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 백문백답편 서문의 문답 1. 저자의 풍수일생기 ... 19 (1) 선생님은 '왜' 풍수(風水)가 되셨나요. ... 20 (2) 풍수 강의(風水 講義)는 '왜' 하게 되었는가. ... 22 (3) (명당입문(明堂入門))을 쓰게 된 동기는? ... 23 (4) 보물이었던 풍수 비기(風水 秘記)는 어떠한 특색의 글이었나. ... 24 (5) 풍수 비기(風水 秘記)는 두 번째 스승이다. ... 26 (6) 필자는 그 풍수 비기라는 것을 가지고 어떠한 식으로 공부하였는가. ... 27 (7) 그 후 부모님을 명당 길지(明堂吉地)에 모시게 되었는가. ... 28 (8) 명당 길지를 써서 과연 발복이 있었는가. 있었으면 어떠하던가. ... 29 (9) 필자가 말한 집안 내력 중 고쳐진 것이 있으면 말해보라. ... 30 (10) 명문가의 꿈은 어찌 되어가며 발복이 더 있으면 말해보라. ... 32 (11) 손자대에는 명문이 되겠는가. ... 33 제1장 풍수 상식 문답 1. 풍수자연의 이치 ... 37 (1) 풍수지리(風水地理)란 무엇인가. ... 38 (2) 풍수학이 없었을 때는 어떻게 살았을까. ... 39 (3) 풍수(風水)는 어떠한 체계로 학문화되었나. ... 40 (4) 풍수학문은 도입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 발상하였는가. ... 41 (5) 풍수의 전성기는 언제부터인가. ... 42 (6) 풍수철학(風水哲學)은 서양에서도 하고 있는가. ... 43 (7) 풍수적 태교의 진리가 있다는데 어떠한 이치인가. ... 44 (8) 명당을 써도 덕인(德人)이어야 발복하는가. ... 46 2. 산세의 자연현상 ... 49 (1) 명당국세(明堂局勢)란 어떠한 산의 형태를 말하나? ... 50 (2) 망지국세(亡地局勢)란 어떠한가? ... 51 (3) 명당국세의 등차와 한양국세(漢陽局勢)는 어떻게 생겼나? ... 52 (4) 현 서울 한양국세의 풍수(風水)적 이치에 국운도 결부되는가? ... 53 (5) 명당(明堂)과 명혈(名穴)은 어떻게 다르며 망지(亡地)는 어떠한 곳인가? ... 56 (6) 망지(亡地)는 얼마나 나쁜 곳이며 어떠한 해가 있는가? ... 57 (7) 명당이라는 단어는 유행어같이 쓰인다. ... 58 3. 명당과 명혈의 이치 ... 59 (1) 명혈(名穴)은 풍수(風水) 눈에만 보이는지 우리 눈에도 공감할 수 있는지 명혈의 모양을 설명해 주시오. ... 60 (2) 명혈의 크기에 한도가 있는가. ... 61 (3) 풍수 역사 이래 명혈(名穴)의 근거는 어디에 두어 판정했는가. ... 62 (4) 명혈(名穴)이란 어떠한 것이며, 황골(黃骨)이 되는 이치는 어떠한가. ... 63 (5) 명혈에서 황골이 되는데 학술적 연구나 경험, 또 시험해 본 근거가 있으면 제시하라. ... 64 (6) 명혈이 아니면 더러운 각종 염(炎: 더러움)이 든다던데. ... 67 (7) 명혈의 등차와 부귀(富貴)의 등차를 알아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 68 (8) 명혈의 등차와 급수 발복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설명하시오. ... 69 4. 발복에 대한 상식 ... 71 (1) 발복(發福)의 뜻은 무엇이며 어떤 것입니까. ... 72 (2) 명당 지역의 기질에 대하여 특별한 실례가 있습니까. ... 73 (3) 명혈이 발복(發福)하는 데에도 시효가 있습니까. ... 75 (4) 옛 조상들께서 애써 찾았던 길지(吉地)란 어느 정도의 명혈인가. ... 76 (5) 발복 시효의 실례가 있으면 말해보시오. ... 77 (6) 명혈에 들어가야 할 임자가 아니면 발복이 없다던데 풍수 이치가 그러한지요. ... 79 (7) 명혈에서 받는 발복의 힘은 누가 써도 다 같은 것인지. 또 차이가 있는지요. ... 81 제2장 장법문답 1. 장사 지내는 상식 ... 85 (1) 장사, 이장 결혼식의 택일(擇日)을 꼭 보아야 하는지요. ... 86 (2) 택일에 있어서 윤(閏)달은 정말 해(害)가 없는가. ... 89 (3) 죽은이에게 갈아입히는 수의(壽衣)도 풍수적으로 보는 이치가 있는가. ... 91 (4) '가진 염'과 '보통 염' 어느 쪽이 풍수적으로 더 좋은가. ... 92 (5) '가진 염'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 93 (6) 현 시절에서 수의를 어떤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은가. ... 94 (7) 장사 지내는 하관할 때 보지 말아야 하는 사람이 있는가. ... 95 (8) 호충에 걸린다는 것은 무엇이며 살(殺)을 맞으면 어떻게 되는가. ... 96 (9) 호충(呼沖)에 닿는다는 것 보는 법을 간단하게 알려 주십시오. ... 98 (10) 묘를 쓸 때 좌향을 이리저리 틀어서 좋은 자리가 될 수 있는가. ... 99 (11) 향(向)으로서 살(殺)을 피한다는 이치는 있는가. ... 100 (12) 묘에서 어떤 것이 보이면 살이라 하는가. ... 101 (13) 천광법(穿壙法 : 광중 파는 법)묘의 광중은 몇 자 파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 102 (14) 노부모를 위하여 '가묘'를 만드는데 좋은 방법은 어떤 것인가. ... 103 2. 이장하는 상식 ... 105 (1) 이장(移葬)은 무엇이며 또 면례(緬禮)는 무엇인가 상세히 알려주세요. ... 106 (2) 묘를 써야 할 땅에 매인(埋人)의 운이 맞아야 합장사를 지낼 수 있는가요. ... 108 (3) 생장과 백골을 같이 합장하여도 되는지 혹은 합장의 운을 보아야 하는지요. ... 110 (4) 그 명당의 임자가 아니면 다시 파여 나온다는데 풍수이치가 그러한가요. ... 112 (5) 명당에 모셔졌다가 다시 망지로 간 실례가 있는가. ... 114 (6) 부득이 이장을 하게 되었는데 풍수적으로 주의할 것은 무엇인가요. ... 117 (7) 이장을 하려고 파다보니 황골(黃骨)이 되었는데 기(氣)가 다 새서 10년이 지나야 그 '기'가 다시 들어온다고 합니다. 풍수의 바른 이치를 말해 주십시오. ... 118 (8) 한번 묘를 써다가 파광(破壙)한 자리에 다시 묘를 써도 되나요. ... 120 제3장 명당상식문답 1. 풍수상식 ... 125 (1) 일제시대에 쇠말뚝을 박아 우리나라 산맥(山脈)을 끊었다는데 정말 끊어졌는가. ... 126 (2) 조상의 '묘'한 장만 잘 쓰게 되면 벼락같이 부자와 권세가 일어난다는데 과연 그러한지요. ... 127 (3) 현 시대에 명당을 쓰고 부귀 발복한 예가 있으면 공감이 가도록 실례를 들어보시오. ... 128 (4) 명당은 풍수만이 만날 수 있고 보통 사람은 만날 수 없는가. ... 132 (5) 그렇다면 풍수는 명당을 잡을 수 없다는 말이 되는 것은 아닌가요. ... 133 (6) 지게꾼이 명당을 잡은 실례가 있으면 들려주시오. ... 134 (7) 시골부자를 망하게 하는 것들(풍수와 귀신), - 반풍수가 집안을 망치고 선무당이 사람잡는다는 말이 있다. 자신 자체가 반쪽 기술인지를 느끼면서 왜 남을 망하게 하는가요. ... 137 (8) 어려운 풍수 학문을 언제 배워서 바른 명당을 찾는단 말인가요. ... 138 (9) 들어보니 면례법이 장사에 가장 좋은 방법 같으나 옛날에 더 좋은 장사법을 경험한 바 있으면 말해주시오. ... 139 (10) 명당 쓰고 인물이 나는가. 인물이 나고 명당 써도 발복받는가. ... 141 2. 명당상식 ... 143 (1) 명당의 발복이 그리 크다면 풍수(風水)네 집에서 임금이 나겠네요. ... 144 (2) 명당은 옛날에 세도가들이 다 찾아 썼지 어디 명당이 있을라고. ... 146 (3) 명당(明堂)이 분명하다면 어찌하여 다시 파여 나오는가. ... 147 (4) 호화분묘를 꾸미면 발복(發福)도 호화스럽게 하는가. ... 149 (5) 효성에 대한 발복이 있다 했는데 효성의 발복은 어떠한가요. ... 150 (6) 어느 정도의 가치를 명당(明堂)이라 하는가. 또 그 자리에는 어떤 자리가 있는가. ... 152 3. 석재에 대한 상식 ... 155 (1) 석재를 놓아 재앙이 생기는 자리가 있는가. ... 156 (2) 묘를 쓸 때 비룡상천이라 하였는데 정말 비룡의 성정을 가졌는지요. ... 157 (3) 석재를 놓는 데도 운이나 좋은 날을 봐야 하며 놓을 수 있는 자리가 있고 없는 자리에 놓으면 해를 보는가. ... 159 명당 발복의 실화소설편 소설 1 ... 163 소설 2 ... 201 음택편 제1장 명당론(明堂論) ... 239 제2장 혈상론(穴象論) ... 283 제3장 심혈론(尋穴論) ... 311 제4장 패철론(佩鐵論)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