72
3. 군권지상(君權至上) ... 76
[중편]
제3장 주체정신을 발양한 유가(儒家) ... 83
제1절 선진유가의 인정화된 윤리친정(倫理親情) ... 84
1. 범애중이친인(泛愛衆而親仁) ... 84
2. 덕으로 천하를 통치함(以德王天下) ... 89
3. 예를 높이고 법을 중시함(降禮重法) ... 95
제2절 한대유가의 신학화된 천인관념(天人觀念) ... 102
1. 천인감응(天人感應)과 왕권신수(王權神授) ... 102
2. 삼강오상(三綱五常)과 정의명도(正誼明道) ... 105
3. 양덕음형(陽德陰刑)과 독존유술(獨尊儒術) ... 109
제3절 송대유가의 철리화된 이욕지론(理欲之論) ... 115
1. [천지지성(天地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 ... 115
2. [존천리(尊天理)], [거인욕(去人欲)] ... 116
3. 이일분수(理一分殊) ... 123
제4절 유가의 인생철학 모식(模式) ... 125
1. 유가의 이상인격(理想人格) ... 125
2. 삼강팔목(三綱八目)과 대동세계(大同世界) ... 128
3. 내성(內聖)과 외왕(外王) ... 132
4. 정기정인(正己正人)과 성기성물(成己成物) ... 133
5. 궁독(窮獨)과 달겸(達兼) ... 135
제4장 마음이 물질을 뒤좇지 않는 도가(道家) ... 139
제1절 선진도가의 무위(無爲)에서 소요(逍遙)까지의 변화발전 ... 140
1. [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의 노자(老子) ... 140
도법자연(道法自然) ... 140
무위이치(無爲而治)와 소국과민(小國寡民) ... 142
절인기의(絶仁棋義)와 허심실복(虛心實腹) ... 143
불위천하선(不爲天下先) ... 145
2.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에서 소요(逍遙)하는 장자(莊子) ... 146
[나라를 도덕질하는 자는 제후이다(竊國者爲諸侯)] ... 146
심여사회(心如死灰) ... 148
『사정이 어찌할 수 없음을 알고서 명을 편안히 여기다(知其不可奈何而安之若命)』 ... 149
[무기(無己)] [무대(無待)]와 소요유(消遙遊) ... 150
제2절 도가사상의 전기 봉건사회에서의 변화발전과 그 작용 ... 152
1. 진한 신도가(新道家)의 형성과 쇠락 ... 152
2. 현학(玄學)의 흥기와 변화발전 ... 156
3. 수당에서의 도가사상과 전파 ... 161
제3절 도가사상의 후기 봉건사상에서의 변화발전 ... 163
1. 도가사상의 송대에서의 흥성과 유가와 도가의 융합 ... 164
2. 도가사상의 원대에서의 흥망성쇠 ... 166
제4절 도가의 인생철학 모식 ... 167
1. 도가의 이상인격 ... 167
2. 불이물누형(不以物累形)과 반박귀진(返樸歸眞) ... 168
3. 무위무불위(無爲無不爲)와 불위인선(不爲人先) ... 170
4. 여시천이(與時遷移)와 공성신퇴(功成身退) ... 172
제5절 유가와 도가가 상호보완하게 된 내재적 원인 ... 174
1. 양강(陽剛)과 음유(陰柔) ... 174
2. 진취(進取)와 퇴수(退守) ... 176
3. 묘당(廟堂)과 산림(山林) ... 178
4. 군체(群體)와 개체(個體) ... 180
5. 항상(恒常)과 변동(變動) ... 182
6. 긍정(肯定)과 부정(否定) ... 183
제5장 묵가사상의 흥쇠 ... 187
제1절 백성의 [삼환(三患)]과 [겸이역별(兼以易別)] ... 188
1. 백성의 [삼환]에 근심하는 동정심 ... 188
2. [이검역별(以兼易別)]의 [인애정신(仁愛精神)] ... 189
제2절 이즉시의(利卽是義)와 충효혜자(忠孝惠慈) ... 192
1. 이즉시의(利卽是義)와 공리(功利) 원칙 ... 192
2. 충효혜자(忠孝惠慈)의 윤리규범 ... 194
제3절 상현(尙賢)과 상동(尙同) ... 195
1. 인격이 평등하다는 상현심리 ... 195
2. 천하는 일가(一家)라는 상동정신 ... 197
제4절 묵가의 인생철학 모식 ... 198
1. 묵가의 이상인격 ... 198
2. 실혜(實惠)를 중시하는 공리주의 ... 200
3. 사랑하는 마음으로 충만된 군체의식 ... 201
4. 평균평등의 문화심리상태 ... 202
제5절 묵가의 비극 ―현학(顯學)으로부터 절학(絶學)으로 ... 203
1. 천하 사람들이 천자를 숭상하고 따른다(天下尙同於天子) : 평등사상에 대한 내재부정 ... 204
2. [화(和)]가 [동(同)]을 이김 : 묵가가 쇠퇴하고 유가가 흥성한 내재적 원인 ... 205
제6장 법가사상의 부흥과 몰락 ... 209
제1절 법(法)·술(術)·세(勢)의 산생과 합일 ... 210
1. 법·술·세의 취지 ... 210
2. 한비의 법(法)·술(術)·세(勢)에 대한 종합 ... 213
제2절 [쟁어기력(爭於氣力)]과 [계산지심(計算之心)] ... 216
1. 도덕으로부터 [기력(氣力)]의 삼세변천설(三世變遷說) ... 216
2.『이익을 계산하는 마음을 가지고 상대하는 用計算之心以相待』인간관계론(人間關係論) ... 217
제3절 성인집요(聖人執要)와 군주전제 ... 218
1. 제왕의 도구 ―[성인집요] ... 218
2. 법가사상과 전제집권 ... 219
제4절 법가의 인생철학 모식 ... 221
1. 법가의 이상인격 ... 221
2. [법불아귀(法不阿貴)]의 평등관 ... 222
3. [기력(氣力)]에 의하여 세상에 우뚝 서는 독립정신 ... 224
제5절 진의 통일과 법가사상의 현(顯)으로부터 은(隱)으로의 전환 ... 226
1. 법가사상과 진왕조의 흥망 ... 226
2. 덕주형보(德主刑輔) ―유가와 법가지위의 모식화 ... 228
제7장 불교의 전파와 중국문화에 대한 영향 ... 231
제1절 불교의 기본사상 ... 232
1. 불교 기본 교의(敎義)의 핵심 ... 232
2. 사체설(四諦說) ... 233
3. 연기(緣起)와 윤회(輪回) ... 234
4. 무상(無常)·무아(無我)와 열반(涅槃) ... 237
제2절 불교의 중국에서의 전파와 발전 ... 239
1. 불학의 3단계 발전 및 본토문화와의 관계 ... 239
한에서부터 남북조까지 - 전입(傳入)과 발전 ... 239
수당 - 종파가 다양해진 전성기 ... 241
송에서 청까지 - 홍성으로부터 쇠퇴에 이른 정체기 ... 243
2. 중국불교 ―선종(禪宗) ... 244
선종의 유래 ... 244
견성성불(見性成佛)과 범부즉불(凡夫卽佛) ... 246
돈오(頓悟)와 직각(直覺) ... 248
무념위종(無念爲宗) ... 249
제3절 불가의 인생철학 모식 ... 251
1. 불가의 이상인격 ... 251
2. 심여고정(心如古井) ... 252
3. 수연이안(隨緣而安) ... 254
4. 여세무쟁(與世無爭) ... 255
제8장 선왕관념(先王觀念)과 전통숭배(傳統崇拜) ... 257
제1절 선왕관념의 유래 및 그 영향 ... 258
1. 종법사회와 존조경종(尊祖敬宗) ... 258
2. 존조경종과 선왕숭배 ... 260
3. 선왕숭배와 상고심리(尙古心理) ... 265
4. 선왕숭배와 중국사회 ... 266
제2절 전통숭배의 유래 및 그 영향 ... 272
1. 농업사회의 안정상태와 전통관념의 불변 ... 272
2. 도통관념의 역사적 표현 ... 274
3. 정통(政統)·군통(君統)과 도통(道統) ... 277
4. 전통숭배와 중국사회 ... 280
제9장 문관제도의 흥기와 관리선발제도의 변천 ... 283
제1절 문관제도의 흥기 ... 284
1. 포악한 진왕조의 급속한 패망과 한대 초기 군인의 정치간섭 ... 285
2. 군인정부와 문인학사의 모순 ... 286
3. 사상통일의 완성과 문관제도의 탄생 ... 290
제2절 관리선발제도의 변천 ... 296
1. 진의 군공제(軍功制)로부터 한대의 찰거(察擧) 징벽(徵벽)까지 ... 297
2. 조위(曹魏)의 구품중정제(九品中正制)로부터 수당의 과거제(科擧制)에 이르기까지 ... 301
3. 과거제의 송명으로부터 청대까지의 강화 ... 305
4. 팔고취사(八股取士)의 인격모식과 사회심리에 대한 영향 ... 307
[하편]
제10장 중국 전통문화의 구조와 핵심 ... 311
제1절 중국 전통문화의 구조 ... 311
1. 중국 전통문화의 구조에 관한 여러 학설 ... 311
2. 중국 전통문화의 표층구조(表層構造)와 심층구조(深層構造) ... 312
제2절 중국 전통문화의 핵심 ... 314
1. 중국 전통문화의 핵심 ... 314
2. 중국 전통철학의 특징 ... 319
3. 중국 전통철학의 중국문화에 대한 영향 ... 326
제11장 중국의 전통적 이상인격·가치지향 및 사회심리 ... 329
제1절 전통적 이상인격과 가치지향 ... 330
1. 전통적 이상인격 ... 330
2. 전통적 가치지향 ... 334
제2절 전통적 사회심리 ... 337
1. 구선(求善)과 명성 ... 337
2. 군체와의 관계 ... 340
3. 의리(義利)와 덕재(德才) ... 343
제3절 수요층차론(需要層次論)과 [조숙(早熟)]형 문화 ... 347
제12장 중국의 전통적 사유방식 ... 351
제1절 전통적 사유방식에 관한 여러 학설 ... 352
제2절 주체와 객체에 관한 인식 ... 354
1. 사실판단(事實判斷)과 가치판단(價値判斷) ... 354
2. 도덕판단(道德判斷)과 가치판단(價値判斷) ... 355
제3절 정체직관(整體直觀) ... 357
1. 직관과 경험 ... 357
2. 체오(體悟)와 직각(直覺) ... 359
제4절 유비외추(類比外推) ... 361
1. 유동(類同)과 유비(類比) ... 361
2. 경험과 추도(推導) ... 364
제5절 비유와 상징(象徵) ... 367
1. 비유는 운치(韻致)를 낸다 ... 367
2. 상징은 의경(意境)을 본다 ... 370
제6절 형이상(形而上)에 대한 동경 ... 374
제13장 중국문화의 유형과 특징 ... 377
제1절 문화유형설(文化類型說) ... 378
제2절 중국문화의 유형 ... 380
1. 중국문화의 유형에 관한 여러 학설 ... 380
2. 선(善)과 정치를 추구하는 윤리정치형 문화 ... 382
제3절 중국문화의 특징 ... 388
1. 중국문화의 특징에 관한 여러 학설 ... 388
2. 인생과 인심을 관조로 하는 문화특징 ... 392
인본주의(人本主義) ... 392
중도경기(重道輕器) ... 394
경세중교(經世重敎) ... 396
숭고중로(崇古重老) ... 401
덕정상섭(德政相攝) ... 402
정체(整體)를 중시하고 협동을 제창함 ... 403
제14장 중국문화의 기본정신 ... 407
제1절 중국문화의 기본정신에 관한 여러 학설 ... 408
제2절 인문주의를 내핵(內核)으로 하는 문화정신 ... 410
1. 자강불식(自强不息) ... 410
2. 정도직행(正道直行) ... 412
3. 귀화지중(貴和持中) ... 414
4. 민위방본(民爲邦本) ... 417
5. 평균평등(平均平等) ... 420
6. 구시무실(求是務實) ... 423
7. 활달낙관(豁達樂觀) ... 425
8. 이도제욕(以道制欲) ... 427
제15장 전통문화와 현대화 ... 431
제1절 문화열(文化熱)의 유래 ... 432
제2절 [문화단층론(文化斷層論)]과 상실감 ... 433
제3절 현대신유가와 유학부흥설 ... 435
1. 현대 신유가의 유래와 그 사상적 특징 ... 435
2. 유학부흥설과 당대 중국 ... 441
제4절 민족정신의 확장과 현대화의 일치 ... 445
주(註) ... 450
저자 후기 ... 459
역자 후기 ... 46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