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기대와 자각 : 민중적 연대의 결집을 위하여 ... 13 제1부 체제이행 : 시각과 평가 제1장 한국의 민주화 : 이행과 개혁 / 최장집 김영삼 정부 초기개혁의 의미 ... 27 개혁의 성격과 정치·사회적 기반 ... 30 실질적 개혁과 민주주의를 위한 모색 ... 38 한국 민주주의의 모델과 방향 ... 44 잠정적 결론 : 민주적 이행의 동아시아적 유형 ... 48 제2장 전환기의 한국정치 ; 상상력의 빈곤과 민주화의 시련 / 김병국 시대의 과제 ... 53 실천적 대안의 모색 ... 56 승자없는 대결의 게임 ... 60 '경제적 인간'의 허와 실 ... 65 이념적 결합 ... 68 어느 소국(小國)의 이야기 ... 71 제3장 민주화 시대의 국가-시민사회 관계의 틀 모색 - 국가, 시장, 민주주의 / 임혁백 머리말 ... 77 국가-시민사회 관계의 틀 : 공동체, 시장, 국가, 결사체 ... 79 전환기 한국의 국가-시민사회 관계의 틀 : 시장 권위주의에서 시장 민주주의로 ... 90 대안적 국가-시민사회 관계의 틀 : 결사체 모델의 가능성과 한계 ... 98 맺는말 ... 105 제2부 이행기의 국가·자본·노동 제4장 한국 노동계급의 정치세력화 문제, 1987∼1992 / 최장집 문제의 제기 ... 109 사회세력간 거시적 힘의 배분 문제 ... 111 정치적 수준에서의 제도화와 노사관계 수준에서의 제도화 및 정책방향 ... 116 산업구조의 변화 ... 124 리더십과 노동자 대중간 관계의 동학(動學)과 노동운동의 내부분화 ... 130 결론 ... 138 제5장 민주화 과정에서의 국가·자본·노동관계의 한국적 현실 / 임현진 ; 김병국 문제의 제기 ... 139 반노동의 국가주도 자본주의 ... 143 노동정치의 구조와 역학 ... 152 민주화 과정의 재음미 : 계급타협의 행로 ... 184 결론에 대신하여 : 현실적 대안의 모색 ... 197 제6장 산업사회에서 국가·자본·노동의 관계 - 선진 산업사회의 경험과 한국의 과제 / 임혁백 머리말 ... 201 산업화와 민주화 ... 203 선진 자본주의적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산업관계 : 다원주의와 조합주의 ... 210 거시경제적 실적 비교 ... 220 선진 산업국가들의 경험이 한국의 산업관계 정립에 주는 교훈 ... 225 제3부 국가정책과 권력의 재생산 제7장 지연된 전환과 '시장'의 환상 - 한국의 성장모델은 아직 유효한가? / 임현진 ; 송호근 한국적 경제성장 모델의 종언 ... 237 분석의 시각과 변수 ... 241 경제자유화와 국가주도 자본주의의 변화, 1980년대 ... 248 지연된 전환과 시장의 환상 : 지역적 경제통합 시대의 한국 경제 ... 263 토론과 결론 ... 270 제8장 정치민주화와 경제민주화를 위한 국가의 역할 / 성경륭 문제 제기 : 정체와 혼미 속의 역사적 대전환 ... 275 자본주의 발전과 정치민주화의 관계 ... 278 정치민주화와 경제민주화를 위한 국가의 역할 ... 315 국가개혁의 조건 : 국가의 자율성과 능력, 그리고 상황적 절박성 ... 329 요약과 결론 ... 334 제9장 국가권력과 '계급정책' - 6공의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 손호철 문제 제기 ... 343 국가권력과 계급정책 : 시론적 이론화 ... 344 한국 국가권력과 계급정책 : 6공화국의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 351 맺는말 ... 368 필자약력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