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 ⅲ 저자 서문 ... ⅴ 제Ⅰ부 입문 제1장 성격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Ⅰ. 성격이란 무엇인가? ... 5 Ⅱ. 성격심리학의 분야 ... 6 성격에 대한 다양한 접근 ... 7 성격이론들: 대안적인 개념들 ... 8 조망 ... 10 Ⅲ. 성격연구 ... 10 과학으로서의 성격에 대한 저항 ... 12 개인에 대한 정보의 원천 ... 12 상관: 무엇이 무엇과 관계가 있는가? ... 14 (초점 1.1 정서성의 개인차: 비만인 대 정상인) ... 15 실험: 현상을 통제하려는 노력 ... 17 (초점 1.2 실험 예시: 교육과정 수행을 향상시키기) ... 18 자연적 관찰: 실험실 밖으로의 이동 ... 20 Ⅳ. 이 책의 개요 ... 22 Ⅴ. 요약 ... 24 제Ⅱ부 정신역동적 접근법 제2장 정신역동 이론: 개념 Ⅰ. 정신구조: 마음의 층 ... 32 원욕: 성격의 핵심; 성과 공격 ... 33 (초점 2.1 Freud 학파 이후의 꿈 연구) ... 33 자아: 현실의 검증자 ... 36 초자아: 완벽을 추구하는 고등법원 ... 36 Ⅱ. 성격역동성: 내적인 투쟁 ... 37 갈등 ... 37 불안 ... 37 자기방어: 기본 기제 ... 38 정신 에너지: 리비도의 많은 얼굴 ... 40 방어가 실패할 때: 신경증적 불안과 갈등 ... 41 외상의 근원: 신경증의 기원 ... 42 일상생활의 정신병리: 무심코 드러나는 '실수들' ... 43 동기적 결정론: 역동적 원인 ... 44 Ⅲ. 심리성적 단계와 성격발달 ... 44 Freud의 단계 ... 45 (초점 2.2 유아는 얼마나 구강적인가?) ... 45 고착과 퇴행 ... 47 Freud의 동일시 이론 ... 47 Ⅳ. Freud 이후: 신 Freud 학파의 정신분석 이론 발달 ... 48 Freud의 개인에 대한 상 ... 48 공통주제: 자아 심리학을 향하여 ... 49 Carl Jung ... 49 Erich Fromm ... 53 Erik Erikson ... 54 기타 신 Freud 학파의 분석가들 ... 57 (초점 2.3 성과 공격을 넘어서: 유능성 동기) ... 57 Ⅴ. 요약 ... 58 제3장 정신역동적 평가와 성격 변화 Ⅰ. 전반적인 정신역동적 동향 ... 63 가면 밑의 핵심 ... 63 상황을 극소화하기: 기저하고 있는 역동성을 찾아서 ... 63 Gary W.의 사례 ... 64 임상가에 의존하기 ... 67 Ⅱ. 투사기법 ... 68 꿈과 자유연상을 넘어서 ... 68 (초점 3.1 자유연상을 격려하기) ... 68 로샤 ... 69 주제 통각 검사(TAT) ... 69 투사 기법의 특징 ... 71 채점과 해석 ... 72 TAT의 연구적용: 성취욕구 ... 73 (초점 3.2 고차 동기의 추론: Henry A. Murray의 욕구들) ... 75 Ⅲ. 임상적 판단: 논쟁점 ... 77 Harvard의 성격학자들 ... 77 임상가의 평가 ... 79 임상훈련의 효과 ... 80 임상판단과 검사의 결합 ... 81 (초점 3.3 판단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반응) ... 82 성격에 대한 좋은 판단들이 존재하는가? ... 83 대안적인 전략 ... 85 Ⅳ. 적응, 일탈 및 변화 ... 85 건강한 성격: Freud의 견해 ... 86 증상으로서의 행동 ... 86 정신분석 치료 ... 87 도전과 새로운 방향 ... 89 가족치료: 상호작용과 관계의 치료 ... 91 (초점 3.4 식용부진증의 수수께끼) ... 92 새로운 가정이 필요한가? ... 93 Ⅴ. 요약 ... 93 제4장 정신역동성: 방어와 무의식적 과정 Ⅰ. 억압 ... 99 무의식적 억압의 개념 ... 99 억압(repression)대 억압(suppression) ... 99 히스테리아 ... 100 억압의 연구 ... 100 억압인가, 혹은 반응 경쟁인가? ... 102 Ⅱ. 지각적 방어와 인지적 선택성 ... 102 연구전략 ... 103 (초점 4.1 지각적 방어의 문제) ... 104 선택적 지각 ... 105 역하지각과 무의식 ... 105 의식적인 억압인가, 또는 무의식적인 억압인가? ... 106 자각없는 변별? ... 107 임상적 문제와의 관련성(혹은 무관련성) ... 108 하의식적인 정보 처리: 선택적 인지 ... 109 Ⅲ. 최면 ... 110 (초점 4.2 최면상태) ... 111 최면에 대한 설명 ... 112 최면 가능성의 개인차 ... 113 최면의 이용 ... 113 Ⅳ. 방어의 양식: 인지적 회피의 개인차 ... 114 억압-민감화 ... 114 둔감 대 탐지 ... 115 통제의 역할: 언제 당신은 알기를 원하지 않는가? ... 117 Ⅴ. 정신 역동적 접근법의 요약 평가 ... 118 강점과 약점 ... 119 개관 ... 120 Ⅵ. 요약 ... 120 제Ⅲ부 특성 접근법 제5장 특성 이론: 개념 Ⅰ. 유형과 특성 ... 127 유형: Sheldon과 Jung ... 127 (초점 5.1 A 유형: 관상성 질환을 예언하는 A 유형론) ... 131 차원들에서의 개인차 ... 132 특성 귀인 ... 134 Gordon Allport ... 134 R. B. Cattell ... 136 H. J. Eysenck ... 138 Ⅱ. 특성 이론들의 공통 특징 ... 142 특성들의 일반성과 안정성 ... 142 (초점 5.2 어린 시절은 미래를 예언하는가?) ... 142 기본적 특성에 대한 탐색 ... 143 행동 신호로부터 특성의 추론 ... 144 수량화 ... 144 특성 차원들과 개인차 ... 144 Ⅲ. 새로운 방향들 ... 146 원형: '전형적인' 사람들 ... 146 행동 경향: 요약으로서의 특성 ... 148 특성과 상황의 상호작용 ... 148 Ⅳ. 요약 ... 148 제6장 개인차의 측정 Ⅰ. 심리 측정적 접근법의 기원: 지능의 측정 ... 153 지능 검사 ... 154 지능, 유전 및 인종: 논쟁점 ... 156 (초점 6.1 지능, 가족 크기 및 학업 적성 검사) ... 158 지능 검사는 무엇을 예측하는가? ... 159 초기 성격 측정 ... 162 Ⅱ. 특성 검사의 성질 ... 162 채점: 비교를 허용할 수 있다 ... 163 자기보고와 평정 ... 164 객관성: 절차는 표준화되었는가? ... 164 상관: 무엇이 무엇과 관계가 있는가? ... 166 중재 변인 ... 166 Ⅲ. 성격척도: 예 ... 167 MMPI ... 168 캘리포니아 F척도 ... 171 Q-분류기법 ... 171 측정들은 중복되는가? ... 172 그것은 지능 이상인가? ... 173 Ⅳ. 검사반응으로부터 기본적 특성으로 ... 174 요인분석 ... 174 특성구조: 지각하는 사람의 또는 지각되는 사람의? 혹은 둘 다의? ... 175 (초점 6.2 성격판단과 행동의 연관성) ... 176 성격평정에 대한 논쟁 ... 177 Ⅴ. 특성 검사 평가 ... 178 윤리적인 고려 ... 178 검사가 속일 수 있다 ... 178 (초점 6.3 심리검사가 당신을 속이는가?) ... 179 신뢰도: 측정치들은 일관적인가? ... 180 타당도: 측정치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181 Ⅵ. 요약 ... 182 제7장 특성과 그 생물학적 토대 Ⅰ. 성격특성: 예 ... 187 자아통제와 자아탄성: 평생의 삶 ... 187 지각된 통제 소재 ... 188 Ⅱ. 특성, 상황 그리고 그것들의 상호작용 ... 190 특성은 얼마나 광범위한가 혹은 특수한가? ... 190 특성의 방어에서: 집합적으로 보는 것이 좋다 ... 191 (초점 7.1 사람과 상황의 상호작용으로서의 불안) ... 193 성향과 조건은 상호작용한다 ... 195 상황의 성격? ... 195 Ⅲ. 성격에 대한 유전적 및 생화학적 접근 ... 196 성격의 생물학적 토대 ... 196 생화학, 유전 그리고 정신분열증 ... 197 (초점 7.2 몇가지 특수한 유전의 영향) ... 199 유전자, 쌍생아 그리고 개인차 ... 199 변화에 대한 접근: 생물학적 치료 ... 203 Ⅳ. 특성접근법의 요약 평가 ... 206 강점과 약점 ... 207 접근법의 개관 ... 207 Ⅴ. 요약 ... 208 제Ⅳ부 현상학적 접근법 제8장 현상학적 접근법: 개념 Ⅰ. 현상학적 접근법의 원천 ... 216 Allport의 공헌: 기능적 자율성과 고유자아(자기) ... 217 Lewin의 생활 공간 ... 218 현상학과 실존주의: 여기 그리고 지금 ... 221 Ⅱ. Carl Rogers의 자기 이론 ... 222 독특한 경험: 주관적 세계 ... 222 자기 실현 ... 223 자기 ... 224 일관성과 긍정적 존중 ... 225 (초점 8.1 Rogers는 자신의 연구를 회고한다) ... 226 Ⅲ. George Kelly의 개인적 구성개념 심리학 ... 227 피험자의 구성개념 ... 227 과학자로서의 사람들 ... 228 구성개념적 대안주의: 볼 수 있는 많은 방식들 ... 229 역할: 존재하는 많은 방식 ... 230 사람들은 그들 자신을 만든다 ... 231 Ⅳ. 자기 실현에 대한 탐색 ... 231 의식의 확장 ... 232 소외에서 벗어나기 ... 233 (초점 8.2 만족을 향하여: Maslow의 자기 실현한 사람) ... 233 Ⅴ. 공통 주제와 쟁점 ... 235 인지는 행동의 원인인가? ... 235 자기는 '행위자'인가? ... 236 기본적 도식(범주)으로서의 자기 ... 236 Ⅵ. 요약 ... 237 제9장 내적인 견해 Ⅰ. 사람은 자기 자신에 관한 전문가이다 ... 241 Gary W. 의 자기-개념화 ... 241 사람은 자신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가? ... 243 Ⅱ. 주관적인 경험을 연구하기 위한 기법 ... 244 면접 ... 245 어의 세분화 ... 247 개인적 구성개념 탐구 ... 248 (초점 9.1 개인적 구성개념에 대한 행동적 지시 대상) ... 251 비언어적 의사소통 ... 252 Ⅲ. 적응, 일탈 및 변화 ... 252 건강한 성격 ... 253 Ⅳ. 성장을 위한 방법 ... 254 내담자 중심 심리치료 ... 254 현상학적으로 지향된 집단 ... 255 직면 집단의 효과 ... 257 명상 ... 258 (초점 9.2 신비스러운 경험) ... 260 개인의 경험과 무의식 ... 261 Ⅴ. 요약 ... 263 제10장 사회적 인지, 자기 및 정서 Ⅰ. 인상 형성 ... 267 인과 귀인: 그 사람은 그것을 왜 행하였을까? ... 268 귀인 편파: 내적 원인 ... 268 통제력과 의미심장함에 대한 착각 ... 269 기대와 내현 성격 이론 ... 270 사람들 범주화의 이용과 남용 ... 271 (초점 10.1 사회적 추론: 틀리기 쉬운 판단) ... 272 정보의 결합 ... 275 Ⅱ. 자기개념: 자신을 보기 ... 275 자기 도식 ... 276 자존심 ... 276 (초점 10.2 자신을 존중하는 사람들이 더욱 존중받는다) ... 276 성공에 대한 기대 ... 279 자기 효능감 ... 279 무기력 대 정복에 대한 자기 지각 ... 280 자기 의식 ... 281 지각된 일관성: 자기의 안정성 ... 282 Ⅲ. 정서 경험 ... 283 정서에 따른 신체 변화 ... 283 정서 경험의 이론 ... 284 정서의 구별: 당신이 무엇을 느끼는지 어떻게 아는가? ... 285 (초점 10.3 정서의 보편적 인식) ... 286 인지와 정서 ... 288 정서와 행동의 흐름 ... 289 인과 귀인과 정서 ... 292 Ⅳ. 현상학적 접근법의 요약 평가 ... 292 강점과 약점 ... 293 개관 ... 295 Ⅴ. 요약 ... 296 제Ⅴ부 행동주의적 접근법 제11장 행동주의의 개념: 기원 Ⅰ. 오리엔테이션: 행동에 대한 초점 ... 303 추론된 동기의 거부: 행동의 과학 ... 303 기본 전략 ... 305 Ⅱ. 고전적 조건형성 ... 306 고전적 조건형성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 307 사례예: Little Albert ... 309 (초점 11.1 신경증의 정신역동 이론에 대한 행동주의의 도전) ... 309 고차 조건형성 ... 310 Ⅲ. 조작적 조건형성 ... 311 조작적 조건형성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 312 일반화된 조건 강화물 ... 314 일상 생활에서의 변별과 일반화 ... 314 계속적인 근접에 의한 행동 조형 ... 315 성과들의 양식화: 강화 계획 ... 316 미신: 불합리성으로 강화되는 것 ... 317 (초점 11.2 행동주의에 대한 인본주의의 비판) ... 318 처벌 ... 319 Ⅳ. 요약 ... 320 제12장 사회적 학습과 인지 Ⅰ. 사회적 학습: 행동 이론은 인지적으로 된다 ... 325 기대와 가치 ... 325 학습에서 자각의 역할 ... 325 규칙과 상징적 처리 ... 326 Ⅱ. 관찰(인지)학습 ... 328 관찰을 통한 학습 ... 328 획득 대 수행: 알기 대 행하기 ... 329 다른 사람들의 결과를 관찰하기: 그들에게 일어나는 것이 당신에게 일어날 수 있다. ... 330 (초점 12.1 대리적 조건형성: 그는 충격을 받고, 당신은 놀라게 된다) ... 332 관찰 학습에서는 무엇이 일어나는가? ... 333 자기 효능감의 역할 ... 333 학습의 세가지 유형에 대한 요약 ... 334 Ⅲ. 사회적 학습이 개인 연구에 대해 갖는 몇가지 함의 ... 335 성격에서의 일관성과 변별성 ... 335 현재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초점 ... 336 적극적인 유기체 ... 337 사회적 학습의 복잡성 ... 337 '준비성': 생물학적인 제약 ... 338 요약 ... 338 (초점 12.2 학습에서의 선천적인 한계) ... 339 Ⅳ. 인지 사회적 학습의 개인 변인 ... 340 유능성: 당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342 부호화 전략: 당신은 그것을 어떻게 보는가? ... 342 기대: 무엇이 일어날 것인가? ... 343 주관적인 가치: 그것은 얼마나 가치가 있는가? ... 345 자기 조절 체계와 계획 : 당신은 그것을 어떻게 성취할 수 있는가? ... 345 개인 변인의 요약 ... 346 Ⅴ. 요약 ... 347 제13장 행동의 분석 Ⅰ. 행동주의적 평가의 특징 ... 351 사례 예: Gary의 불안을 통제하는 조건 ... 351 (초점 13.1 동일 사례에 대한 두 가지의 견해: 재분석된 Pearson Brack) ... 353 Ⅱ. 직접적인 행동 측정 ... 354 상황적 행동 표집 ... 354 언어적 행동 ... 356 효과적인 보상의 발견 ... 358 Ⅲ. 행동을 통제하는 조건의 평가 ... 362 기능적 분석 ... 362 (초첨 13.2 취학전 아동에 대한 기능적 분석) ... 363 Ⅳ. 적응과 일탈 ... 366 개인이 아니라 행동의 결과에 대한 평가 ... 366 질병 모델 ... 367 질병 모델에 대한 비판 ... 368 (초첨 13.3 정신병인가 혹은 삶의 문제인가?) ... 369 문제성있는 행동으로서의 일탈 ... 372 Ⅴ. 요약 ... 373 제14장 행동변화와 성격 Ⅰ. 행동치료: 기본 전략 ... 377 둔감화: 불안이 극복 ... 377 (초점 14.1 천식치료에 이완과 바이오피드백을 조합하기) ... 380 관찰 학습(모델링) ... 382 조건형성된 혐오: 자극을 흥미없게 만들기 ... 386 행동의 결과를 변화시키기 ... 388 (초점 14.2 보상은 부메랑일 수도 있다) ... 390 자극 통제 ... 391 치료적 공동체 ... 391 유관 계약 ... 393 Ⅱ. 행동치료: 확장 ... 395 전반적인 것에서부터 세부적인 것까지 ... 395 원리의 조합 ... 396 (초점 14.3 성적 수행을 향상시키기) ... 397 공동체 건강: 행동 의학 ... 398 인지적 행동수정과 재구조화 ... 400 인지치료: Beck의 접근법 ... 401 경고 ... 404 행동치료와 윤리 ... 404 Ⅲ. 행동 변화와 성격 변화 ... 405 전이는 존재하는가? 생활속으로 옮겨서 ... 405 공동체 심리학에 대하여 ... 406 자기 관리를 향하여: 외부적인 것에서 내부적인 것에까지 ... 407 증상 대치? ... 408 행동변화와 자기 개념 변화 ... 410 내가 행하는 것이 나인가? 진짜 변화 ... 410 Ⅳ. 행동주의 접근법의 요약 평가 ... 411 강점과 약점 ... 412 접근법의 개관 ... 414 (초점 14.4 행동주의 이론과 실존주의: 의외의 유사성) ... 414 Ⅴ. 요약 ... 416 제Ⅵ부 적응과 대처과정 제15장 좌절, 불안 및 스트레스에 대처하기(초점 15.1 적응의 개념) ... 423 Ⅰ. 좌절 ... 426 좌절의 정의 ... 426 정서적 각성 ... 427 지속성 ... 428 좌절과 공격 ... 428 좌절은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429 대안적인 대처 방식 ... 430 유능성과 자존심 ... 431 정서적 무감각과 무기력 ... 432 지각된 통제력: 당신이 그것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 433 (초점 15.2 불충분한 강화로서의 우울증) ... 434 Ⅱ. 불안과 스트레스 ... 436 불안에 대한 이론적인 견해 ... 437 불안의 의미 ... 437 외상에서 불안까지 ... 438 불안과 회피 ... 439 불안과 갈등 ... 440 (초점 15.3 갈등의 유형) ... 441 특성 불안 ... 442 측정치들간의 관계 ... 443 불안과 수행: 각성의 효과 ... 444 불안과 능력 ... 445 자기몰입 사고의 방해 ... 446 (초점 15.4 스스로에게 보다 좋게 말하는 방법: 내적 독백을 변화시키기) ... 447 기대의 역할: 성공을 생각하라 ... 448 스트레스: 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 있다 ... 448 스트레스의 영향을 감소 시키기 ... 449 개관 ... 452 Ⅲ. 요약 ... 452 제16장 자기 조절과 정복 Ⅰ. 좌절 인내와 자발적 지연 ... 457 만족의 지연 ... 457 만족은 지연되어져야만 하는가? ... 458 지연된 만족을 선택하는 학습 ... 458 모델의 효과 ... 460 Ⅱ. 자기 부과적 지연에 대처하기 ... 461 이론적 예언 ... 462 기다리기를 관찰하는 방법 ... 462 생각하지 않기의 가치 ... 462 좌절에 대처하기 위한 자기 주의분산 ... 464 인지적 변형과 지연 ... 466 요약 ... 466 초기 지연은 나중의 성격을 예언한다 ... 467 (초점 16.1 자기 통제 지식의 성장) ... 469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인지적 변형 ... 469 Ⅲ. 자기 반응: 정복의 성취 ... 470 자기 강화의 연구 ... 470 모델의 효과 ... 471 내가 말하는대로 행하는가, 혹은 내가 행하는대로 행하는가? ... 472 내적 상태의 통제 ... 473 (초점 16.2 바이오피드백 이용) ... 474 비만에 대한 도전 ... 477 체중 통제 ... 479 계획과 미래 지향 ... 481 자기 통제와 정복을 증가시키기: 어려운 것을 보다쉽게 만들기 ... 481 Ⅳ.요약 ... 483 제17장 성 역할과 정체감 Ⅰ. 심리적 성 차이 ... 487 지각된 성 차이: 예 ... 488 공격 ... 490 (초점 ... 17.1 의존성 ... 492 지적-인지적 기능 ... 492 성 역할 고정관념과 정체감 ... 494 Ⅱ. 성 유형화의 발달 ... 495 생물학인 결정요인 ... 495 (초점 17.2 하나의 신체에 두 개의 성) ... 496 인지와 일관성 노력 ... 497 사회적 학습 ... 498 아동 양육 실제 ... 499 사회적 구조 ... 500 중재 변인 ... 502 성 유형화의 상관물 ... 503 성 유형화된 행동의 안정성 ... 504 Ⅲ. 변화하는 고정관념과 성 역할 편파 ... 504 사회의 성 역할 편파 ... 504 심리학에서의 성 역할 고정관념화 ... 506 (초점 17.3 여성은 성공을 두려워 하는가?) ... 507 성 역할 고정관념의 결과 ... 507 양성성을 향하여? ... 510 Ⅳ. 요약 ... 512 제18장 사회적 상호작용: 매력, 공격, 이타성 Ⅰ. 매력과 호감 ... 517 신체적 매력 ... 517 유능성 ... 518 유사성 ... 519 상호성: 우리는 우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좋아한다 ... 520 Ⅱ. 공격 ... 521 공격의 정의 ... 521 억제와 불안 ... 522 갈등과 간접적 공격 ... 522 전위 ... 523 정화: 공격 표현의 효과 ... 524 공격에 대한 대안적인 견해 ... 525 학습된 것으로서의 공격 ... 525 (초점 18.1 인간 공격의 한계 검사: Milgram의 실험) ... 526 공격 압력에 대한 저항 ... 529 공격의 모델링 ... 530 책임분산과 몰개인화 ... 531 자기 정당화 ... 533 요약: 공격의 증가 ... 533 Ⅲ. 이타성과 책임감 ... 533 이타성의 증가 ... 535 도덕성과 개인적 책임감 ... 535 도덕적 단계 ... 536 도덕적 단계에 대한 비판 ... 537 (초점 18.2 사회적 학습과 도덕성) ... 538 도덕적 행위와 자기 통제: 책임지기 ... 540 Ⅳ. 요약 ... 541 제19장 개인과 상황의 상호작용 Ⅰ. 환경 심리학 ... 547 환경의 분류 ... 547 환경의 영향 ... 548 사회적 행동의 각본 ... 548 상호작용의 의미 ... 549 상황의 특유한 영향 ... 549 Ⅱ. 상호작용의 개념화 ... 550 개인차는 언제 차이를 만드는가? ... 551 (초점 19.1 상호작용의 연구: 공격적인 아동들은 언제 공격적이 되는가?) ... 552 행동 적절성과 상황적 제약 ... 553 상황이나 개인으로부터, 혹은 그 둘로부터의 예언 ... 554 평생 발달과 적응 ... 555 Ⅲ. 성격의 조망 ... 557 접근법들의 개관 ... 557 구성개념주의자 견해 ... 558 비일관성 혹은 공존하는 대안 ... 558 중다 결정요인을 수반하는 중다 차원 ... 559 Ⅳ. 요약 ... 560 용어 해설 ... 561 참고 문헌 ... 583 한글 생인 ... 623 영문 색인 ... 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