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변혁운동의 도약 ... 13,14
제1절 올바른 사상의 기치 ... 14,15
제2절 민족해방노선의 견지 ... 17,18
제3절 운동의 대중화 실현 ... 21,22
제2장 사상의 대중화 ... 26,27
제1절 사상과 청년학생운동 ... 29,30
제2절 사상의 보급·전파 현황과 문제점 ... 32,33
제3절 사상의 투철한 무장 ... 38,39
1. 학습기풍의 올바른 확립 ... 38,39
2. 사상학습의 편향 극복 ... 42,43
제4절 사상의 대중화 실현 ... 47,48
1. 자주의식화는 대중운동의 선결조건 ... 47,48
2. 민족제일주의의 확립 ... 51,52
3. 사상의 광범한 보급·전파 ... 56,57
보설 혁명적 수령관에 대한 이해 ... 60,61
제3장 청년학생운동의 진로(1) ... 72,73
제1절 사상의 연구·보급 ... 72,73
제2절 청년학생운동의 기본좌표 ... 74,75
제3절 청년학생의 역할 ... 76,77
제4절 청년학생의 의식화 방도 ... 78,79
제5절 청년학생의 조직화 방도 ... 81,82
제6절 청년학생운동과 노농운동의 결합문제 ... 83,84
제7절 노학연대의 실현 ... 87,88
제8절 노학연대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 89,90
제9절 운동핵심대열의 보호·강화 ... 92,93
제10절 사건과 계기의 정확한 포착과 이용 ... 94,95
제4장 청년학생운동의 진로(2) ... 98,99
제1절 변혁운동사에서의 반종파투쟁 ... 100,1
제2절 청년학생운동에서의 반종파투쟁 ... 107,1
1. 성과 ... 108,1
2. 현황과 한계·편향·오류 ... 116,1
3. 과제 ... 123,1
제3절 운동의 대중화와 통일·단결의 실현 ... 126,1
1. 사상운동의 측면 ... 130,1
2. 조직운동의 측면 ... 141,1
3. 대중운동의 측면 ... 155,1
제5장 통일전선과 청년학생운동 ... 170,1
제1절 청년학생운동의 지위·역할 ... 170,1
제2절 청년학생운동의 연대사업 현황 ... 172,1
제3절 올바른 통일전선사업의 실현 ... 178,1
1. 주체의 명확한 확립 ... 178,1
2. 노학·농학연대의 강화 ... 180,1
3. 지역단위의 통일전선적 토대 구축 ... 183,1
4. 통일전선운동의 모범 창출 ... 184,1
제6장 노학연대 ... 186,1
제1절 노동운동·대중운동의 전진 ... 186,1
제2절 노학연대의 역사적 흐름 ... 189,1
제3절 노학연대의 의의와 원칙·수행방도 ... 197,1
1. 노학연대의 필요성과 의의 ... 197,1
2. 노학연대의 원칙 ... 204,2
3. 노학연대의 수행방도 ... 206,2
제7장 청년학생의 조직화 ... 214,2
제1절 조직원론 ... 215,2
1. 조직이란 무엇인가? ... 215,2
2. 사람중심의 조직관 정립 ... 217,2
3. 조직의 위상과 원칙 ... 218,2
제2절 조직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 ... 221,2
1. 산업자본주의 시대 ... 221,2
2. 독점자본주의·제국주의 시대 ... 223,2
3. 주체시대 ... 224,2
4. 민족해방운동시기의 통일전선운동 ... 237,2
제3절 청년학생의 올바른 조직화 ... 244,2
1. 써클주의 노선의 전개와 해소 ... 244,2
2. 혁명적 대중조직(RMO)에 대하여 ... 246,2
3. 자주적 학생회 강화투쟁에 대하여 ... 249,2
4. 활동가 조직 건설투쟁에 대하여 ... 252,2
5. 청년학생 조직화의 현황과 과제 ... 257,2
제8장 혁명적 조직생활 ... 268,2
제1절 조직생활의 요구와 본질 ... 268,2
1. 왜 혁명적 조직생활이 요구되는가? ... 268,2
2. 올바른 조직관과 조직사업의 본질 ... 271,2
제2절 조직생활 지도에 대한 원칙적 요구 ... 274,2
1. 지도자에 대한 충실성 배양 ... 274,2
2. 혁명적 영도체계의 확립 ... 278,2
3. 혁명적 조직관의 확립 ... 282,2
4. 혁명적 조직규율의 강화 ... 286,2
제3절 체계와 방법에 따른 조직생활지도 ... 293,2
1. 정연한 조직생활체계의 확립 ... 294,2
2. 정규적인 조직생활의 강화 ... 297,2
3. 위임분공의 조직 ... 301,3
4. 설복과 교양하는 방법의 적용 ... 305,3
5. 비판과 사상투쟁의 강화 ... 308,3
보론 학습의 혁신, 사람의 혁신 ... 315,3
제1절 학습문제를 제기하며 ... 315,3
제2절 학습혁신에 있어서 중핵이 되는 문제들 ... 317,3
1. 관점을 새롭게 ... 318,3
2. 창조적 학습방법과 새로운 학습기풍의 필요성 ... 321,3
3. 학습지도주체의 강화는 운동발전의 요구 ... 329,3
제3절 학습체계의 원칙과 구분 ... 332,3
1. 학습체계작성의 원칙 ... 332,3
2. 체계구분과 학습내용 ... 338,3
제4절 학습체계와 내용 ... 341,3
1. 사상·이론·방법의 원리 교양 ... 341,3
2. 당노선과 정책교양 ... 344,3
3. 혁명전통교양 ... 346,3
4. 현대사회경제 발전법칙 및 계급교양 ... 347,3
5. 애국주의·우리민족제일주의의 교양 ... 350,3
6. 집단주의 생활관·혁명관·인생관 교양 ... 351,3
7. 한국변혁의 구체적 문제 교양 ... 351,3
보설 1. 마르크스-레닌주의 학습에 대하여 ... 354,3
보설 2. 저학년 학습체계 작성에서 주의할 점 ... 358,3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