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수의 말 / 정범진 ... 3
서문 ... 5
일러두기 ... 18
북송시인
왕우칭(王禹稱) ... 19
시골길을 가다〔村行〕 ... 20
봄날의 잡흥〔春日雜興〕 ... 21
해는 긴데 중함에게 편지를 쓰다〔日長簡仲咸〕 ... 22
화전의 노래〔여田詞〕 ... 24
구준(寇準) ... 27
강남의 봄〔江南春〕 ... 27
봄날 누각에 올라 돌아갈 일을 생각하다〔春日登樓懷歸〕 ... 29
여름날〔夏日〕 ... 30
강가의 정자 벽에 쓰다〔書河上亭壁〕 ... 31
임포(林逋) ... 32
산원의 작은 매화〔山園小梅〕 ... 32
스스로 수당을 만들어 절구 한 수 지어 그곳에 기록하다〔自作壽堂因書一絶以誌之〕 ... 34
고산사 승방에서 바라보며 쓰다〔孤山寺端上人房寫望〕 ... 36
범중엄(范仲淹) ... 38
강의 어부〔江上漁者〕 ... 38
안수(晏殊) ... 40
우의〔寓意〕 ... 41
매요신(梅堯臣) ... 43
농부의 말〔田家語〕 ... 45
노산의 산길을 가다〔魯山山行〕 ... 48
도공〔陶者〕 ... 50
농가〔田家〕 ... 51
작은 마을〔小村〕 ... 52
여수 강가의 가난한 집 처녀〔汝墳貧女〕 ... 54
동계〔東溪〕 ... 56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다〔悼亡〕 ... 57
밤에 이웃집의 노래소리를 듣다〔夜聽隣家唱〕 ... 58
진사가 차를 판다는 이야기를 듣다〔聞進士販茶〕 ... 59
고양이를 제사 지내다〔祭猫〕 ... 61
결월〔缺月〕 ... 63
시벽〔詩癖〕 ... 64
구양수(歐陽修) ... 66
저주(저州)를 떠나다〔別저〕 ... 68
익살스럽게 원진에게 답장하다〔戱答元珍〕 ... 71
변방 사람들〔邊戶〕 ... 73
저녁 무렵에 악양성에 배를 매다〔晩泊岳陽〕 ... 76
왕안석의 "명비곡"에 화답하다〔和王介甫明妃曲〕 ... 77
풍락정에서 봄을 즐기다〔豊樂亭遊春〕 ... 79
소순흠(蘇舜欽) ... 81
비로소 날이 개니 창랑정에서 노닐다〔初晴遊滄浪亭〕 ... 82
여름날의 느낌〔夏意〕 ... 84
문동(文동) ... 86
신청 산월〔新晴山月〕 ... 86
망운루〔望雲樓〕 ... 88
달빛 아래 거닐다〔步月〕 ... 88
증공(曾鞏) ... 90
서쪽 누각〔西樓〕 ... 91
성의 남쪽〔城南〕 ... 92
하호에 이르다〔至荷湖〕 ... 93
왕안석(王安石) ... 96
갈계역〔葛溪驛〕 ... 97
왕봉원을 생각하다〔思王逢原〕 ... 100
초여름의 감회를 적다〔初夏卽事〕 ... 103
늦봄에 반산을 보며 감회를 적다〔半山春晩卽事〕 ... 103
서태일궁의 벽에 쓰다〔題西太一宮壁〕 ... 105
내 마음을 적다〔自遣〕 ... 107
야직〔夜直〕 ... 108
매화〔梅花〕 ... 110
의고의 노래〔古意〕 ... 111
황하 이북의 백성들〔河北民〕 ... 113
명비곡〔明妃曲〕 ... 116
장강에서〔江上〕 ... 118
도원행〔桃源行〕 ... 119
낮잠〔午枕〕 ... 122
과주에서 닻을 내리다〔泊船瓜州〕 ... 123
감회를 적다〔卽事〕 ... 125
유반(劉반) ... 127
비 내린 후의 연못〔雨後池上〕 ... 127
신청〔新晴〕 ... 129
성남행〔城南行〕 ... 130
왕령(王令) ... 134
여름 가뭄 속의 고염〔暑旱苦熱〕 ... 134
봄놀이〔春游〕 ... 135
두보의 시집을 읽다〔讀老杜詩集〕 ... 137
굶주린 자의 노래〔餓者行〕 ... 140
소식(蘇軾) ... 142
처음 황주에 오다〔初到黃州〕 ... 145
호수에서 술 한잔 마실 때, 처음에는 맑고 후에는 비가 내리다〔飮湖上初晴後雨〕(其三) ... 147
영구를 나와 처음으로 회하 유역의 산들을 보다. 이날 수주에 도착하다〔出穎口初見淮山是日至壽州〕 ... 150
소철의 "민지회구(민池懷舊)"에 화답하다〔和子由민池懷舊〕 ... 152
도연명의 "음주(飮酒)"에 화답하다〔和陶飮酒〕 ... 154
달밤에 나그네와 살구꽃 밑에서 술을 마시다〔月夜與客飮杏花下〕 ... 157
봄밤〔春夜〕 ... 159
남당〔南堂〕 ... 161
신축 11월 19일 정주 서쪽 문 밖에서 자유와 이별하고 말에 올라 시 한 편을 지어 부치다〔辛丑十一月十九日旣與子由別於鄭州西門之外馬上賦詩一篇寄之〕 ... 163
법혜사의 횡취각〔法惠寺橫翠閣〕 ... 165
병중에 조탑원에서 노닐다〔病中遊祖塔院〕 ... 168
6월 27일 망호루에서 술에 취해 글을 쓰다〔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 ... 170
8월 7일 처음으로 감주로 들어가 황공탄을 지나다〔八月七日初入공過惶恐灘〕 ... 172
서림사 벽에 쓰다〔題西林壁〕 ... 174
정월 20일 기정에 갔는데 황주의 반(潘), 고(古), 곽(郭) 세 사람이 여왕성 동쪽의 선장원에서 나를 전송했다〔正月二十日往 岐亭郡人藩古郭三人送余於女王城東禪莊院〕 ... 176
금산사를 놀러 가다〔游金山寺〕 ... 178
징매역의 통조각〔澄邁驛通潮閣〕 ... 182
오중 시골 아낙네의 한탄 - 가수(賈收)의 운에 화답하다〔吳中田婦嘆 - 和賈收韻〕 ... 184
동쪽 언덕〔東坡〕 ... 187
이세남의 그림 "추경(秋景)"에 부치다〔書李世南所畵秋景〕 ... 189
눈 내린 후 북대벽에 쓰다〔雪後書北臺壁〕 ... 191
6월 20일 밤에 바다를 건너다〔六月二十日夜渡海〕 ... 193
술 마시고 홀로 걸어 자운, 위, 휘, 선각 네 친구의 집에 이르다〔被酒獨行 편至子雲威徽先覺四黎之舍〕 ... 196
백보홍〔百步洪〕 ... 198
임고정으로 이주하다〔邊居臨皐亭〕 ... 201
소철에게 장난을 치다〔戱子由〕 ... 204
한 해를 보내다〔別歲〕 ... 209
소철(蘇轍) ... 212
서호에서 노닐다〔游西湖〕 ... 212
황전견(黃庭堅) ... 214
황기복에게 부치다〔寄黃幾復〕 ... 216
쾌각에 오르다〔登快閣〕 ... 220
낙성사에 부치다〔題落星寺〕 ... 222
하주에게 부치다〔寄賀方回〕 ... 224
동파가 도연명의 시에 화창한 것을 읽고 짓다〔跋子瞻和陶詩〕 ... 226
북창〔北窓〕 ... 228
대나무, 돌, 방목한 소에 부치다〔題竹石牧牛〕 ... 230
악주의 남쪽 누각에서 쓰다〔鄂州南樓書事〕 ... 232
비 맞으며 악양루에 올라 군산을 바라보다〔雨中登岳陽樓望君山〕 ... 233
청명〔淸明〕 ... 236
의접도〔蟻蝶圖〕 ... 238
죽지사〔竹枝詞〕 ... 240
6월 17일 낮잠을 자다〔六月十七日晝寢〕 ... 242
밤에 분녕을 출발하여 두간수에게 부치다〔夜發分寧寄杜澗수〕 ... 243
공택 외숙에게서 차운하다〔次韻公擇舅〕 ... 245
왕안석의 "서태일궁벽"에서 차운하다〔次韻王荊公題西太一宮壁〕 ... 247
소룡단과 반정을 무구에게 주는 시를 짓고 전운을 가지고 즐기다〔以小龍團及半挺贈無咎幷詩用前韻爲戱〕 ... 248
진관(秦觀) ... 251
가을날〔秋日〕 ... 251
금산에서 저녘 풍경을 바라보다〔金山晩眺〕 ... 252
저녁 무렵에 사주성 동쪽에서 바라보다〔泗州東城晩望〕 ... 254
봄날〔春日〕 ... 255
태수상공의 "등루조망"에서 차운하여 읊은 두 수〔次韻太守向公登樓眺望二首〕 ... 256
조충지(晁沖之) ... 259
가을비에 감개하다〔秋雨感事〕 ... 259
조보지(晁補之) ... 261
들판에서〔原上〕 ... 261
장뢰(張뢰) ... 264
밤에 앉아서〔夜坐〕 ... 265
복창의 북쪽 마을을 가을 햇살 속에 가다〔福昌北秋日村行〕 ... 266
감회〔有感〕 ... 268
하주(賀鑄) ... 269
청연당〔淸燕堂〕 ... 269
진사도(陳師道) ... 271
농부〔田家〕 ... 272
세 자식에게 보이다〔示三子〕 ... 274
절구〔絶句〕 ... 276
봄의 회포를 이웃 사람에게 보이다〔春懷示隣里〕 ... 277
세 아이와 헤어지다〔別三子〕 ... 278
이절추의 "아흐렛날에 남산에 오르다(九日登南山)"에서 차운하다〔次韻李節推九日登南山〕 ... 280
멀리 유배간 사람을 생각하다〔懷遠〕 ... 281
추운 밤〔寒夜〕 ... 283
당경(唐庚) ... 285
술에 취해 잠들다〔醉眠〕 ... 285
봄날 교외〔春日郊外〕 ... 288
서부(徐俯) ... 290
봄에 호숫가를 노닐다〔春游湖〕 ... 290
남송시인
여본중(呂本中) ... 292
여름비 내리는 유주의 개원사〔柳州開元寺夏雨〕 ... 292
연주의 양산으로 돌아가는 길〔連州陽山歸路〕 ... 295
봄날의 감회를 적다〔春日卽事〕 ... 296
병란으로 비좁은 골목에서 은거하며 짓다〔兵亂寓小巷中作〕 ... 297
이청조(李淸照) ... 300
여름날의 절구〔夏日絶句〕 ... 300
증기(曾幾) ... 302
삼구부 가는 길〔三衢道中〕 ... 303
소주에서 수주로 가는 길에 7월 25일 밤부터 사흘간 폭우가 쏟아지자 가을 새싹이 돋아 기뻐서 짓다〔蘇秀道中自七月二十五日夜大雨三日秋苗以蘇喜而有作〕 ... 304
임술년 그믐날이니 내일 아침이면 예순 살〔壬戌歲除作明朝六十歲矣〕 ... 306
이미손〔李彌遜〕 ... 309
동강에서 저녁에 산보하다〔東崗晩步〕 ... 309
봄날의 감회를 적다〔春日卽事〕 ... 310
진여의(陳與義) ... 312
파구에서 감회를 적다〔巴丘書事〕 ... 313
봄을 슬퍼하다〔傷春〕 ... 315
천경과 지로를 그리워하여 방문하다〔懷天經智老因訪之〕 ... 318
다시 악양루에 올라 감개하여 시를 짓다〔再登岳陽樓感慨賦詩〕 ... 320
모란〔牡丹〕 ... 322
봄 취위〔春寒〕 ... 324
양읍 가는 길〔襄邑道中〕 ... 326
비〔雨〕 ... 328
빗속에서 술 대할 때 뜰 아래 해당화는 비를 맞아도 시들지 않다〔雨中對酒庭下海棠經雨不謝〕 ... 329
청명〔淸明〕 ... 331
이른 아침에 떠나다〔早行〕 ... 333
장구신의 "수묵매오절"에 화답하다〔和張矩臣水墨梅五絶〕 ... 334
비가 개다〔雨晴〕 ... 335
여름날 보진지 가에 모여 "녹음생주정(綠蔭生晝靜)"을 가지고 시를 읊고 '정(靜)'이라는 운자를 받다〔夏日集보眞池上以綠蔭生晝靜賦詩得靜字〕 ... 337
과거 시험장에서 회포를 적다〔試院書懷〕 ... 340
악양루에 올라 지은 두 수〔登岳陽樓二首〕 ... 341
유자휘(劉子暉) ... 343
도읍을 바라보며 지은 노래〔望京謠〕 ... 343
악비(岳飛) ... 347
지주의 취미정〔池州翠微亭〕 ... 347
육유(陸游) ... 349
매화〔梅花〕 ... 350
삼산의 서쪽 마을에 놀러 가다〔遊山西村〕 ... 352
회포를 적다〔書憤〕 ... 355
검문산 산길을 가다가 가랑비를 만나다〔劍門道中遇微雨〕 ... 357
관산월〔關山月〕 ... 359
아이들에게 보여주다〔示兒〕 ... 363
촌락 가까운 곳에서 조각배 타고 놀다가 배 버리고 걸어서 돌아가다〔小舟游近村舍舟步歸〕 ... 364
산남행〔山南行〕 ... 365
망강 길에서〔望江道中〕 ... 368
초성〔楚城〕 ... 370
임안의 봄비가 막 개다〔臨安春雨初霽〕 ... 371
11월 4일 거센 비바람이 몰아칠 때 적다〔十一月四日風雨大作〕 ... 374
저물어 가는 봄〔春殘〕 ... 375
9월 1일 밤 「검남시고(劍南詩稿)」를 읽은 느낌을 급히 붓을 들어 노래하다〔九月一日夜讀詩稿有感走筆作歌〕 ... 376
가을 밤 새벽녘에 대나무 문을 나서니 서늘한 기운이 있어 느낌을 적다〔秋夜將曉出籬門迎凉有感〕 ... 378
돌아와서 한중의 경내에 묵다〔歸次漢中境上〕 ... 380
장가행〔長歌行〕 ... 382
심씨의 정원〔沈園〕 ... 384
침상에서 우연히 짓다〔枕上偶成〕 ... 386
산두석〔山頭石〕 ... 389
집 북쪽의 조락하는 경물이 특히 아름다워 우연히 짓다〔舍北搖落景物殊佳偶作〕 ... 390
3월 17일 밤 취중에 짓다〔三月十七日夜醉中作〕 ... 391
범성대(范成大) ... 394
봄날 전원의 잡흥〔春日田園雜興〕 ... 396
늦봄 전원의 잡흥〔晩春田園雜興〕 ... 397
여름날 전원의 잡흥〔夏日田園雜興〕 ... 399
겨울날 전원의 잡흥〔冬日田園雜興〕 ... 400
세금 독촉 노래 - 왕건을 본받다〔催租行 - 效王建〕 ... 400
악주의 남쪽 누각〔鄂州南樓〕 ... 404
횡당〔橫塘〕 ... 406
가을 날〔秋日〕 ... 408
하시에서 노래부르는 자를 읊다〔詠河市歌者〕 ... 409
처음으로 석호에 돌아오다〔初歸石湖〕 ... 410
주교〔州橋〕 ... 413
푸른 기와〔碧瓦〕 ... 414
청원의 객사〔淸遠店〕 ... 416
새벽에 황죽령을 출발하다〔早發竹下〕 ... 418
처음으로 태성을 떠나며 농부와 이별하다〔初發太城留別田父〕 ... 419
양만리(楊萬里) ... 421
한가로운 초여름에 낮잠 자고 일어나다〔閒居初夏午睡起〕 ... 423
백가도를 지나가다〔過百家渡〕 ... 424
새벽에 정자사를 나와 임자방을 전송하다〔曉出淨慈寺送林子方〕 ... 426
8월 12일 밤 성재에서 달을 바라보다〔八月十二日夜誠齋望月〕 ... 428
봄에 날이 개자 고향의 해당화를 그리워하다〔春晴懷故園海棠〕 ... 429
처음으로 회하를 들어가다〔初入淮河〕 ... 431
양자강을 지나가다〔過揚子江〕 ... 434
모내기 노래〔揷秧歌〕 ... 436
다음날 취해서 돌아가다〔次日醉歸〕 ... 438
길옆 주막〔道旁店〕 ... 440
조사수(趙師秀) ... 442
며칠간〔數日〕 ... 442
약속한 나그네〔約客〕 ... 443
안탕산의 보관사〔雁蕩寶冠寺〕 ... 444
유재(劉宰) ... 446
들개의 노래〔野犬行〕 ... 446
대복고(戴復古) ... 449
밤에 농가에 머물다〔夜宿田家〕 ... 449
경자년에 기온이 잇따르다〔庚子薦饑〕 ... 450
시박제거 관중이 만공당에 올라 술을 마시며 시를 쓰다〔市舶提擧管仲登飮于萬貢堂有詩〕 ... 452
노비 계약〔동約〕 ... 454
조여수(趙如수) ... 456
밭에서〔롱首〕 ... 457
고저(高저) ... 459
가을날〔秋日〕 ... 459
새벽에 황산사를 나오다〔曉出黃山寺〕 ... 460
왕질(王質) ... 462
동류로 가는 길에서〔東流道中〕 ... 462
산행의 감회를 적다〔山行卽事〕 ... 463
진조(陳造) ... 465
농가의 노래〔田家謠〕 ... 465
누약(樓약) ... 468
금아산의 수석정〔金峨漱石亭〕 ... 468
강기(姜夔) ... 470
호숫가 집에서 이것저것을 읊다〔湖上寓居雜詠〕 ... 470
그믐날 밤 석호에서 소계로 돌아오다〔除夜自石湖歸苕溪〕 ... 471
장평보가 부르되 가고 싶지 않다〔平甫見招不欲往〕 ... 473
석유시〔昔游詩〕 ... 474
서조(徐照) ... 476
촉촉사〔促促詞〕 ... 476
서기(徐璣) ... 478
초가을〔新凉〕 ... 478
옹권(翁卷) ... 480
시골의 4월〔鄕村四月〕 ... 480
들녘을 바라보다〔野望〕 ... 481
유극장(劉克莊) ... 483
북쪽에서 온 사람〔北來人〕 ... 483
병이 나은 후 매화를 찾아 절구 아홉 수를 짓다〔病後訪梅九絶〕 ... 485
북산에서 짓다〔北山作〕 ... 486
원우 당적비를 보다〔觀元祐黨籍碑〕 ... 487
무진년에 감회를 적다〔戊辰卽事〕 ... 490
군영의 일락〔軍中樂〕 ... 491
방악(方岳) ... 493
춘사〔春思〕 ... 493
호숫가에서〔湖上〕 ... 494
화악(華岳) ... 497
농가〔田家〕 ... 497
소나기〔驟雨〕 ... 498
섭소옹(葉紹翁) ... 500
만나지 못하고 정원에서 노닐다〔游園不値〕 ... 500
엄우(嚴羽) ... 502
상관 위장의 "무성만조"에 화답하다〔和上官偉長蕪城晩眺〕 ... 502
악뇌발(樂雷發) ... 505
집을 도망치다〔逃戶〕 ... 507
문천상(文天祥) ... 507
금릉의 역사〔金陵驛〕 ... 508
정기가〔正氣歌〕 ... 509
영정양을 지나가다〔過零丁洋〕 ... 516
진산민(眞山民) ... 519
백사도에서 머물다〔泊白沙渡〕 ... 519
왕원량(汪元量) ... 521
호주의 노래〔湖州歌〕 ... 521
정사초(鄭思肖) ... 524
쓸데없는 웃음〔錦錢餘笑〕 ... 524
기묘년 11月 초하루에 또 매화꽃을 먹는 꿈을 꾸고 꿈속에서 짓다〔己卯十一月朔又夢食梅花夢中作〕 ... 526
임경희(林景熙) ... 528
육방옹의 시집을 읽은 후에 짓다〔題陸放翁詩卷後〕 ... 528
반경옥에게 답하다〔酬潘景玉〕 ... 531
산창의 새로 바른 문종이에 쓰인 지난날 조정에 올린 상주문이 읽고 느끼는 감회〔山窓新糊有故朝封事稿閱之有感〕 ... 534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