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동양 전통의학과 경락
1. 질병 침략 ... 15
2. 의학 침략 ... 17
3. 서구의학의 한계 ... 20
4. 해부학의 종말 ... 22
5. 인류 역사상 초고의 바견 ... 27
6. 경락(經絡)이란 무엇인가 ... 30
7. 경락은 실재한다 ... 33
8. 기(氣)는 더이상 신비화될 수 없다 ... 37
9. 서구의 침술 연구 ... 39
10. 세계적인 과학자 김봉한 ... 42
제2장 부활하는 봉한학설
1. 봉한학설을 만나다 ... 45
2. 인간 김봉한 ... 47
3. 봉한학설 탄생의 배경 ... 50
4. 맹인을 눈뜨게 하다 ... 54
5. 어처구니 없는 결정 ... 56
6. 코페르니쿠스적 전환과 서구 과학기술력의 한계 ... 60
7. 중국과 북한 동의학계의 반발 ... 63
8. 봉한학설의 전성기 ... 68
9. 부활하는 봉한학설 ... 72
제3장 봉한학설의 개요와 발전
1. 봉한학설의 발표경위와 그 개요 ... 80
2. 경락은 생명 발생의 요체 ... 88
3. 봉한관과 봉한소체 ... 90
4. 신경봉한관 체계 ... 93
5. 기관내 봉한관 체계 ... 96
6. 순환로로서의 경락계통 ... 100
7. 세포의 모태인 산알, 그 신비스런 모습 ... 103
8. 봉한산알 세포환에 관하여 ... 106
9. 산알과 세포분열 ... 109
10. 산알은 태양 에너지의 출입문 ... 112
11. 침구 치효이론 ... 113
12. 건강법의 확립과 난치병·불치병의 정복 ... 118
13. 불로장생과 죽음에의 도전 ... 120
제4장 현대생물학과 봉한학설
1.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다 ... 123
2. 세포의 구조 ... 125
3. 세포 내의 경락, 미세소관 ... 127
4. 신경을 장악하고 있는 경락 ... 130
5. 세포 내 경락의 영(營)과 위(衛) ... 131
제5장 경락과 전기
1. 경락과 전기와 생명 ... 135
2. 베커 박사의 경락 연구 ... 139
3. 소련의 키를리언 장치 ... 144
4. 서구의 키를리언 장치 연구 ... 149
5. AMI 장치 ... 152
6. Voll 장치 ... 153
7. 필자의 키를리언 장치 연구 ... 157
8. 한의학의 변증(辨證)체계와 첨단과학 ... 161
9. 경혈을 찾아내는 키를리언 장치 ... 168
10. 침(針)과 저닉 ... 170
제6장 봉한학설의 전개와 한반도의 도약
1. 서구문명 우위의 극복 ... 175
2. 봉한학설 출현의 의의 ... 178
3. 봉한학설의 복원 ... 182
4. 통일의학연구소 ... 184
5. 부(富)의 판도의 재편 ... 186
6. 한반도의 통일과 도약 ... 18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