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인의 성씨(姓氏) ... 9
2. 한국의 「벼슬」 ... 14
3. 한국의 성리학(性理學) ... 31
1. 성리학의 융성 ... 31
(1) 퇴계학파(退溪學派) ... 36
(2) 율곡학파(栗谷學派) ... 40
2. 성리학의 전개 ... 46
(1) 기호학파(畿湖學派) ... 47
(2) 영남학파(嶺南學派) ... 51
4. 한국의 과거(科擧) ... 55
1. 고려시대 ... 56
(1) 과거의 종류 ... 56
(2) 예비고시와 본고시 ... 57
(3) 응시자격 ... 59
(4) 고시절차 ... 59
(5) 고시관과 급제자와의 관계 ... 60
2. 조선시대 ... 60
(1) 과거의 종류 ... 60
① 생원·진사시 ... 60
② 문과 ... 61
③ 무과 ... 64
④ 잡과 ... 66
(2) 응시자격 ... 66
(3) 고시절차 ... 67
5. 한국의 관찬지리지(官撰地理志) ... 69
1. 머리말 ... 69
2. 『삼국사기』지리지와 『고려사』지리지 ... 70
3. 조선전기의 관찬지리지 ... 73
4. 『여지도서』(與地圖書)의 편찬 ... 77
5. 맺음말 ... 79
6. 한국의 백정(白丁) ... 81
1. 고려시대의 백정 ... 81
2. 조선시대의 백정 ... 82
3. 한말·일제시대의 백정 ... 85
7. 사림과 사림정치(士林政治) ... 87
1. 양반과 사림 ... 87
2. 사림과 사림파(士林派) ... 89
3. 사림과 당쟁(黨爭) ... 91
4. 사림의 정치사상 ... 95
8. 『경국대전』의 편찬과 법정신 ... 99
9. 양반과 양천제(良賤制) ... 106
10. 조선조 노비신분(奴婢身分)의 사회적 성격 ... 114
1. 머리말 ... 114
2. 노비의 연혁 ... 115
3. 노비의 사회적 지위 ... 117
4. 노비의 경제적 처지 ... 119
5. 맺음말 - 조선조 노비신분의 특성 ... 121
11. 조선시대의 서당(書堂) ... 123
1. 머리말 ... 123
2. 서재서당(書齋書堂) ... 124
3. 서원서당(書院書堂) ... 125
4. 향촌서당(鄕村書堂) ... 125
5. 실학자들의 초등교육관 ... 127
6. 일제침략기의 서당 ... 128
7. 맺음말 ... 129
12. 조선후기의 잡과방목(雜科榜目) ... 130
13.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전기 - 고교용을 중심으로) ... 138
14. 한국교윳가 연구의 문제점 ... 151
1. 일제시대의 한국교육사 연구 ... 152
2. 50년대 한국의 교육사연구 ... 155
3. 광복 이후 일본의 한국교육사 연구 ... 157
4. 60년대 한국의 교육사 연구 ... 160
15. 한국사학사 확립에의 진전 ... 164
16. 이장곤의 「금헌선생실기」(琴軒先生實記) ... 175
17. 국학(國學)연구의 방향 ... 182
1. 국학의 개념 ... 182
2. 국학진흥의 시대적 필요성 ... 183
3. 국학 연구의 활성화 ... 185
4. 국학자료의 수집·정리·발간 ... 189
5. 고전의 국역과 주석 ... 191
6. 해외 한국학의 지원 ... 194
18. 규장각(奎章閣)·장서각(藏書閣)도서와 국학연구 ... 199
19. 한국사의 특성과 그 현대적 계승 ... 205
1. 무엇이 한국을 살아 남을 수 있게 하였는가? ... 205
2. 한국사의 특성 ... 209
3. 전통문화의 현대적 계승 ... 213
20. 민족문화 창달의 길 ... 216
21. 국가발전과 교육열 ... 224
22. 분파주의와 한국민족성 ... 228
23. 조선시대 유교문화의 특성 ... 232
24. 산업발전과 유교(儒敎) ... 236
25. 신유학의 개념 ... 240
26. 소중화론(小中華論) ... 243
27. 사대부(士大夫) ... 24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