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개요 및 설치 ... 45 제1장 이것부터 알아 두세요 ... 47 윈도우 95의 비밀이 왜 필요한가? ... 47 이 책을 활용하는 방법 ... 48 이 책의 전반적인 구조 ... 49 제1부 : 개요 및 설치 ... 49 제2부 : 윈도우 95 사용자 인터페이스 ... 49 제3부 : DOS의 비밀 ... 49 제4부 : 플러그 앤 플레이 ... 49 제5부 : 통신 ... 50 부록 ... 50 이 책에서 사용하는 표기 방법 ... 50 숨겨진 기능이나 트릭을 찾는 방법 ... 52 고난도의 기술적인 설명은 어떻게 찾아보는가? ... 53 윈도우 95에 관한 온라인 뉴스 ... 54 컴퓨터서브에서 기술 정보를 찾는 방법 ... 54 MSN을 통한 윈도우 95 기술 지원 ... 56 부록 CD-ROM에 대한 기술적인 정보 ... 56 윈도우 95의 비밀이란 무엇인가? ... 57 제2장 윈도우 95 기능 요약 ... 61 기능별 목록과 상세한 내용 ... 61 사용자 인터페이스 ... 61 통신 ... 65 파일관리 ... 67 DOS ... 68 인쇄 ... 69 하드웨어 ... 70 마우스 ... 71 키보드 ... 72 하드 디스크와 플로피 디스크 ... 72 디스플레이 ... 73 모뎀 ... 73 설치 ... 74 글꼴 ... 74 오류 처리 및 신뢰성 ... 75 기본 구조 ... 75 네트워킹 ... 76 네트워크 관리와 보안 ... 77 제3장 윈도우 95 설치 및 설정 ... 81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자 ... 81 필요한 환경 ... 82 DOS로 시작하기 ... 83 윈도우 95를 위한 여유 공간 확보하기 ... 84 윈도우 3.x에서 업그레이드 또는 새로 시작 ... 89 DOS 파일 보호하기 ... 90 윈도우 3.x 애플릿 살려두기 ... 91 이중 부팅 ... 93 새로운 인터페이스 ... 94 시작 프로그램 폴더 지우기 ... 94 CD-ROM 버전인가요, 디스켓 버전인가요? ... 94 설치 파일 읽어 들이기 ... 95 네트워크나 CD-ROM에서 설치하기 ... 96 윈도우 95 설치 시작 준비 ... 96 일부 파일 백업하기 ... 97 변경되는 부분 ... 97 DOS 또는 윈도우 3.1x에서 설치 프로그램 실행하기 ... 97 Setup 스위치 ... 98 설치 과정 ... 99 설치 시작 ... 99 정보 수집 ... 102 파일 복사 시작 ... 120 설치 완료 ... 121 윈도우 3.x에 안전하게 윈도우 95를 설치하는 방법 ... 122 윈도우 95에 문제가 생기면? ... 124 윈도우 95 구성 요소 추가 및 삭제하기 ... 125 다른 운영 체제에서 윈도우 95 설치하기 ... 126 MS-DOS ... 126 DR DOS ... 126 Windows NT ... 127 OS/2 ... 128 윈도우 95 삭제하기 ... 128 DOS 7.0으로 돌아가기 ... 129 이전 버전의 MS-DOS로 되돌아가기 ... 131 Windows NT로 되돌아가기 ... 134 제4장 윈도우 95 엿보기 ... 139 바탕 화면 ... 139 시작 단추 ... 141 바탕 화면에는 무엇이 있나? ... 141 내 컴퓨터 창에는 무엇이 있나? ... 142 내 컴퓨터, 디스크 드라이브, 폴더 ... 142 폴더 창 ... 143 종료하기 ... 143 제5장 윈도우 95 실습 ... 145 시작하기 ... 145 폴더 만들기 ... 147 파일 만들기 ... 148 파일 이동하기 ... 149 단축 아이콘 만들기 ... 151 단축 아이콘 삭제하기 ... 152 파일 삭제하기 ... 153 이 장의 핵심 내용 ... 154 제6장 윈도우 95 시작 환경 꾸미기 ... 157 꼭 필요한 건가요? ... 157 윈도우 95는 어떻게 시작하는가 ... 158 첫째, BIOS ... 158 그리고, DOS ... 158 마지막으로, 윈도우 95 ... 159 Msdos.sys ... 159 Msdos.sys 편집하기 ... 160 Msdos.sys 파일 내용 ... 161 Msdos.sys 옵션 ... 161 윈도우 95 시동 메뉴 ... 168 Normal ... 168 Logged(\BOOTLOG.TXT) ... 168 Safe Mode ... 168 Safe mode with network support ... 169 Step-by-step confirmation ... 169 Command prompt only ... 169 Safe mode command prompt only ... 169 Previous version of MS-DOS ... 169 시동 키 ... 170 언제 무엇이 로드되는가 ... 171 Config.sys ... 172 Config.sys 변수 ... 173 메모리 관리 ... 174 Autoexec.bat ... 174 다중 환경 설정하기 ... 175 다중 하드웨어 환경 설정하기 ... 177 QEMM과 F4 ... 180 시동 화면 그래픽 바꾸기 ... 180 이중 부팅 환경 ... 181 '시작 프로그램' 폴더 ... 182 윈도우 95 문제 해결 ... 182 제2부 윈도우 95 사용자 인터페이스 ... 185 제7장 바탕 화면과 작업 표시줄 ... 187 위지윅(WYSIWYG :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 187 첫째, 암호 입력 ... 188 바탕 화면 ... 189 보이지 않는 바탕 화면 격자선 ... 190 아이콘 제목 글꼴 및 크기 바꾸기 ... 192 바탕 화면의 기타 속성 바꾸기 ... 194 바탕 화면에 새로운 항목 추가하기 ... 194 붙여넣기 및 실행 취소 ... 194 바탕 화면의 아이콘 ... 195 스크랩 ... 197 작업 표시줄 ... 197 작업 표시줄 단추 ... 198 마우스로 끌어서 작업 표시줄 단추 위로 ... 199 작업 표시줄 숨기기 ... 199 작업 표시줄 크기 변경하기 ... 201 작업 표시줄 이동하기 ... 203 작업 표시줄의 가장 좋은 위치는? ... 203 바탕 화면에서 창 크기 조절 및 이동하기 ... 205 시작 단추 ... 205 시계 ... 206 슬라이딩 창 ... 208 키보드를 사용하여 작업 전환하기 ... 210 작업 관리자 ... 211 제8장 내 컴퓨터 - 폴더와 창 ... 215 자신의 컴퓨터 들여다보기 ... 215 내 컴퓨터, 자신의 컴퓨터 ... 216 내 컴퓨터 이름 바꾸기 ... 216 내 컴퓨터 창 ... 216 폴더 ... 218 내 컴퓨터 폴더 창의 특수한 폴더 ... 218 내 컴퓨터 창 등록 정보 ... 218 새 폴더 창 열기 ... 219 하드디스크 등록 정보 ... 219 폴더 창을 하나만 또는 여러 개? ... 220 여러 창으로 작업 도중 단일 창으로 전환하기 ... 221 폴더 창에서 탐색기 창 열기 ... 222 내 컴퓨터 폴더 창을 두 개 띄우기 ... 222 폴더 창의 보기 형태 바꾸기 ... 223 보기 옵션 ... 224 아이콘 정렬 ... 224 아이콘 줄 맞춤 ... 225 자세히 보기에서 칼럼 너비 조절하기 ... 226 폴더 창을 최신의 상태로 ... 226 상태 표시줄 정보 ... 226 폴더 창 닫기 ... 227 새 파일, 폴더, 단축 아이콘 만들기 ... 227 폴더 창 등록 정보 ... 227 폴더 창에서 다른 폴더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 228 새로 만들기, 잘라내기, 붙여넣기, 이름 바꾸기, 복사, 삭제하기 ... 230 폴더 만들기 ... 230 파일이나 폴더를 이동하기 ... 231 파일 또는 폴더 복사하기 ... 235 잘라내기나 복사는 먼저, 붙여넣기는 나중에 ... 238 파일 및 폴더 이름 바꾸기 ... 238 파일 및 폴더 삭제하기 ... 239 실행 취소 명령 ... 239 폴더 창에서 항목 선택하기 ... 240 여러 파일 및 폴더 선택하기 ... 241 파일 및/또는 폴더 그룹 선택하기 ... 241 아이콘에 올가미를 씌워 선택하기 ... 242 전체 선택하기 ... 243 일부를 제외한 전체 선택하기 ... 243 Ctrl+마우스 누르기로 선택 해제하기 ... 244 여러 무리의 아이콘 그룹 선택하기 ... 244 아이콘 그룹 집어들기 ... 244 여러 아이콘 끌기 ... 244 취소는 Esc ... 245 바탕 화면을 작업 표시줄에 올려 놓기 ... 246 프로그램 관리자와 닮은 폴더 창 ... 247 제9장 탐색기 - 컴퓨터의 계층 구조 ... 249 탐색기란 무엇인가? ... 249 그런데 탐색기는 어디에 있나? ... 251 Windows 탐색기와 시작 단추 ... 251 탐색기를 바탕 화면에 올려 놓기 ... 251 탐색기를 마우스 한 번 누르기로 실행하기 ... 252 내 컴퓨터를 탐색기로 바꾸기 ... 253 컴퓨터에는 어떤 것이 들어 있나? ... 253 탐색기의 두 영역 - 연결되어 있지만 독립적인 관계 ... 255 탐색기로 항해하기 ... 255 폴더 아이콘 반전 표시하기 ... 256 왼쪽 영역을 넓게 ... 256 네트워크 환경 ... 257 폴더 트리에서 키보드 사용하기 ... 257 새 폴더 만들기 ... 257 파일 및 폴더를 복사 또는 이동하기 ... 259 두 개의 탐색기 창 만들기 ... 259 탐색기(및 내 컴퓨터) 키보드 단축키 ... 261 컴퓨터의 모든 파일 표시하기 ... 263 숨겨진 폴더 표시하기 ... 264 탐색기 명령줄 매개변수 ... 264 파일 관리자에서 탐색기로 ... 268 열기, 복사, 이동, 삭제 ... 268 이름 바꾸기 ... 269 실행 ... 269 파일 연결 ... 269 연결되지 않은 파일 열기 ... 270 디렉토리 만들기 ... 270 파일 만들기 ... 270 검색 또는 파일 찾기 ... 270 파일 보기 필터 ... 271 복사, 이름표, 포맷, 시스템 디스크 작성 ... 271 글꼴 변경하기 ... 273 디렉토리 목록 인쇄하기 ... 273 두 개의 디렉토리 목록을 양 옆에 배치하기 ... 274 이름순, 날짜순, 종류별, 크기순으로 파일 정렬하기 ... 274 파일 내용 보기 ... 274 실행 취소와 삭제 ... 275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폴더 공유하기 ... 275 도구 모음 사용자 정의 ... 275 숨겨진 파일 표시 ... 275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 확인 ... 276 파일 속성 ... 276 파일 크기 ... 276 그 외 파일 관리자의 장점 ... 276 그 외 탐색기의 장점 ... 276 제10장 단축 아이콘 ... 279 단축 아이콘이란 무엇인가? ... 279 단축 아이콘이 왜 그리 좋은가? ... 280 자주 사용하는 폴더와 프로그램을 바탕 화면에 올려 놓기 ... 281 윈도우를 시작할 때 자동으로 프로그램 시작하기 ... 282 단축 아이콘으로 가득 찬 시작 단추 ... 282 단 한 번의 마우스 누르기로 프로그램 실행하기 ... 283 파일 및 폴더 이동, 복사, 압축, 인쇄, 보기 등을 간편하게 ... 283 아이콘을 두 번 눌러 DOS 프로그램 실행하기 ... 284 단축 아이콘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일괄 처리하기 ... 284 윈도우 프로그램의 작동 방법 수정하기 ... 285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서 열기 ... 285 문서의 일부분에 대한 단축 아이콘 만들기 ... 286 전자 우편을 통해 단축 아이콘 전송하기 ... 286 단축 아이콘 만들기 ... 286 끌어서 놓기 방식으로 단축 아이콘 만들기 ... 287 단축 아이콘의 이름 바꾸기 ... 287 '...의 단축 아이콘' 없애기 ... 288 단축 아이콘 잘라내기 및 붙여넣기 ... 288 단축 아이콘 새로 만들기 및 찾아보기 ... 288 바탕 화면에 단축 아이콘 만들기 ... 289 폴더와 폴더의 단축 아이콘 만들기 ... 290 폴더, 디스크, 컴퓨터, 프린터 등의 단축 아이콘 ... 291 폴더 ... 291 디스크 드라이브 ... 291 컴퓨터 ... 291 프린터 ... 292 제어판 아이콘 ... 292 하이퍼터미널 연결 아이콘의 단축 아이콘 ... 293 멀리멀리 떨어져 있는 파일의 단축 아이콘 ... 294 단축 아이콘을 전자 우편으로 전송 ... 294 문서 안으로 단축 아이콘 붙여넣기 ... 294 그리고... ... 295 마우스 오른쪽 단추 메뉴를 발전소로 만들기 ... 295 보내기로 보내기 ... 296 DOS 프로그램에 대한 단축 아이콘 만들기 ... 296 단축 아이콘에는 무엇이 들어 있나? ... 297 대상 필드 ... 298 시작 위치 필드 ... 299 단축키 ... 299 어떤 크기의 창으로 실행할 것인가? ... 300 단축 아이콘의 아이콘 변경하기 ... 300 대상 찾기 ... 301 DOS 단축 아이콘 등록 정보 ... 301 시작 단추의 단축 아이콘 ... 302 단축 아이콘의 단축 아이콘 ... 302 연결되어 있는 원본 파일을 이동하거나 삭제한다면? ... 303 도움말 파일에 들어 있는 단축 아이콘 ... 304 응용 프로그램에 필요한 경로 지정하기 ... 305 제11장 시작 단추와 찾기 ... 307 시작하기 ... 307 종료하기 ... 308 시스템 종료 ... 308 시스템 재시작 ... 310 MS-DOS 모드에서 시스템 재시작 ... 310 다른 사용자 이름으로 로그온 ... 310 시작하려면 이곳을 누르십시오, 어쩌구 저쩌구.. ... 311 시작 단추 메뉴 ... 312 프로그램 ... 313 문서 ... 314 Recent 폴더의 단축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올려 놓기 ... 315 설정 ... 316 찾기 ... 320 도움말 ... 320 실행 ... 321 시작 단추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면 ... 321 프로그램 메뉴/폴더 ... 322 시작 메뉴 폴더 ... 323 시작 단추에 끌어다 놓기 ... 323 시작 단추 메뉴에 바탕 화면 올려 놓기 ... 324 시작 메뉴 폴더에 포함된 폴더 ... 325 시작 단추 메뉴의 제어판 ... 325 시작 메뉴를 키보드로 제어하기 ... 327 메뉴 표시 속도 조절하기 ... 328 찾기 ... 330 파일 또는 폴더 찾기 ... 330 찾기로 할 수 있는 작업 ... 335 네크워크에서 컴퓨터 찾기 ... 335 The Microsoft Network에서 찾기 ... 336 제12장 바탕 화면 꾸미기 - 윈도우 95를 내 것으로 ... 339 시작 단추가 보이나요? ... 339 바탕 화면 전략 ... 340 누구의 바탕 화면인가? ... 340 시작 단추 다루기 ... 344 시작 단추에 직접 프로그램 추가하기 ... 345 프로그램 메뉴의 메뉴 항목 ... 345 바탕 화면에 차곡차곡 쌓아 두기 ... 346 프로그램 실행 패드 사용하기 ... 347 마우스 오른쪽 단추 메뉴 메시지 ... 348 폴더 창을 프로그램 관리자처럼 ... 349 프로그램 관리자 폴더 창 ... 349 탐색기를 파일 관리자처럼 사용하기 ... 351 윈도우 95용 프로그램 관리자와 파일 관리자 사용하기 ... 352 윈도우 95를 완벽한 운영 체제로 만들기 ... 354 제13장 문서 지향적인 환경 ... 355 문서 지향적인 환경이란? ... 355 파일 확장명과 그에 따른 명령 연결하기 ... 356 실행 명령의 위치는? ... 356 파일 형식과 명령을 등록하거나 편집하기 ... 357 새 파일 형식 만들기 ... 358 이미 등록된 파일 형식 편집하기 ... 362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두 개의 확장명 연결하기 ... 363 레지스트리를 통한 파일 / 응용 프로그램 연결 ... 363 일괄(배치) 파일 편집기를 다른 것으로 바구기 ... 364 여러 개의 확장명 -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 365 저장한 등록 파일 편집하기(병합하는 것이 아님) ... 365 RTF 파일을 워드패드에 연결시키기 ... 366 하나의 파일 형식에 둘 이상의 프로그램 연결하기 ... 367 등록되지 않은 파일 형식 열기 ... 367 등록된 파일 형식을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 열기 ... 368 등록되지 않은 파일 형식 전용 열기 프로그램 ... 369 모든 파일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명령 ... 370 BMP 파일의 그림을 자신의 아이콘으로 사용하기 ... 372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지 않고 파일 보기 ... 372 등록되지 않은 파일을 보거나 여는 가장 간편한 방법 ... 375 시작 단추 메뉴의 문서 메뉴 ... 376 새로운 빈 문서 만들기 ... 377 새로 만들기 메뉴에 문서 항목 추가하기 ... 377 새 파일과 함께 응용 프로그램을 즉시 실행하기 ... 378 정확한 파일 형식으로 새 파일 만들기 ... 379 제14장 휴지통 - 버렸던 쓰레기도 필요할 때가 있다 ... 381 휴지통에서 재생할 수 있는 것 ... 381 휴지통 폴더 ... 382 재생 용기 모양의 아이콘 ... 383 휴지통의 역할은 무엇인가? ... 384 파일 대화 상자에서 파일 삭제하기 ... 385 삭제가 의미하는 것은? ... 385 단축 아이콘 삭제하기 ... 386 휴지통에 마우스(왼쪽 또는 오른쪽 단추)로 끌어다 놓기 ... 386 Shift+Del ... 387 하드 디스크는 삭제하지 마세요 ... 388 삭제할 수 없는 주요 구성 요소 ... 388 플로피 디스크는 삭제 가능 ... 388 쓰레기통을 뒤져서 버렸던 파일을 다시 찾기 ... 389 휴지통 비우기 ... 390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 명령시 즉시 제거 ... 390 휴지통과 네트워크 ... 391 Undelete 및 Unerase ... 392 제15장 레지스트리 - 진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 395 Ini 파일, RIP ... 395 레지스트리 키워드 및 구조 ... 396 [HKEY_CLASSES_ROOT] ... 397 [HKEY_USERS] ... 397 [HKEY_CURRENT_USER] ... 397 [HKEY_LOCAL_MACHINE] ... 398 [HKEY_CURRENT_CONFIG] ... 398 [HKEY_DYN_DATA] ... 398 레지스트리 파일 ... 398 레지스트리 복구 ... 399 레지스트리 백업 ... 401 레지스트리 편집기 ... 402 레지스트리 편집기 시작하기 ... 403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편집하기 ... 404 레지스트리 읽어 오기 및 파일로 저장하기 ... 406 다른 사용자의 레지스트리 편집하기 ... 413 레지스트리 편집기 DOS 버전 ... 415 제16장 제어판과 등록 정보 화면 ... 419 어디에 무엇이 있나? ... 419 제어판으로 이동하기 ... 420 바탕 화면에 제어판의 단축 아이콘 만들기 ... 421 제어판 항목 ... 421 프로그램 추가/삭제 ... 422 멀티미디어 ... 424 국가별 설정 ... 425 소리 ... 425 등록 정보 화면 ... 426 제3부 DOS의 비밀 ... 429 제17장 윈도우 95에서 DOS는... 예전과 똑같다 ... 431 누구? ... 431 DOS와 윈도우, 그 만남과 관계 ... 432 DOS처럼 보이지요 ... 432 중복 운영 체제 ... 433 윈도우 95 사용자가 진정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DOS 문제 ... 434 DOS는 어떤 부분이 살아남았나? ... 435 살아남은 DOS 명령 ... 436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DOS 명령 ... 439 일부 DOS 명령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부분 ... 440 쓸만한 DOS 명령 ... 440 DOS 명령 수정하기 ... 440 DOS 명령의 단축 아이콘 ... 441 사용해선 안 되는 DOS 명령 ... 442 Path와 윈도우 95 응용 프로그램 ... 443 DOS 프로그램 실행하기 ... 444 윈도우를 시작하기 전에 DOS 실행 ... 444 윈도우 창에서 DOS 실행 ... 445 다시 부팅하지 않고 MS-DOS 모드에서 DOS 실행 ... 446 다시 부팅하여 MS-DOS 모드에서 DOS 실행 ... 448 상자에서 DOS 실행 ... 449 DOS 창과 DOS 화면 ... 450 DOS 창 크기 및 위치 조정하기 ... 450 DOS 화면 글꼴 선택하기 ... 452 선택 표시, DOS 창에서 클립보드로 또는 그 반대로 텍스트를 복사하여 붙여넣기 ... 454 DOS 창에서 디렉토리 변경하기 ... 455 DOS 창을 탐색기에 연결하기 ... 455 DOS 창을 전체 화면 모드로 확장하기 ... 456 DOS 응용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 등록 정보 변경하기 ... 457 백그라운드 ... 457 DOS 응용 프로그램 닫기 ... 457 DOS 프로그램에 대한 가상 시스템 만들기 ... 457 중복 단축 아이콘 만들기 ... 459 프로그램 정보 파일(pif) 열기 ... 460 단축 아이콘 등록 정보 편집하기 ... 461 프로그램 탭 ... 462 글꼴 탭 ... 471 메모리 탭 ... 471 기타 탭 ... 477 MS-DOS 모드 ... 481 MS-DOS 모드 단축 아이콘 만들기 ... 481 개별적인 Autoexec.bat와 Config.sys 파일 ... 482 색다른 DOS 프롬프트 만들기 ... 488 윈도우 DOS 세션의 DOS 프롬프트 ... 488 MS-DOS 모드 세션의 DOS 프롬프트 ... 489 환상적인 DOS 배너는 어떨는지 ... 489 MS-DOS 모드에서 배너 사용 ... 492 Ansi.sys를 사용하여 프롬프트 꾸미기 ... 492 윈도우/DOS 일괄 파일 ... 495 일괄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 ... 496 매크로 언어로 일괄 파일 시작하기 ... 497 윈도우 폴더 찾기 ... 497 DOS 세션에서 클립보드 사용하기 ... 499 DOS 프로그램에서 클립보드/클립북 사용 ... 499 클립보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 500 DOS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다? 클립보드의 내용을 삭제하고 다시 시도해 본다 ... 501 DOS 세션에서 Print Screen 키 사용하기 ... 501 디렉토리 목록 보기 ... 501 Config.sys와 System.ini에서 파일 수 늘리기 ... 502 제18장 윈도우 95 메모리 구성 ... 507 메모리가 왜 그리 중요한가? ... 507 윈도우 95의 향상된 메모리 관리 기능 ... 508 메모리에 대해 신경써야 할 시기 ... 509 가상 메모리에 대한 하드 디스크 공간 ... 510 윈도우 95 자원 ... 510 메모리를 소진시키는 윈도우 3.x 프로그램 ... 512 꿀꿀이 윈도우 프로그램 ... 512 메모리 충돌 ... 513 부족한 기본 메모리를 조금이라도 많이 확보하기 ... 513 윈도우 DOS 세션에서 실행하는 DOS 프로그램 ... 514 MS-DOS 모드에서 실행하는 DOS 프로그램 ... 514 PC 메모리 개요 ... 515 UMB의 A에서 F까지 ... 518 윈도우 메모리 관리 ... 519 Himem.sys ... 519 Emm386.exe ... 520 UMB에 제어기 로드하기 ... 521 윈도우가 상위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법 ... 522 DOS 프로그램에 대한 메모리 ... 522 DOS 프로그램에 대한 메모리를 구성하는 예제 ... 523 DOS 프로그램에 좀더 많은 메모리를 ... 525 페이지 프레임으로 사용되던 공간 되찾기 ... 525 변환 버퍼로 사용된 공간 되찾기 ... 526 기본 메모리와 상위 메모리를 최대로 ... 527 Config.sys 및 Autoexec.bat 정리하기 ... 529 메모리 충돌 해결 ... 530 MEM으로 사용 가능한 메모리 확인하기 ... 533 MSD를 사용하여 메모리 구성 살펴보기 ... 535 MemMaker를 사용하여 UMB 최적화하기 ... 536 서드 파티 중첩 확장/UMB 메모리 관리자 ... 536 다중 환경 Config.sys 구성으로 메모리 관리하기 ... 536 윈도우 95와 DOS 게임 ... 537 제4부 플러그 앤 플레이 ... 539 제19장 플러그 앤 플레이 - 장치 관리 ... 541 그 요란한 선전은 무엇인가? ... 541 32비트 제어기 ... 542 16비트 제어기 ... 543 플러그 앤 플레이 BIOS와 장치 ... 543 하드웨어 검색 ... 543 설치가 끝난 후에 하드웨어 검색하기 ... 545 하드웨어의 레지스트리 ... 546 새 하드웨어 제어기 추가하기 ... 546 하드웨어를 올바르게 설정하기 ... 547 장치 관리자 ... 549 IRQ, I/O, 메모리 주소, DMA 채널 ... 551 특정 장치 제어기 ... 551 장치 제어기의 설정 변경하기 ... 552 장치 제어기 변경하기 ... 554 자원 충돌을 쉽게 해결하는 방법 ... 555 하드웨어 구성 파일 ... 556 모니터 - 한 개만 선택 가능 ... 558 핫 스와핑과 핫 도킹 ... 558 사운드 카드, CD-ROM과 LPT 포트 ... 558 Detlog.txt, Setuplog.txt와 Ios.log ... 559 제20장 글꼴 ... 561 글꼴이란 무엇인가? ... 561 응용 프로그램에서 글꼴 사용하기 ... 562 글꼴이 설치되는 장소 ... 563 글꼴 설치하기 ... 565 글꼴의 설치 해제 및 삭제 ... 567 글꼴 보기 ... 567 글꼴의 종류와 형태 ... 568 비트맵 글꼴 ... 569 스케일러블 글꼴 ... 569 화면 글꼴 ... 571 프린터 글꼴 ... 571 프린터와 화면에서 모두 쓸 수 있는 스케이러블 글꼴 ... 572 비례 글꼴과 고정 피치 글꼴 ... 572 DOS 글꼴 ... 573 글꼴 크기 ... 573 논리적인 인치 ... 574 확대경(글꼴 크기 배율 조절기) ... 575 읽기에 편안한 크기인가? ... 576 충분한 텍스트를 볼 수 있나? ... 577 화면 글꼴의 이모저모 ... 577 글꼴 포인트 크기 ... 580 고정 피치 화면 글꼴 ... 581 고정 피치 시스템 글꼴 ... 581 Terminal 글꼴 ... 582 DOS 글꼴 ... 583 Courier 글꼴 ... 584 비례 화면 글꼴 ... 586 System 글꼴 ... 586 MS Sans Serif 글꼴 ... 587 MS Serif 글꼴 ... 588 Small 글꼴 ... 588 Symbol 글꼴 ... 589 트루타입 글꼴 ... 589 화면 글꼴과 프린터 글꼴로부터의 자유 ... 590 윈도우 95에서 제공하는 트루타입 글꼴 ... 590 Marlett ... 594 메타 파일 형식의 탄생 ... 594 서체를 문서와 함께 내장 ... 595 포스트스크립트 ... 597 포스트스크립트와 트루타입의 차이 ... 598 트루타입은 윈도우에 포함되어 있지만 포스트스크립트는 그렇지 않다 ... 598 포스트스크립트는 타입세터에 내장되어 있지만 트루타입은 그렇지 않다 ... 598 트루타입 글꼴은 가격이 저렴하다 ... 599 트루타입 힌트는 글꼴에 있지만 포스트스크립트는 (거의) 그렇지 않다 ... 599 트루타입과 Type 1의 장치 독립성 문제 ... 600 트루타입과 포스트스크립트 글꼴로 인쇄 ... 601 헌팅 기법 ... 601 Arial과 Times New Roman의 비밀 ... 603 Font Monger - 자신의 서체를 만드는 프로그램 ... 605 Font Chameleon - 한 파일에 많은 글꼴 ... 606 Font Works - 문서에서 발견된 글꼴 생성 ... 609 제21장 키보드와 문자 ... 611 글꼴과 문자 ... 611 윈도우 문자 집합 ... 612 윈도우 ANSI 문자 집합 ... 613 DOS/OEM 문자 집합 ... 615 잘 사용되지 않는 문자를 쉽게 입력하는 방법 ... 616 미국-국제어 키보드 배치하기 ... 617 다중 언어 사용하기 ... 621 다국어 식별자 설치와 사용 ... 622 다국어 문서 ... 623 다국어 철자 검사 도구 ... 624 전자 우편(E-mail)에서 상위 ANSI 문자 사용하기 ... 624 키스트로크 표시 방법 ... 624 키보드 단축키 사용하기 ... 625 가장 중요한 (그러나 허술하게 다루었던) 단축키 ... 626 Alt+Tab+Tab - 작업 전환기 ... 629 Shift 키 사용하기 ... 630 Shift 키 바로잡기 ... 631 화면 보호기를 위한 핫키와 바탕 화면 단축키 ... 632 CapsLock 알림 ... 634 DOS 국제 언어 지원 ... 635 키 반복 속도 조절하기 ... 635 만일 새로운 키보드를 설치한다면 ... 637 키보드 등록 정보 창의 이면 ... 638 제22장 디스플레이 ... 641 간추린 용어 ... 641 모니터 - 크기, 깜박임, 명확도 ... 642 크기 ... 642 깜박임 ... 643 명확도 ... 643 그래픽 어댑터 - 해상도, 속도, 색상 ... 643 해상도 ... 643 속도 ... 644 색상 ... 644 모니터/카드 선택 ... 645 목록에서 모니터 선택 ... 646 윈도우 배율 설정 ... 646 '표시된' 인치 ... 647 자신에게 편한 환경부터 만들자 ... 648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른 화면 크기 ... 650 경고 ... 651 비디오 카드 제어기 설치 ... 652 설치 ... 652 새 비디오 제어기 설치 ... 652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원하는 비디오 제어기 ... 654 윈도우 3.1 비디오 제어기 설치 ... 654 문제 발생시 다시 설치 ... 655 해상도, 색상표, 글꼴 크기, 배율 바꾸기 ... 656 빠르게 비디오 해상도 바꾸기 ... 657 바탕 화면의 크기, 색상, 개체 글꼴 바꾸기 ... 657 색 구성표 ... 658 항목 ... 659 사용할 수 없는 문자열과 탐색기 항목의 색상 바꾸기 ... 661 색상 ... 662 글꼴 ... 668 시스템 글꼴 크기 변경 ... 669 크기 ... 670 레지스트리 값 ... 670 바탕 화면 배경 무늬 ... 671 두 색상 무늬의 배경 무늬 ... 672 반복되는 그림 배경 무늬 ... 672 큰 그림 배경 무늬 ... 673 그래픽 배경 화면으로 RLE 파일 사용 ... 673 화면 보호기 선택하기 ... 674 절전 모드 설정 ... 675 플러그 앤 플레이 모니터와 카드 ... 675 LCD 디스플레이와 외부 모니터 ... 676 Microsoft Plus! ... 677 제23장 프린터 제어기 ... 681 개선된 기능 ... 681 32비트 프린터 제어기 ... 682 새 범용 제어기 ... 682 통합 프린터 제어 인터페이스 ... 682 RAW 프린터 코드가 아닌 EMF 스풀링 ... 683 DOS와 윈도우 인쇄 작업 ... 683 오프라인 인쇄 ... 684 양 방향 통신 ... 684 확장 병렬 포트 지원 ... 685 포스트스크립트 ... 685 프린터 단축 아이콘 ... 685 프린터 제어기를 설치하지 않고 인쇄하기 ... 685 네트워크 프린터 관리 ... 686 NetWare 인쇄 서비스 ... 686 논리 포트 지정 필요없음 ... 687 프린터 폴더 ... 687 프린터 아이콘에 끌어다 놓기 ... 689 프린터 제어기 설치하기 ... 690 프린터 제어기 등록 정보 시트 ... 691 프린터 등록 정보 시트 열기 ... 691 기본 프린터 등록 정보 시트 ... 692 구분 종이 ... 693 세부 사항 ... 693 글꼴 ... 695 공유 ... 697 포스트스크립트 ... 697 사용자 프린터 정의 ... 698 지연 인쇄 작업 ... 699 윈도우 95 도움말을 사용한 문제 해결 ... 703 ECP와 EPP 포트 구성 ... 703 HP 네트워크 프린터 관리 도구 ... 704 프린터 공유 ... 705 인쇄 공유 ... 705 실제 공유 ... 706 NetWare용 Microsoft 인쇄 서비스 ... 708 Point and Print ... 709 반자동으로 프린터 제어기 설치 ... 710 Point and Print 사용하기 ... 712 NetWare 서버에 Point and Print ... 712 제24장 강력한 마우스(기타 화면 지시 장치) ... 715 마우스 ... 715 향상된 마우스 제어기 ... 716 마우스 제어기 설치 ... 717 기존 마우스 제어기 바꾸기 ... 717 마우스 제어기 추가 ... 718 마우스 제어기 등록 정보 설정 ... 719 마우스 단추 바꾸기 ... 721 두 번 누르기 속도 변경 ... 721 두 번 누르기 높이와 너비 변경 ... 721 다른 마우스 포인터 사용 ... 722 마우스 포인터 속도 변경 ... 725 레지스트리에서 마우스 속도 값 바꾸기 ... 727 포인터 자취 바꾸기 ... 729 자신만의 마우스 포인터 만들기 ... 730 마우스 구성에서 빠진 것은 무엇인가? ... 730 내장 트랙볼과 마우스 ... 730 DOS 창에서 마우스 사용 ... 731 마우스 가운에 단추를 두 번 누르기 단추로 지정하기 ... 732 바탕 화면에 마우스 아이콘 놓기 ... 733 장치 관리자에서의 마우스 ... 734 두 번 누르기 대 한 번 누르기 ... 734 두 번 눌러 열기 ... 735 한 번 누르기만으로 충분한 경우 ... 735 마우스 오른쪽 단추 기능 ... 736 내 컴퓨터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6 '시작' 단추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7 작업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7 시간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7 파일이나 문서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8 파일을 Shift+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8 폴더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8 단축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8 바탕 화면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8 폴더 창의 클라이언트 영역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9 활성 응용 프로그램의 제목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39 대화 상자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 누르기 ... 739 16비트 파일 열기 대화 상자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40 32비트 파일 열기 대화 상자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40 활성 응용 프로그램의 클라이언트 영역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르기 ... 740 제25장 모뎀, 직렬 및 병렬 포트 ... 743 본격 통신 시대의 개막 ... 743 윈도우 95 통신 ... 744 모든 통신 소프트웨어에 하나의 모뎀 사용 ... 744 윈도우 3.x 통신 지원 ... 745 모뎀 구성하기 ... 745 모뎀 구성 테스트하기 ... 748 일반 모뎀의 기본 설정 변경하기 ... 749 모뎀 연결 등록 정보 변경하기 ... 750 고급 옵션 변경하기 ... 751 16550 UART 설정 변경하기 ... 753 모뎀 설정 변경하기 ... 753 모뎀 테스트와 질의 ... 754 모뎀의 직렬과 병렬 포트 ... 756 직렬 포트 구성하기 ... 757 직렬 포트 설정 변경하기 ... 757 직렬 포트 주소와 인터럽트 값 ... 758 직렬 포트 주소와 인터럽트 변경하기 ... 759 고급 직렬 포트 ... 762 내장형 모뎀에서 16550A UART 테스트하기 ... 762 병렬 포트 구성하기 ... 763 사용 가능한 직렬 및 병렬 포트의 수는? ... 764 Win.ini에 저장된 포트 값 ... 764 널(Null) 모뎀 케이블 ... 766 제26장 전화 통신과 전화 걸기 ... 769 지금 전화하는 위치는? ... 769 위치 정보 설정 ... 770 전화 걸기 등록 정보 화면 ... 770 새로운 위치 설정하기 ... 772 전화 거는 방법 정의하기 ... 772 전화 카드 통화 ... 772 목록에 장거리 전화 회사 및 전송 방법 추가하기 ... 773 전화 걸기 규칙 ... 775 전화 거는 번호에 형식 지정 ... 778 전화 걸기 ... 778 단축 다이얼 설정하기 ... 779 Telephon.ini ... 780 Locations 부분 ... 780 Cards 부분 ... 781 제27장 디스크 도구와 파일 시스템 ... 785 정말로 바뀐 것 ... 785 VFAT ... 786 Vcache ... 786 직접 CD-ROM 지원 ... 786 긴 파일 이름 ... 787 윈도우 95용 디스크 도구 ... 787 압축 디스크 제어기 ... 787 내장 SCSI 하드 디스크 지원 ... 788 설치 가능 파일 시스템 관리자 ... 788 동적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스왑 파일 ... 788 확장 IDE 장치 지원 ... 788 멀티태스킹 플로피 드라이브 포맷 ... 789 디스크와 디스크 도구 찾기 ... 789 시작 단추 ... 789 디스크 아이콘 ... 789 도움말 사용법 ... 790 DOS 창에서 ... 791 장치 관리자 ... 791 파일 시스템 성능 ... 792 가상 메모리 성능 ... 792 시스템 사용 상황 ... 792 디스크 도구 ... 793 디스크 검사 ... 793 디스크 조각 모음(Defrag) ... 797 디스크와 관련된 기능 ... 801 디스크 공간 ... 801 파일의 크기와 속성 ... 802 포맷 ... 803 디스크 복사 ... 804 공유 ... 804 휴지통 크기 ... 804 Chkdsk/f ... 805 디스크 액세스 문제 해결 ... 805 디스크 압축 ... 805 압축된 디스크 크기 ... 807 압축된 드라이브 만들기 ... 808 압축 드라이브의 크기 변경 ... 811 추정된 압축률 ... 812 디스크 공간 늘림의 기타 옵션 ... 814 디스켓 압축 ... 814 파일 압축의 크기 ... 815 안전한 압축 ... 815 Dblspace.ini ... 815 디스크 공간 늘림 속도 ... 816 DriveSpace(디스크 공간 늘림) 명령줄 매개변수 ... 816 디스크 공간 늘림 3으로 압축 ... 817 가상 파일 시스템 ... 821 잠금(Lock)과 잠금 해제(Unlock) ... 821 실제 모든 디스크 제어기 ... 822 호환 드라이브 ... 822 디스크 캐시 ... 823 디스크 캐시 매개변수 설정 ... 823 스왑(교체) 파일 관리 ... 824 압축 드라이브에서의 스왑 공간 ... 825 윈도우 3.x 스왑 파일 ... 826 긴 파일 이름 ... 826 사용 가능한 파일 이름 ... 826 짧은 파일 이름 ... 827 복사, 이름 바꾸기 그리고 기타 ... 828 윈도우 3.x Norton Disk Editor ... 828 네트워크를 통한 긴 파일 이름 ... 829 긴 파일 이름 지원 기능 해제하기 ... 830 디스크 드라이브 파티션 ... 830 DMF 디스켓 ... 831 Future Domain 디스크 컨트롤러 ... 832 제5부 통신 ... 835 제28장 집에 있는 컴퓨터에서 사무실 컴퓨터로 전화 걸기 ... 837 모뎀을 통한 네트워킹 ... 837 전화 접속 네트워킹 ... 839 전화 접속 서버 ... 839 네트워크 프로토콜 ... 839 전화 접속 프로토콜 ... 840 사무실에서 호스트로 사용하도록 윈도우 95 컴퓨터 설치하기 ... 840 전화 걸기 액세스 사용 못함 ... 843 보안 ... 843 집에 있는 컴퓨터를 게스트로 설정하기 ... 843 다른 운영 체제에 전화 걸기 ... 845 SLIP 서버 종류 ... 846 기본 전화 정보 설정 ... 848 사용자의 모뎀 ... 848 전화 접속 어댑터 ... 849 사무실 컴퓨터로 전화 걸기 ... 850 수동으로 전화 걸기 ... 851 모뎀을 통한 네트워킹 ... 852 공유 자원 액세스하기 ... 852 공유 자원 찾기 ... 853 외부에 있을 때 전자 우편 보기 ... 854 집에서 사무실 프린터에 인쇄하기 ... 854 외부에 있을 때 사무실 컴퓨터에서 팩스 보내기 ... 854 제29장 전자 게시판에 전화 걸기 ... 857 터미널 통신 방식 ... 857 연결 설정 만들기 ... 859 전자 게시판에 연결하기 ... 861 파일 다운로드하기 ... 861 연결 설정 등록 정보 바꾸기 ... 862 전화 번호와 모뎀 등록 정보 바꾸기 ... 863 터미널 에뮬레이션과 버퍼 크기 설정하기 ... 863 ASCII 텍스트 처리 ... 865 들어오는 텍스트를 파일로 갈무리하기 ... 865 하이퍼터미널과 터미널 ... 866 제30장 랩톱에서 데스크탑으로 ... 869 두 컴퓨터 연결하기 ... 869 DOS용 LapLink의 역사 ... 869 Interlnk - 마이크로소프트의 케이블 네트워크 ... 870 케이블 직접 연결 ... 871 속도 ... 872 설치 ... 873 구성 ... 873 네트워크 구성 ... 875 어디에 연결되는가? ... 878 케이블 직접 연결 실행하기 ... 879 호스트 액세스 ... 879 직렬 포트 ... 880 병렬 포트와 케이블 - 10MB 이더넷의 1/3 속도 ... 881 더 나은 속도 ... 882 인터럽트 감시 ... 883 DCC 문제 해결하기 ... 883 Windows NT로 케이블 직접 연결하기 ... 884 호스트 컴퓨터의 인쇄 대기열 관리하기 ... 884 윈도우용 LapLink는? ... 885 제31장 동기화 파일 처리 - 서류 가방 ... 887 왜 서류 가방인가? ... 887 시나리오 1 ... 888 시나리오 2 ... 888 시나리오 3 ... 889 서류 가방의 기능 ... 889 서류 가방 만들기 ... 890 서류 가방에 파일 또는 폴더 복사하기 ... 891 서류 가방 옮기기 ... 891 서류 가방을 플로피 디스크로 옮기기 ... 892 서류 가방을 휴대용 컴퓨터로 옮기기 ... 893 서류 가방 열기 ... 893 서류 가방에서 파일 또는 폴더 복사하기 ... 894 서류 가방의 파일 또는 폴더 상태 확인하기 ... 894 파일 및 폴더 새로 고치기 ... 895 다중 동기화 ... 897 원본과 서류 가방 복사본이 모두 수정된 경우 ... 898 동기화 연결 관계 끊기 ... 899 데이터 파일 ... 900 제32장 어디에서나 전자 우편(및 팩스)을 ... 901 팩스만 사용하려면 ... 901 팩스를 보내는 방법 ... 902 Microsoft Exchange의 기능 ... 904 빠진 기능 ... 905 Microsoft Exchange는 독립된 제품이다 ... 906 Microsoft Exchange의 설치 ... 907 Microsoft Exchange 명령줄 스위치 ... 907 Microsoft Exchange 설치 마법사 ... 908 Exchange 초기화 파일 ... 908 개인 정보 저장소 ... 909 편지 배달 서비스 ... 910 Exchange 초기화 파일 만들기 ... 912 Exchange 초기화 파일 편집하기 ... 913 편지 배달 서비스 선택하기 ... 917 인터넷 메일 등록 정보 시트 ... 917 메시지 저장소 ... 918 초기화 파일에 메시지 저장소 추가하기 ... 919 메시지 저장소 이름 바꾸기 ... 920 어떤 메시지 저장소를 사용할 것인가? ... 920 메시지 머리글 정렬하기 ... 921 메시지 저장소 밖에 있는 메시지 ... 922 주소록 ... 922 주소록 이름 바꾸기 ... 924 개인 주소록의 큰 문제점 ... 924 편지 작성과 보내기 ... 925 편지 보내기 ... 925 주소록을 사용하지 않고 편지 보내기 ... 927 전자 우편 이상의 기능 ... 928 덧붙인 파일에 대한 포인터 보내기 ... 929 마이크로소프트 메일 작업 그룹 우체국 ... 930 마이크로소프트 메일 메시지 저장소 업그레이드하기 ... 931 마이크로소프트 메일 우체국 원격 액세스 ... 931 Microsoft Exchange에서의 문제 해결 방안 ... 934 Microsoft Fax ... 935 시작 단추를 사용하여 팩스 보내기 ... 935 팩스 받기 ... 937 팩스 형식 ... 938 네트워크에서의 팩스/모뎀 공유 ... 939 공유 팩스/모뎀 서버에 연결하기 ... 941 Microsoft Fax에서의 문제 해결 방안 ... 942 제33장 인터넷 접속 ... 945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터넷 ... 945 인터넷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 947 마이크로소프트 TCP/IP 스택 ... 948 인터넷 전화 접속 연결 설치하기 ... 948 모뎀 설치 및 구성하기 ... 949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계정 ... 949 서비스 공급자 계정 정보 ... 950 전화 접속 네트워킹 ... 952 TCP/IP를 전화 접속 어댑터로 바인딩 ... 953 TCP/IP 스택 구성하기 ... 953 서로 다른 전화 접속 연결에 대한 다중 TCP / IP 설정 ... 956 서비스 공급자로 전화 접속 연결하기 ... 956 서비스 공급자에 전화 걸기 ... 959 SLIP 설치 및 로그온 자동 처리하기 ... 961 연결 상태 점검하기 ... 962 TCP/IP 유틸리티 ... 964 셰어웨어 인터넷 유틸리티 ... 965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 ... 965 텔넷 ... 966 인터넷 메일 ... 966 빠진 것은? ... 966 LAN을 통한 인터넷 접속 ... 967 Microsoft Plus! 인터넷 탐색기 ... 968 하이텔 PPP 서비스로 인터넷 연결하기 ... 969 인터넷 탐색기 기능 ... 970 윈도우 95 홈 페이지 ... 972 제34장 네트워킹 ... 977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원 기능 ... 977 윈도우 95 네트워킹이 여러분에게 가져다 주는 이점 ... 979 두 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 980 네트워크 설치 ... 982 클라이언트 선택하기 ... 984 어댑터를 선택하고 필요한 자원 설정하기 ... 984 어댑터 제어기에 대한 자원 구성하기 ... 986 네트워크 프로토콜 선택하기 ... 988 네트워크 서비스 선택하기 ... 989 자원 공유하기 ... 990 기본 네트워크 로그온 ... 992 파일 및 프린터 공유 ... 992 컴퓨터 이름 짓기 ... 992 Microsoft 네트워크 ... 993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로 컴퓨터 구성하기 ... 993 Microsoft 네트워크 프로토콜 구성하기 ... 995 Novell NetWare 네트워크 ... 995 NetWare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로 컴퓨터 구성하기 ... 996 윈도우 95 컴퓨터를 NetWare 프린터 및 파일 서버로 사용하기 ... 998 IPX/SPX 호환 프로토콜 구성하기 ... 998 어댑터 제어기 구성하기 ... 998 네트워크에 로그온하기 ... 999 네트워크 환경 ... 1000 통합 명명 규칙(UNC) ... 1001 자원 공유하기 ... 1001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 ... 1002 두 가지 액세스 제어 방식 ... 1002 액세스 제어 방식 설정하기 ... 1004 네트워크 관리 ... 1005 원격 관리 설정하기 ... 1006 원격 레지스트리 서비스 설치하기 ... 1007 네트워크 감독 ... 1008 시스템 정책 편집기 ... 1012 레지스트리 편집기 ... 1013 시스템 사용 상황 ... 1013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 ... 1013 찾아보기 ... 1015 부록 ... 부록 부록 A CD-ROM에는.. ... 부록 부록 B 윈도우 95 관련 동호회와 인터넷 사이트 ...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