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3 1-1. 연구 목적 ... 3 1-2. 연구 범위와 내용 ... 3 1-3. 연구 방법 ... 4 1-4. 지역주의 또는 향토성에 관한 의미 ... 4 1-5. 연구 흐름 개념도 ... 5 Ⅱ. 제주도 지리 및 인문사회 배경 ... 11 2-1. 지리 환경 ... 11 2-2. 인문사회 환경 ... 16 2-3. 소결 ... 22 Ⅲ. 제주도 전통민가에 대한 고찰 ... 25 3-1.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고찰 ... 25 3-2. 전통민가 자료(안거리) 조사분석 ... 34 3-3. 전통민가 설문 조사 ... 43 3-4. 소결 ... 46 Ⅳ. 주거 실태조사에 관한 분석 ... 49 4-1. 본인과 가족 및 주택에 대한 기본사항 ... 49 4-2. 현재 살고 있는 집에 대한 일반사항 ... 53 4-3. 현재 살고 있는 집에 대한 환경사항 ... 58 4-4. 새로 집을 짓는다고 할 경우 희망사항 ... 62 4-5. 주택 평면 형태에 관한 사항 ... 65 4-6. 주택 각실의 방위, 평면, 가구 및 천정고 등에 관한 사항 ... 68 4-7. 주택 평면의 실구성에 관한 사항 ... 71 4-8. 주택의 창호에 관한 사항 ... 75 4-9. 주택 입면과 지붕에 관한 사항 ... 77 4-10. 대문 및 울타리에 관한 사항 ... 85 4-11. 의장에 관한 사항 ... 87 Ⅴ. 제주도 현대 단독주택 작품 조사 및 분석 ... 93 5-1. 건축사 회원의 주요작품 분석 ... 94 5-2. 건축사의 허가필 단독주택 규모 분석 ... 95 5-3. 허가필 작품 분석 ... 104 5-4. 소결 ... 134 Ⅵ. 제주도 민가의 환경 계획적 조사 ... 139 6-1. 자연환경을 고려한 제주도 전통민가의 특성 ... 139 6-2. 열환경 이론 ... 142 6-3. 제주도의 기후분석 ... 146 6-4. 제주도 전통민가의 온열환경 실태조사 ... 152 6-5. 주거환경에 대한 주민의 설문조사 ... 171 6-6. 쾌적한 주거환경계획을 위한 설계지침 ... 174 6-7. 소결 ... 186 Ⅶ. 주택 외장 색채 계획 ... 191 7-1. 제주도의 자연색채 ... 191 7-2. 제주도의 전통민가색채 ... 193 7-3. 제주도의 인공색채 현황조사 ... 194 7-4. 제주도 주택 색채분포의 특성 ... 211 7-5. 색채에 대한 설문 조사 ... 214 7-6. 제주도주택의 색채환경 개선을 위한 제언 ... 218 7-7. 소결 ... 220 Ⅷ. 제주도 건축사들의 지역(향토)성에 대한 인식 ... 229 8-1. 제주도 건축사의 인적사항 ... 229 8-2. 제주도 건축사의 지역(향토)성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 230 8-3. 주거실태 설문조사중 지역(향토)성에 관한 분석 ... 238 8-4. 소결 ... 240 Ⅸ. 주거공간과 주거의식 ... 245 9-1. 주거공간, 주거의식 및 주생활의 상호작용 ... 245 9-2. 주거의식 및 주생활 분석에 의한 주거공간 특성 파악 ... 247 9-3. 주거공간 분석에 의한 주거의식, 주생활의 특성 파악 ... 253 9-4. 주거의식 및 주생활과 주거공간의 특성파악을 위한 보완검증조사 ... 259 9-5. 소결 ... 286 Ⅹ. 한반도 지역별 전통주거 고찰 ... 291 10-1. 한반도 전통민가유형 분포·분류 방식 ... 291 10-2. 남한 각 지방별 민가의 특색 ... 296 10-3. 한반도 전통민가와 제주도 전통민가의 비교 ... 305 XI. 외국의 전통형 건축의장 사례 ... 309 11-1. 외국 사례별 위치구분 배경 ... 309 11-2. 동북아시아 사례 ... 310 11-3. 동남아시아 사례 ... 312 11-4. 외국의 전통민가와 제주도 전통민가의 비교 ... 317 XII. 종합고찰 ... 321 12-1. 향토성에 관한 연구의 흐름 ... 321 12-2. 본론의 분석요약 ... 323 12-3. 지역성을 고려한 현대주거의 개선권장 사항 ... 354 12-4. 제주도 주거의 향토성에 대한 미래상 ... 356 참고문헌 ... 361 부록 ...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