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1. 우리 시를 다시 읽는 이유 ... 11
1) 현대시라는 명칭 ... 11
2) 시 교육의 문제점 ... 12
3) 결정판 시전집의 필요성 ... 15
4) 역동적인 시 감상을 위하여 ... 16
2. 김소월 시와 진짜 서정시 ... 19
1) 보내는 마음과 사랑의 진실 :「진달래꽃」 ... 19
2) 떠나는 마음과 시의 압축성 :「가는 길」 ... 26
3) 고립된 자아의 한계의식 :「往十里」 ... 28
3. 한용운 시와 시인의 사명 ... 33
1) 만해 시를 보는 시각 ... 33
2) 사랑의 방식 :「사랑의 측량」「자유정조」 ... 36
3) 현실의 인식과 행동의 결단 :「당신을 보았습니다」 ... 41
4) 비판적 지성과 시 창조의 의미 :「타골의 詩 (GARDENISTO)를 읽고」 ... 45
4. 1920년대 시의 상승적 국면들 ... 51
1) 북방 정서의 표현 : 김동환의 「눈이 내리느니」 ... 51
2) 감각성과 구조적 완결성 : 이장희의 「夏日小景」 ... 55
3) 식민지 현실의 정직한 인식 :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58
5. 임화 시와 격정·고뇌의 가락 ... 65
1) 대중적 호소력의 고양 : 「우리 오빠와 火爐」 ... 65
2) 투쟁의 선동과 리듬의 주술성 :「兩傘받은 요꼬하마의 埠頭」 ... 71
3) 자아의 번민 : 「자고 새면」 ... 76
6. 정지용 시와 현대시의 한 전범 ... 83
1) 기법의 세련성 : 「이른 봄 아침」 ... 83
2) 감각 표현을 통한 감정의 절제 :「絶頂」 ... 88
3) 의고체의 실험과 정신의 지향 :「溫井」「삽사리」 ... 91
4) 정적의 공간과 순결성의 추구 :「長壽産 1」 ... 96
7. 김영랑 시와 시의 가치
1) 구조의 견고함과 정서의 보편성 :「모란이 피기까지는」 ... 101
2) 자연의 서정과 운율미 :「그대는 호령도 하실 만하다」「五月」 ... 107
3) 현실적 상황의 인식 :「거문고」 ... 112
8. 1930년대 시의 새로운 단면 ... 115
1) 형식 해체의 실험 : 이상의「絶壁」 ... 115
2) 기교와 인식 : 김기림의「바다와 나비」 ... 119
3) 회화적 이미지의 추구 : 김광균의「秋日抒情」 ... 122
9. 백석 시와 평화의 시선 ... 127
1) 가족 공동체의 화합 :「여우난골族」 ... 127
2) 풍속의 인정과 말의 아름다움 :「許俊」 ... 133
3) 상실의 체험이 주는 위안 :「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 ... 137
10. 이용악 시와 민족 현실의 포착 ... 143
1) 강의 상징성과 울분의 폭발 :「天痴의 江아」 ... 143
2) 민족 수난의 구체적 형상화 :「낡은 집」 ... 148
3) 북방 정서의 서정화 : 「그리움」 ... 152
11. 오장환 시와 내적 번민의 형상화 ... 157
1) 희망 잃은 방황 :「旅愁」 ... 157
2) 생명에 대한 긍정적 시선 :「聖誕祭」 ... 161
3) 고뇌와 번민의 시각적 표상 : 「歸蜀途」 ... 167
12. 이육사 시와 극기의 정신 ... 173
1) 절망의 절정과 현실의 초극 :「絶頂」 ... 173
2) 가난한 노래의 위대한 울림 :「曠野」 ... 181
3) 신념과 열망 :「꽃」 ... 188
13. 윤동주 시와 순결한 영혼의 불꽃 ... 193
1) 순결의 내향성 :「少年」「눈오는 地圖」 ... 193
2) 자기 희생의 상징성 :「十字架」 ... 197
3) 참회의 시간과 자아 성찰 :「懺悔錄」 ... 203
14. 유치환 시와 사유의 깊이 ... 211
1) 인간 존재의 비유적 표상 :「깃발」 ... 211
2) 초월에의 동경 :「소리개」 ... 215
3) 지사의 육성 :「뜨거운 노래는 땅에 묻는다」 ... 218
15. 서정주 시와 상상력의 확대 ... 225
1) 유랑과 창조의 의미 :「自畵像」 ... 225
2) 담담한 사랑의 노래 :「牽牛의 노래」 ... 230
3) 내면적 순결성의 가치 :「無等을 보며」 ... 233
4) 넉넉하고 아름다운 마음의 바탕 :「石女 한물댁의 한숨」 ... 239
16. 조지훈 시와 순수의 시정신 ... 243
1) 자연과의 교감 :「落花」 ... 243
2) 생명의 인식 :「풀잎 斷章」 ... 247
3) 영혼의 결곡함 :「地獄記」 ... 250
4) 사랑을 통한 고독의 극복 :「민들레꽃」 ... 253
17. 박목월 시와 비애의 정서 ... 257
1) 정제된 슬픔 :「廢園」 ... 257
2) 죽음에 대한 성찰 :「下官」 ... 261
3) 토속적 정한의 세계 :「萬述아비의 祝文」 ... 265
참고문헌 ... 27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