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우리 경제, 어디로 갈 것인가. ... 17 1. 민주화와 세계화, 거스를 수 없는 역사의 흐름 20세기는 인간 해방의 역사 ... 25 20세기 말의 양대 조류, 민주화와 세계화 ... 32 2. 철저한 민주주의가 경제를 살린다 다시 한번 새겨보는 민주주의의 본뜻 ... 39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 42 민주주의를 하지 않으면 나라가 망한다 ... 49 철저한 민주주의가 경제를 살린다 ... 55 민주주의를 재대로 해야 국방도 튼튼해진다 ... 61 언론이 중요하다 ... 66 3. 세계화 시대에 나타나는 경제현상들 전세계의 시장이 하나로 ... 79 부작용은 있다. 그러나… ... 86 세계화가 아이들을 버려놓는다? ... 91 세계화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들(1)-초국적 기업에는 해가지지 않는다 ... 94 세계화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들(2)-달라진 국민국가의 역할 ... 98 세계화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들(3)-노동조합도 세계화에 동참한다 ... 102 세계화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들(4)-지방이 살아야 국가도 산다 ... 112 세계화 시대 공권력의 한계 ... 115 과욕은 금물 ... 115 좋은 의도를 경계하라 ... 119 4. 세계화 시대, 이 정도 경제상식은 알아두자 세계화 시대, 이 정도 경제상식은 알아두자 ... 127 도대체 시장이란 무엇일까 ... 131 시장이란? ... 131 시장은 교환에서 시작된다 ... 131 교환의 원리는? ... 133 교환의 근거는? ... 134 교환의 이점-분업화, 전문화, '규모의 경제' ... 134 시장이 하는 일은 무엇일까? ... 137 시장의 기능1-수요와 공급을 조절한다 ... 138 시장의 기능2-자원의 배분을 결정한다 ... 140 '돈의 투표'-소비자의 선택이 자원배분을 좌우한다 ... 142 시장이 가져오는 부수적인 현상들 ... 145 집중화(또는 집적화) 현상 ... 145 분산화 현상 ... 145 평준화 현상 ... 146 교란 현상 ... 147 통합 현상 ... 148 시장은 어떻게 확대되어 왔을까? ... 151 시장, 봉건제를 무너뜨리다 ... 152 새로운 국제질서의 확립 ... 154 다시 WTO체제로 ... 157 상식을 넘어서-보호무역은 과연 애국적인 것인가? ... 160 5. 국가경쟁력 문제를 생각한다 한국경제, 이대로 쇠퇴하고 말 것인가? ... 165 경쟁을 통해 경쟁력을 기른다 ... 170 경쟁을 통한 '창조적 파괴' ... 170 수출주도형 경제개발 전략과 수입대체형 경제개발 전략 ... 174 그러나 벼농사만은… ... 180 선진국, 이렇게 위기를 극복했다 ... 184 세계화 시대의 최우수 정부, 뉴질랜드 ... 184 영국과 미국의 개혁 ... 188 일본은 지금 ... 194 우리의 경제 성적표 ... 197 바닥권을 헤매는 우리의 국가경쟁력 ... 197 왜 이렇게 국가경쟁력이 떨어졌을까? ... 200 과소비 추방운동, 방향을 잘못 잡았다 ... 207 31등 국가경쟁력, 36등 정부의 책임이다 ... 211 정부의 낮은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을 끌어내린다 ... 211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개혁 ... 215 규제개혁이 안되는 이유 ... 217 36등 정부, 권력집중이 문제다 ... 223 이른바 '경영행정'에 대하여 ... 228 행정기관은 서비스를 생산하는 비영리기관 ... 228 행정기관의 수익사업은 위험하다 ... 232 물가관리 책임은 중앙정부에 있다 ... 234 깨끗한 환경도 돈을 들여야 ... 237 금융시장 개방, 금융자율화로 대비하자 ... 242 21세기 최대 자원은 인적자원 ... 248 세계화 시대에 웬 지방화? ... 252 6. 한국 경제와 통일 통일은 남북한이 모두 사는 길 ... 261 그러나 흡수통일은 바람직하지 않다 ... 267 흡수통일은 인위적으로 유도해 낼 수 없다 ... 267 북한 연착륙의 필요성 ... 270 북한에 대한 포용정책은 트로이의 목마 ... 273 북한의 현실적인 선택, 중국식 체제 전환 ... 277 북한이 선택 가능한 3가지 길 ... 277 북한의 현실적인 선택, 중국식 체제 전환 ... 279 남북통일의 방법론 ... 283 한국 정부의 통일 정책 ... 283 북한 정부의 통일정책 ... 284 김대중의 3단계 통일론 ... 284 비슷한 점은 살리고 차이점은 후세의 판단에 맡기자 ... 285 그래도 북한이 붕괴한다면 ... 289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