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상촌선생집 서문 象村先生集序文
문집을 올리는 차자(文集投進箚子) / 申翊聖 ... 1
상촌집 서(象村集序關吏普興陳瑾) / 潾王甫 ... 3
상촌선생집 서(象村先生集序) / 張維 ... 4
상촌집 서(象村集序) / 李廷龜 ... 8
상촌집 서(象村集序) / 金尙憲 ... 10
신 상국 상촌의 유고를 읽고(讀申相國象村稿) / 유繩甫 ... 12
신상국 상촌고의 서(申相國象村稿) / 姜曰廣 ... 14
상촌집 서(象村集序泰山王楫夢符甫) ... 16
상촌선생집 제1권 象村先生集卷一
사 辭 2수
귀거래사에 화답함(和歸去來辭) ... 17
산지곡사를 청음의 운에 차하다(山之谷辭次淸陰韻) ... 20
부 賦 5수
귀전부(歸田賦) ... 22
이백의 비청추부에 차운하다(次李白悲淸秋賦) ... 26
한창려의 민기부에 차운함(次韓昌黎悶己賦) ... 27
육사형 탄서부에 차운하다(次陸士衡嘆逝賦) ... 29
대각부(大覺賦) ... 34
상촌선생집 제2권 象村先生集圈二
풍체 風體 16장
지주(蜘蛛) ... 36
조풍지십(條風之什) ... 36
기제지십(旣濟之什) ... 37
자작지십(自作之什) ... 38
남묘지십(南묘之什) ... 38
허리지십(墟里之什) ... 39
봉지상의(鳳之祥矣) ... 39
비치(匪齒) ... 40
유란(惟蘭) ... 40
산유어의(山有魚矣) ... 41
무우이거(毋우而車) ... 41
금지산(금之山) ... 42
유회(維檜) ... 43
우지경(宇之傾) ... 43
주도(周道) ... 44
시귀(蓍龜) ... 44
상촌선생집 제3권 象村先生集卷三
악부체 樂府體 49수
동비백로서비연가(東飛伯勞西飛燕歌) ... 47
독불견(獨不見) ... 47
염곡(艶曲) 2수 ... 47
제량체(齊梁體) ... 48
저작요(著作謠) ... 48
장진주(將進酒) 단곡(短曲) ... 49
장진주(將進酒) 장곡(長曲) ... 49
요황화(姚黃花) ... 50
오색라(五色羅) ... 50
성도혜(成都鞋) ... 51
춘의(春意) ... 51
백저사(白紵詞) ... 52
오야제(烏夜啼) 2수 ... 52
삼부염(三婦艶) ... 53
산자고사(山자고詞) 2수 ... 53
채련곡(採蓮曲) ... 54
구유조(拘幽操) ... 54
문왕조(文王操) ... 54
기자조(箕子操) ... 55
조간행(釣竿行) ... 55
삼가행(三家行) ... 56
오후요(五侯謠) ... 56
점대요(漸臺謠) ... 57
빙산요(氷山謠) ... 57
독록편(獨록篇) ... 57
야전황작행(野田黃雀行) ... 59
상류전(上留田) ... 59
생녀행(生女行) ... 60
금용행(金墉行) ... 61
장성행(長城行) 2수 ... 62
책시요(책尸謠) ... 63
춘주탄(春州灘) 2수 ... 64
염곡(艶曲) 2수 ... 64
절양류가(折楊柳歌) 2수 ... 64
고객락(고客樂) ... 65
방어(放語) ... 65
위어(危語) ... 65
미루요(迷樓謠) ... 66
원가행(怨歌行) ... 66
서가랑(西家랑) ... 68
오잡조(五雜俎) ... 68
유옥(有屋) ... 69
답랑사(踏浪詞) 2수 ... 70
산중의 재상(山中相) ... 71
상촌선생집 제4권 象村先生集卷四
악부체 樂府體 1백 49수
보악가(補樂歌)
망고(網고) 복희씨의 악가(樂歌)이다 ... 73
풍년(豊年) 신농씨(神農氏)의 악가이다 ... 74
운문(雲門) 헌원씨(軒轅氏)의 악가이다 ... 74
구연(九淵) 소호씨(少昊氏)의 악가이다 ... 75
오경(五莖) 전욱씨(전頊씨)의 악가이다 ... 75
육영(六英) 고신씨(高辛氏)의 악가이 ... 76
함지(咸池) 도당씨(陶唐氏)의 악가이다 ... 76
대운(大韻) 유우씨(有虞氏)의 악가이다 ... 77
한교사가(漢郊祀歌) 20수
연시일(練時日) ... 78
제림(帝臨) ... 80
청양(靑陽) ... 80
주명(朱明) ... 81
서호(西顥) ... 81
현명(玄冥) ... 82
유태원(惟泰元) ... 82
천지(天地) ... 83
일출입(日出入) ... 85
천마(天馬) 2수 ... 86
천문개(天門開) ... 87
경성(景星) ... 89
재방(齋房) ... 90
후황(后皇) ... 91
화엽엽(華燁燁) ... 91
오신(五神) ... 92
조롱수(朝롱首) ... 93
상재유(象載瑜) ... 94
적교(赤蛟) ... 95
한요가(漢요歌) 18수
주로(朱鷺) ... 96
사비옹(思悲翁) ... 97
애여장(艾如張) ... 97
상지회(上之回) ... 98
전성남(戰城南) ... 98
무산고(巫山高) ... 99
상릉(上陵) ... 99
장진주(將進酒) ... 100
옹리(翁離) ... 100
군마황(君馬黃) ... 101
방수(芳樹) ... 101
유소사(有所思) ... 102
치자반(雉子斑) ... 102
성인출(聖人出) ... 102
상사(上邪) ... 103
임고대(臨高臺) ... 104
원여기(遠如期) ... 104
석류(石流) ... 105
백운요(白雲謠) ... 105
남산가(南山歌) ... 106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 ... 106
군자행(君子行) ... 107
상가행(傷歌行) ... 108
장가행(長歌行) ... 109
원가행(怨歌行) ... 109
단가행(短歌行) ... 110
고한행(苦寒行) ... 111
선재행(善哉行) ... 113
연가행(燕歌行) ... 114
공후인(공후引) ... 115
명도편(名都篇) ... 116
미녀편(美女篇) ... 118
백마편(白馬篇) ... 119
문전유거마객행(門前有車馬客行) ... 119
장안유협사행(長安有狹邪行) ... 120
전완가행(前緩歌行) ... 121
비재행(悲哉行) ... 122
출자계북문행(出自계北門行) ... 123
동문행(東門行) ... 124
계지수행(桂之樹行) ... 124
당장욕고행(當墻欲高行) ... 125
당욕유남산행(當欲遊南山行) ... 125
당사군행(當事君行) ... 126
당거이가행(當車已駕行) ... 126
승천행(升天行) ... 127
선인편(仙人篇) ... 128
전유일준주행(前有一준酒行) ... 129
금악가(金樂歌) ... 129
행행차유렵편(行行且遊獵篇) ... 130
공성작(空城雀) ... 131
결말자(結말子) ... 131
고어과하읍(枯魚過河泣) ... 132
거요요(車遙遙) ... 132
양반아(楊叛兒) ... 133
심양악(尋陽樂) ... 133
고악부(古樂府)
강남롱(江南弄) ... 133
용적곡(龍笛曲) ... 134
채련곡(採蓮曲) ... 134
봉생곡(鳳笙曲) ... 135
채릉곡(採菱曲) ... 135
유녀곡(游女曲) ... 135
조운곡(朝雲曲) ... 135
장간곡(長干曲) ... 136
석성악(石城樂) ... 137
백부구(白附鳩) ... 137
동생곡(同生曲) ... 137
오농가(懊농歌) ... 138
고객악(고客樂) 2수 ... 138
양춘곡(陽春曲) ... 139
청양도(靑陽度) 3수 ... 139
청총백마(靑총百馬) ... 140
공희악(共戱樂) ... 141
오야제(烏夜啼) 2수 ... 141
서오야비(西烏夜飛) ... 143
여아자(女兒子) ... 142
내라(來羅) 2수 ... 143
나가탄(那呵灘) 6수 ... 143
맹주(孟珠) 10수 ... 145
예악(예樂) ... 147
야황(夜黃) ... 147
장송표(長松標) ... 148
수행전(繡行纏) ... 148
번양지(번陽枝) ... 148
막수악(莫愁樂) ... 149
자야가(子夜歌) 10수 ... 149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 152
백석낭곡(白石郎曲) ... 153
오농곡(懊농曲) ... 153
종군오경전(從軍五更轉) 5수 ... 153
사언(四言)
목동도(牧童圖) ... 155
녹마탄(鹿馬嘆) ... 155
설야방대도에 제하다(題雪夜訪戴圖) ... 156
소자춘행도에 제하다(題邵子春行圖) ... 156
이소걸해도에 제하다(題二疏乞骸圖) ... 157
정절망산도에 제하다(題靖節望山圖) ... 158
상촌선생집 제5권 象村先生集卷五
시 詩
오언고시 五言古詩 60수
고의(古意) ... 161
제인관으로부터 후치를 넘어가다(自濟人館踰厚峙) 후치는 갑산(甲山)의 고개 이름이다 ... 162
정관령을 지나며(度定關嶺) ... 163
일본에 사신가는 추포를 전송하다(送秋浦使日本) 추포는 황공 신(黃公愼)의 호이다 ... 164
임두경에게 주다(贈任斗卿) 이름은 전(전)이다 ... 165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이양구를 전송하였다(送李養久解官還鄕) 이름은 시발(時發)이다 ... 166
오릉아(五陵兒) ... 167
감흥(感興) 2수 ... 168
경사에 조회가는 선원을 전송하다(送仙源朝京師) 선원은 김공 상용(金公尙容)의 호이다. 이때에 왜란(倭亂)으로 인해 길이 막혔으므로, 배를 타고 해서(海西)로 내려갔다 ... 170
일에 느낌이 있어 읊다(感事吟) ... 171
용천군 미관진에서 바다를 바라보다(龍川郡彌串鎭望海) 2수 ... 173
설촌에게 주다(贈說村) 설촌은 정공 엽(鄭公曄)의 호이다 ... 174
규원(閨怨) ... 175
기성에서 안 사내 경창에게 주다(箕城贈安四耐慶昌) 이 사람은 중인데, 나이 80에 얼굴이 소년 같았고, 사내가 그의 호라 한다 ... 176
역사를 읊음(詠史) ... 177
북관에서 동행하던 노씨 이씨 두 사람에게 장난삼아 지어주다(在北關戱贈同行魯李兩氏) ... 178
단거(端居) ... 180
악사 이용수에게 주다(贈李樂師龍壽) ... 181
미관에서 집에서 온 편지를 받다(在彌串得家書) ... 181
영유에서 사제와 작별하다(在永柔別舍弟) ... 183
미관에서 경사에 조회가는 설촌을 전송하다(在彌串送雪村朝京師) ... 184
회포를 서술하다(送懷) ... 186
복재가 붓을 전해준 것에 대하여 노래하였다(復齋傳筆歌) 병서 ... 194
아작음(鴉鵲吟) ... 196
정녀편(靜女篇) ... 197
즉사(卽事) ... 199
촌행(村行) ... 199
병으로 벼슬을 사퇴하다(謝病) ... 200
순안차 제주에 가는 청음을 전송하다(送淸陰巡按濟州) 김공 상헌(金公尙憲)이다 ... 202
동파의 글을 읽고 우연히 적다(謫東坡偶書) ... 203
청음에게 주다(贈淸陰) ... 204
사신을 보좌하여 북경에 가는 남곽을 보내며(送南郭贊介朝京師) 박공 동열(朴公東說)이다 ... 204
함경도에 부임하는 이 도사 현영를 보내며(送李都事顯英赴咸鏡道) ... 206
호남으로 인재를 시취하러 가는 윤어사 훤를 보내며(送尹御史暄試才湖南) ... 207
회포를 풀며(遣懷) 2수 ... 208
우언으로 경사에 조회가는 월사를 보내며(寓言送月沙朝京師) 이공 정귀(李公廷龜)이다 ... 210
부질없이 짓다(漫成) 4수 ... 212
밤에 읊다(夜吟) ... 214
성주에 부임하는 홍휘세를 보내다(送洪輝世赴星州) 서봉(瑞鳳)이다 ... 215
이백의 운을 쓰다(用二白韻) ... 215
고성에 가는 사람을 보내며(送人之高城) ... 216
평양 적관으로부터 순안에 당도하기까지 사잇길로 가다(自平壤狄串抵順安由間路) ... 218
농두수(농頭水) ... 219
눈병에 대하여 스스로 위로하다(眼病自慰) ... 219
동파의 운에 차하다(次東坡韻) ... 221
송경의 막부로 가는 청음을 보내다(送淸陰赴松京幕) ... 222
붓 가는 대로 써서 제랑에게 보이고 인하여 시를 짓지 않은 조랑을 조롱하다(信筆示諸郞仍嘲趙郞不作詩) 4수 ... 223
영사(詠事) 2수 ... 229
일에 느끼어 읊다(感事吟) ... 230
인정에 대하여 읊다(人情吟) ... 231
소 필선에 대한 만사(挽蘇弼善) 이름은 광진(光震)이다 ... 232
나는 세상 일에 대하여 백에 하나도 능하지 못하므로, 장난삼아 능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 읊었다(余於世事百無一能戱作不能吟) ... 233
큰소리로 읊다(放吟) ... 234
숙직하다(夜直) ... 234
상촌선생집 제6권 象村先生集卷六
시 詩
오언고시 五言古詩 1백18수
진 자앙의 감우에 차운하다(次陳子昻感遇) ... 236
팔월 십사일에 처음으로 금포의 선영에 가서 재목을 모아 조그마한 띠집 하나를 짓고 두소릉의 운을 차하다(八月十四日始到금浦先영鳩材構小茅茨次杜小陵韻) ... 256
죽은자에 대한 탄식(死者嘆) ... 258
백년(百年) ... 258
농가의 민요(田家謠) ... 259
탁목행(啄木行) ... 259
우언(寓言) 진퇴격(進退格) ... 260
이백의 운을 차하였다(次李白韻) ... 261
이백의 자극궁의 운을 차하다(次李白紫極宮韻) ... 261
가을의 회포(秋懷) 2수 ... 262
익성과 익량에게 보이다(示翊聖翊亮) 병소서(幷小序) ... 263
추위에 고생하며(苦寒) ... 266
생사에 대하여 읊다(生死吟) ... 267
나무벌레에 대하여 읊다(樹충吟) 병소서 ... 267
서찰(書札) ... 270
박 첨지에 대한 만사(挽朴僉知) 이름은 동망(東望)이다 ... 270
바위 위에 쓰다(題巖上) ... 273
이생 현기가 자기 아버지의 적소로부터 재를 넘어 해변에 와서 나를 방문하였으므로 작별할 때에 시를 지어 주어보내다(李生顯基自其家大人謫所踰嶺抵海訪余臨別詩以贈行) ... 273
우연히 씀(偶書) ... 275
구월 구일에 좌상에 주다(九日贈座上) ... 276
농부의 탄식(農夫嘆) ... 277
후십구수(後十九首) 병서 ... 278
의고(擬古) 6수 ... 291
생각을 부침(寄懷) 4수 ... 294
우감(寓感) 2수 ... 296
답청일에 읊다(踏靑日口呼) ... 297
동파의 천거운을 차하다(次東坡遷居韻) ... 298
이부(此府) ... 299
죽음의 적소에 부치다(寄竹陰謫所) ... 300
일에 느낌이 있어 읊다(感事吟) ... 301
유호행(有狐行) ... 302
전유(前有) ... 302
붓을 달려 적막함을 달래다(走筆遣숙) ... 304
전가영(田家詠) ... 305
백사의 부음을 듣고(聞白沙哀報) 2수 ... 305
수몽에게 부치다(寄守夢) ... 307
일에 느낌이 있어(感事) ... 307
수춘에서 구월 구일에 여러 가지 사물을 섞어 읊다(壽春九日雜詠) 5수 ... 308
백선명에 대한 만사(挽白善鳴) 이름은 진남(振南)인데 부자(父子)가 모두 서법(書法)으로 이름이 있었다 ... 310
서중(書中) ... 311
경사에 조회가는 이 동지 춘원를 보내며(送李同知春元朝京師) ... 312
구호(口呼) ... 313
최근 8-9년 동안에 친구들이 죽어서 절반은 지하(地下)에 있는데 꿈속에서 가끔 서로 만나므로 꿈을 깨고 나서 짓다(八九年來親朋零落半在泉下夢中時時相見覺而有作) ... 313
이 여주에 대한 만사(挽李驪州) 이름은 유록(유祿)임. 병서(幷書) ... 314
우연히 쓰다(偶書) 2수 ... 316
손자 면의 관례를 행하다(冠孫冕) ... 317
함경도를 안찰하러 가는 이 관찰사 홍주를 보내며(送李觀察弘胄按咸鏡道) ... 325
오봉 등 제공의 운을 차하여 이정랑 경엄의 사천 별업에 쓰다(題李正郞景嚴斜川別業次五峯諸公韻) ... 327
병오년 봄 조사(詔使) 주지번(朱之蕃)이 나왔을 때에 사제(舍弟)가 봉산군수(鳳山郡守)로 있으면서 연로(沿路)의 공접(供接)을 맡았었는데, 이 때문에 주지번이 '침운정(枕雲亭)' 3자를 써서 사제에게 주었다. 그런데 뒤에 사제가 원주목사(原州牧使)를 그만두고 내가 있는 금포(금浦)의 장사(庄舍)로 와 우거하면서 장사의 ... 328
상촌선생집 제7권 象村先生集卷七
시 詩
칠언고시 七言古詩 44수
장가행(長歌行) ... 330
을미년 가을에 호기(胡騎)가 명천(明川)의 산보(山堡)를 침범하여 순찰사의 휘하에 있던 김신원(金信元)·백응상(白應祥) 등이 계원장(繼援將)으로 모두 전사했는데, 그후 얼마 안 되어 내가 순안어사(巡按御史)로 북녘을 들어가니, 북녘 사람이 그 당시의 일을 자세히 얘기해주므로, 내가 그 말을 듣고 슬프게 여겨 장구(? ... 331
단천군에서 제석에 읊다(端川郡除夕口呼) ... 334
함관행(咸關行) ... 337
방가행(放歌行) 설촌(雪村)에게 주다 ... 339
비막비(悲莫悲) ... 341
창문곡(창門曲) ... 341
감춘(感春) ... 343
남자행(男子行) ... 343
노안도에 제하다(題蘆안圖) ... 344
규원(閨怨) 2수 ... 345
큰소리로 노래하다(浩歌) ... 346
천지음(天地吟) ... 347
장단구(長短句) 남의 운에 차하다 ... 348
몽여에게 부치다(寄夢興) 정사호(鄭賜湖)이다 ... 349
경사에 조회가는 호고를 보내며(送好古朝京師) 장만(張晩)이다 ... 349
동쪽으로 노닐러 가는 범옹을 보내며(送范翁東遊) 이수준(李壽俊)이다 ... 350
구호하여 소년자에게 장난삼아 보이다(口呼戱示少年子) ... 351
종남행(終南行) ... 352
무더위에 휴가를 내다(욕暑休告) ... 353
변방의 경보를 듣고(聞邊警) ... 354
민우에게 주다(贈閔祐) 전각(篆刻)에 능한 사람이다 ... 355
병오년에 주지번(朱之蕃)·양유년(梁有年) 두 조사(詔使)의 영위(迎慰)차 이곳에 왔을 때, 열지(說之)는 황주목사(黃州牧使)로 있었고, 자룡(子龍)은 서도 관찰사(西道觀察使)로 있었으며, 사제(舍弟) 또한 가환(家患)이 없었으므로 모두 이곳을 왕래하면서 함께 좋은 경치를 완상하는 즐거움이 있었다. 그런데 금년에 유? ... 356
인수에게 장구를 주다(贈仁수長句) 송영구(宋英구)이다 ... 357
조사 주지번이 한강에서 고기잡는 것을 구경하며 지은 시운에 차하다(次朱詔使之蕃漢江觀漁韻) ... 359
걸교사(乞巧詞) ... 361
규수 허씨의 사시사가 세상에 유행하므로 내가 보고 거기에 화답하다(閨秀許氏四詩詞行於世余見而和之) ... 361
두 소릉의 곡강 삼장의 운에 차하다(次杜少陵曲江三章) ... 364
학곡의 관동 송별첩에 제하다(題鶴谷關東送別帖) 홍공 서봉(洪公瑞鳳)이다 ... 365
내가 방축되고 나서는 호를 방옹이라 고치고 마침내 그 일을 읊다(余旣放逐改號放翁逐賦其事) ... 366
항개행(항慨行) ... 366
사인도가(四寅刀歌) 세속에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인년(寅年)·인월·인일·인시에 두드려 제조한 칼을 사인검(四寅劍)이라 한다. 이것이 잡귀를 물리친다고 하는데, 갑인년 정월에 동양위(東陽尉)가 나를 위해 이 칼을 주조해 주었다 ... 367
소 동파의 난계가에 차운하다(次蘇東坡蘭溪歌) ... 368
꿈을 기억하여 장난삼아 적다(紀夢戱書) ... 368
강항령(强項令) ... 370
눈이 내린 뒤에 사냥하는 매를 보고 짓다(雪後觀獵鷹有賦) ... 371
선원의 시에 차운하다(次仙源) ... 372
상촌선생집 제8권 象村先生集卷八
시 詩
칠언고시 七言古詩 25수
방가행(放歌行) ... 375
생로병사고에 대하여 읊다(生老病死苦吟) 병소서(幷小序) ... 377
회포를 읊다(詠懷) ... 378
남곡행(南谷行) ... 380
단가행(短歌行) ... 381
현달행(賢達行) ... 383
호가(浩歌) 4수 ... 384
전가사(田家詞) ... 386
병진년 팔월(丙辰八月) ... 386
지일행(至日行) ... 387
소양천객행(昭陽遷客行) 병서 ... 387
방가(放歌) 2수 ... 403
김응하를 애도하다(悼金應河) ... 404
목동사(牧童詞) ... 405
갑인년에 지은 한(寒)자의 운을 거듭쓰다(疊甲寅寒字韻) 2수 ... 406
강(江)자의 운을 읊어서 회포를 부치다(口呼江字韻期懷) ... 409
노자를 읊다(老子吟) ... 410
궁달에 대하여 읊다(窮達吟) ... 412
봉쟁인(鳳箏引) 제량체(齊梁體) ... 413
황추포의 옛 별장을 찾다(過黃秋浦故莊) ... 414
상촌선생집 제 9권 象村先生集卷九
시 詩
오언율시 五言律詩 1백 23수
용만관에 머물러 체소를 송별하면서 그의 운에 차하다(龍灣館留別體素次其韻) 2수. 이공 춘영(李公春英)이다 ... 417
강음현에서 혼자 앉아 읊다(江陰縣獨坐) 진퇴격(進退格) ... 418
갑오년 봄에 이조 정랑으로 병가를 내어 휴식하면서 추포에게 부치다(甲午春以吏部病告休식寄秋浦) 2수 ... 418
관서의 노상에서 짓다(關西路上有作) ... 419
저녁 비(晩雨) ... 419
연 상인에게 주다(贈連上人) ... 420
병으로 사직하다(移病) 진퇴격 ... 420
풍담유고의 후미에 쓰다(書楓潭遺稿後) ... 421
우후(雨後) 2수 ... 422
이조(吏曹)의 관직을 사임하고 강동의 촌사로 돌아가려면서 짓다(鮮吏部欲歸江東村舍有作) 진퇴격 ... 423
용천군을 들어가며(入龍川郡) ... 423
오랫동안 연경에서 손노릇하다(久客燕中) ... 424
제야에 옥하관에서 동행들에게 보이다(除夜在玉河館示同行) ... 424
사제에게 주다(贈舍弟) 6수 ... 425
을미년 가을에 순안어사로 영북(嶺北)을 가면서 함관령을 넘으려던 차에 관동 사람을 만나 강릉의 신사군 경진에게 부치다(乙未秋以巡按御史赴嶺北將度咸關嶺逢關東人寄江陵辛使君慶晋) 2수 ... 428
적생으로부터 삼수에 다다르다(自積生抵三水) ... 429
육진으로부터 길주에 돌아오다(自六鎭還吉州) 2수 ... 429
길주에 머물다(留吉州) ... 431
단천에 머무르다(留端川) 3수 ... 431
새해에 단천의 사군 심공 극명이 자리를 베풀고 와서 나의 객지의 회포를 위로하고 인하여 시를 청하기에 그 자리에서 써서 주다(新歲端川使君沈公克明設筵來慰余旅懷仍索詩席上書贈) ... 432
단천군에 오래 머무르다(久留端郡) 3수 ... 433
즉사(卽事) ... 434
현수상인에게 주다(贈玄修上人) ... 435
북도 순안의 임기를 마치고는 또 도원수의 막하에 부임하여 조도사 수익에게 주다(北按瓜滿又赴都元師幕下贈趙都事守翼) ... 435
비홍 도중에서(飛鴻道中) ... 436
밤에 홍양관에 앉아서(洪陽館夜坐) ... 437
곤양에 이르러 집에서 온 편지를 보다(到昆陽見家書) ... 437
영변에 부임하는 남곽을 보내다(送南郭赴寧邊) 2수 ... 438
양 정랑 사형의 영하정에 써붙이다(題楊正郞士衡映霞亭) 순창(淳昌)에 있다 ... 439
평양 이무경의 별장에 쓰다(題平壤李無競別墅) ... 439
견흥(遣興) ... 440
무술년 여름에 군향의 운반을 독촉할 일로 임명을 받고 해로로 양서에 가면서 임진을 건너다(戊戌夏以軍餉催運差往兩西海路渡臨진) ... 441
광량진에 도착하다(到廣梁鎭) 2수 ... 441
사신 일행으로 경사에 조회가는 조 원외랑 수인을 보내며(送趙員外守寅贊介朝京師) ... 442
재차 용천에 이르다(再到龍川) 2수 ... 442
미관진에 이르러 체류하여 돌아가지 못하다(到彌串鎭滯留未還) 2수 ... 443
구일(九日) ... 444
번민을 물리치다(排悶) ... 445
강서의 박씨 집에서 범옹을 작별하다(江西朴舍別范翁) ... 445
함경도에 가는 사람을 보내며(送人赴咸鏡道) ... 446
일송의 운에 차하다(次一松韻) 심상 희수(沈相喜壽)이다 ... 446
치천에게 부치다(寄稚川) 2수 윤상방(尹相昉)이다 ... 447
송 인수에게 주다(贈宋仁수) ... 448
한가로이 있으면서(閑居) 진퇴격 ... 448
시세를 걱정하다(傷時) ... 449
사제에게 부치다(寄舍弟) ... 449
어버이에게 문안가는 선원과 청음 형제를 보내다(送仙源淸陰兄弟寧親) 2수 ... 450
한흥(閑興) 5수 ... 451
비온 뒤에 홀로 앉아서(雨後獨坐) ... 453
난리 뒤에 서총대의 옛터에 오르다(亂後登瑞蔥臺故址) ... 453
공퇴(公退) 3수 ... 454
지봉에게 주다(贈芝峯) 이공 수광(李公수光)이다 ... 455
경사에 조회가는 서경을 보내다(送西坰朝京師) 유공 근(柳公根)이다 ... 456
지봉이 내방한 데에 사례하다(謝芝峯來訪) ... 456
도사의 연위사로 의주에 가는 지봉을 보내다(送芝峯以都司延慰使往義州) ... 456
원접사의 종사관 이 정랑 안눌을 보내다(送遠接使從事官李正郞安訥) ... 457
풍담에 써 붙이다(題楓潭) 진사(進士) 이숭경(李崇慶)이 거처하던 곳이다. 이숭경은 시에 능했고, 거처하던 곳에 임학(林壑)의 뛰어난 경치가 있었는데, 나이 79세에 죽었다 ... 457
소한일 병중에 읊어서 좌상에 보이다(小寒日病吟示座上) ... 458
신축년 납일을 보내며(過辛丑臘) ... 459
동지에 눈온 것을 보고 영외의 여러 친구들을 생각하다(至日見雪憶嶺外諸友) ... 459
동지에 병으로 자리에 누워서(至日病臥) ... 460
청음의 운에 차하다(次淸陰韻) ... 460
눈온 뒤에(雪後) ... 460
즉사(卽事) ... 461
상주에 부임하는 김경택을 보내다(送金景擇赴尙州) ... 462
허하곡의 운에 차하여 덕양유고의 후미에 쓰다(題德陽遺稿後次許荷谷韻) ... 462
공사(供仕) ... 463
최진사 전은 나의 막역한 친구인데, 뛰어난 재주가 있고 풍채가 빼어나서, 어릴 때부터 이미 훌륭한 명성이 있었다. 조금 자라서는 곧 성리를 싫어하여 멀리 산수 사이에 노닐었으니 참으로 하 감호가 이른바 적선으로서 더불어 세상 밖에 정신적으로 노닐 만한 사람이었다. 시문·초서·음악·단청에 모두 뛰어났고, 양포? ... 463
갑진년 정월 대보름에(甲辰上元) ... 465
조용히 살다(靜居) ... 465
한식일에 선릉으로부터 돌아올제, 동양위가 양화도 어귀까지 마중을 나왔으므로 인하여 함께 강가의 조그마한 정자에 올라가 잠시 쉬었는데, 그 정자주인이 누구냐고 물으니 판서 장운익의 별장이라고 하였다(寒食日歸自先롱東陽來迎於楊花渡口因登江畔小亭暫憩問其亭主則乃張判書雲翼別墅云) ... 465
경사에 조화가는 이 서장관 준을 보내다(送李書狀埈朝京師) ... 466
잡흥(雜興) 5수 ... 467
저녁 경치(夕景) ... 469
동호의 수월정에서 노닐다(游東湖水月亭) 병소서 ... 470
청음의 북제를 방문하다(訪淸陰北第) ... 471
영북에 부임하는 홍 도사 명원를 보내다(送洪都事命元赴嶺北) ... 471
태징의 집에서 윤 원외 황를 만났는데 그가 곧 통제의 막하로 가려면서 송별시를 지어달라고 하기에 즉석에서 써주다(台徵第遇尹員外煌將赴統制幕下徵別章卽席題) ... 472
이 첨지 영서에 대한 만사(挽李僉知榮緖) 충신 주계군(朱溪君)의 후손으로, 나이 80세에 통정(通政)에 올랐다. 주계군이 나에게는 외선조(外先祖)가 되는데, 호는 성광(醒狂)이다 ... 472
금중에 입직(禁直) ... 473
상주에 부임하는 선원을 보내다(送仙源赴尙州) ... 474
남 낭천 부시을 보내다(送南狼川復始) ... 474
군기시의 대청에 써붙이다(題軍器寺大廳) ... 475
대동도에 부임하는 송 찰방 영구을 보내다(送宋察訪英耉赴大同) ... 475
서경의 운에 차하여 송 찰방에게 주다(次西坰韻贈宋察訪) ... 476
구월 구일 청음에게 주다(九日贈淸陰) ... 476
의주에 부임하는 구 부윤 의강을 보내다(送具府尹義剛赴義州) ... 477
흥을 부치다(寓興) ... 477
창기에게 부치다(寄昌期) 창기는 이때 북쪽 우역(郵驛)에 임관되었고 나는 의주(義州)에 영위사(迎慰使)로 있었다 ... 478
운 첨지 기에 대한 만사(挽尹僉知祁) ... 478
회포를 풀며(遣懷) ... 479
동양위가 경회루의 연못 가에서 노닌다는 말을 듣고 기제하여 옛일을 회상하다(聞東陽遊慶會樓池畔寄題感舊) ... 479
휴가를 내다(休告) ... 480
구일(九日) ... 480
감회(感懷) ... 481
병오년 섣달 그믐날 밤에(丙午除夕) 2수 ... 48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