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 5 약자 서문 ... 7 재판 서문 ... 13 초판 서문 ... 17 제1장 동아시아 매혹적인 아시아 ... 31 아시아의 문화 유산 ... 32 동질성 ... 33 문명과의 접촉 ... 34 도덕적 교훈 ... 35 동아시아 ... 36 아시아적 개별성 ... 37 아시아의 중심축인 인도 ... 38 조선 제2장 조선 여행과 조선인의 생활 방식 조선의 매력 ... 43 조선에 관한 문헌 ... 45 조약항 ... 47 부산 ... 48 원산 ... 50 제물포 ... 52 조선 민족 ... 52 전체 인구 ... 55 인종과 언어 ... 56 민족성 ... 57 극단적인 사회 현상들 ... 59 여행할 때의 필요 사항 ... 60 금강산 기행 ... 61 조선의 승려 ... 63 수도 생활과 풍습 ... 65 사찰 건물 ... 65 조선의 종교 ... 66 정령 숭배와 유교 ... 68 여행의 조건 ... 69 사냥 ... 70 농촌의 생활 ... 72 시골 풍습 ... 73 기념비 ... 74 무덤들 ... 74 도보 여행자 ... 76 조선의 여관 ... 76 제3장 조선의 수도와 조정 '서울' 이라는 이름 ... 78 서울의 위치 ... 80 봉화 ... 82 주민과 거리 ... 83 더러운 개천들 ... 85 주택 ... 86 거리의 생활과 복식 ... 87 무희들 ... 89 조선의 모자 ... 91 놀이 ... 93 보신각종 ... 95 상점들 ... 95 석탑과 비석 ... 96 사원 ... 97 홍살문 ... 98 채색한 부처 ... 99 형장 ... 100 왕의 피난지 ... 100 조선의 주권 ... 101 궁궐들 ... 101 동궁 또는 새 궁궐 ... 102 서궁 또는 옛 궁궐 ... 103 알현실 ... 104 여름 궁궐 ... 106 조선 국왕 ... 107 대원군 ... 107 왕의 통치 ... 110 조선 왕의 성품 ... 111 명성 왕후 ... 112 세자 ... 112 조선의 군주제 ... 113 외국 사신 접견 ... 114 관복과 조정 내의 예의 범절 ... 116 왕의 알현 ... 117 왕의 행차 ... 118 조선의 군대 ... 123 전투력 점검 ... 123 제4장 조선의 정치와 상업의 특징 아시아의 소우주 ... 125 조선의 행정 ... 126 세입과 채무 ... 127 대 외국 조약 ... 128 외국인 고문 ... 129 사업과 전망 ... 130 화폐 ... 131 새 화폐 주조소와 은화 주조 ... 132 은행 ... 133 상업 발전의 장애물들 : 통신 수단·도로 ... 133 하천의 항해 ... 134 연안 항해 ... 135 철도 ... 135 교역의 성장 ... 136 관세 서비스 ... 138 밀무역 ... 139 조선인의 관점 ... 139 광산과 광물 ... 140 금 ... 141 미래에 대한 전망 ... 142 조선의 선교사들 ... 142 영국 개신교 선교단 ... 145 조선인의 정서 ... 145 제5장 조선 정치의 미래 비정상적인 정치 상황 ... 148 일본과의 관계 ... 149 조공 사절 ... 150 마찰과 불화 ... 151 영향력의 회복 : 1876년 조약 ... 152 1885년 톈진 조약 ... 152 상업 패권 ... 153 정치적 불협화음 ... 155 일본의 대 조선 정책의 실상 ... 156 전쟁의 발발 ... 156 중국과의 연계 ... 157 조선 복속의 남아 있는 증거 ... 159 1890년 조 대비(趙大妃)의 죽음 ... 159 중국의 대 조선 정책 ... 161 중국 총독 대리 ... 167 이홍장의 정당화 ... 167 러시아와의 연계 ... 168 저돌적인 획책들 ... 169 임시 방편적 계획들 ... 172 영국의 태도 ... 173 1885년 거문도 점령 ... 174 기타 열강들 ... 175 시체를 노리는 까마귀들 ... 176 중국 제6장 중국의 시골과 수도 중국으로의 이동 ... 181 톈진(天津) ... 182 이홍장 총독 ... 183 이 총독과의 면담 ... 186 북경 여행 ... 187 중국의 시골 생활 ... 187 북경 입구 ... 189 평면도 ... 192 북경의 세 모습 ... 193 거리의 진풍경들 ... 194 중국인의 생활상 ... 196 황제의 궁궐 ... 197 동치제(同治帝) ... 198 두명의 섭정 황태후 ... 199 서태후 ... 200 광서제(光緖帝) ... 202 궁궐의 일과 ... 203 천국 사원 ... 203 출입의 어려움 ... 205 연중제 ... 206 관측소 ... 206 시험장 ... 209 북과 종탑 ... 209 공자 사원 ... 209 중국 고전실 ... 210 대라마 사원 ... 210 성벽 외곽 ... 212 큰 종 ... 213 중국판 베르사유 ... 214 여름 궁궐 ... 215 완쇼우샨 ... 216 만리장성 ... 216 명황제들의 능 ... 218 북경 주재 영국 공사관 ... 219 제7장 중국과 열강들 중국과 유럽의 관계 ... 221 총리 아문 ... 222 지체의 부서 ... 224 중국의 외교 ... 225 알현권 ... 226 중국 역사 ... 227 영국 사절들 : 1793년의 머카트니 경 ... 229 1816년의 암허스트 경 ... 230 막간 ... 231 1873년∼74년에 있었던 동치제 알현 ... 231 1891년의 광서제 알현 ... 232 이후의 알현 ... 234 업적의 개요 ... 236 논쟁의 진정한 의미 ... 236 중국의 외교 정책 ... 237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태도 ... 238 중국과 파미르 지역 ... 239 1895년의 러시아 ... 240 영국에 대한 중국의 태도 ... 241 영국과 중국 간의 교역 ... 242 아편 문제 ... 244 선교사 문제 ... 245 신교 선교 ... 247 선교사들의 훌륭한 행적 ... 248 포교 ... 249 반대와 결점 ... 249 요약 ... 267 결과 ... 267 정당한 정책 : 조약의 준수 ... 269 엄격한 예방 조치 ... 270 자료의 선택 ... 271 제8장 중국의 각성 중국은 깨어 있는가? ... 273 전술적 항복 ... 274 중국의 철도 ... 276 만주선 ... 276 북경까지의 철도 ... 278 대관통선 ... 279 한코우선과 공장들 ... 280 대만선 ... 281 새로운 계획들 ... 282 기타 통신 수단 ... 282 군대 개혁 ... 283 만주와 국민군들 ... 284 기율 ... 286 중국인 장교 ... 288 유럽 인 장교 ... 289 비용 ... 290 성공 사례의 허상 ... 290 고든 장군의 견해 ... 291 프르제발스키 장군 ... 292 벨 대령 ... 292 중국 해군 ... 293 허위적 그리고 실제적 위험 ... 296 유럽 용병 ... 296 중국의 언론 ... 297 내국 기업 ... 299 관료주의라는 저주 ... 300 중국 관료 ... 301 중국의 관점 ... 302 진보의 양태 ... 303 정체된 현실 ... 303 제9장 중국의 승방 제도 중국 불교 ... 306 불교의 미신 포용 ... 307 수도승에 대한 모순적 견해 ... 308 모순에 대한 해명 ... 309 승방 제도의 본래 의미 ... 309 전도(轉倒) ... 310 정신적 보장 ... 310 승려의 사회적 추방 ... 311 민중의 증오 ... 312 흔한 가짜 승 ... 313 다양한 사회 계층적 배경을 가진 승려들 ... 313 생계 수단 ... 315 수도원과 사찰 ... 315 출입로 ... 316 사찰의 본채 ... 317 법회 ... 318 소리 그뿐 ... 319 유리집에 세든 이들 ... 320 행진 ... 320 성골함 ... 321 승려의 사적 영역 ... 321 화장 ... 321 일본 제10장 일본의 근대적 발전 일본의 철도 ... 325 도쿄의 거리 ... 326 일본 의회 ... 328 일본의 여론 ... 330 의회의 이모저모 ... 330 향후의 어려운 문제들 ... 332 대신과 의회 ... 332 대재다능한 이토 내각 ... 334 기대 ... 337 1892∼1893년 회기 ... 338 1893년 회기 ... 340 위기 ... 341 1894년의 국민투표 ... 342 현실적 갈등 요소 ... 343 이슈 ... 350 일본 해군 ... 351 일본 군대 ... 352 확증적인 의견 ... 354 재정 ... 355 무역 ... 356 제조업 분야 ... 357 외국인에 대한 일본인의 태도 ... 358 빗나간 애국심 ... 360 기독교의 가망성 ... 362 제11장 일본과 열강 조약 개정 ... 364 조약 체결사 ... 365 조약 개정의 지연 ... 366 일본의 입장 ... 368 열강의 입장 ... 368 전대의 개정 시도들 : 이노우에 백작(1886∼87) ... 370 오쿠마 백작의 개정 시도(1888∼89) ... 370 아오키 자작의 개정시도(1890) ... 372 개정 조약 타결의 배경 ... 372 일본법의 현황 ... 373 또 한 번의 연기 ... 374 천황에게 올린 1893년의 상소 ... 375 외국인 거주에 대한 반대 시위 ... 376 중국 문제 ... 378 외국인 재산 소유 반대 선동 ... 379 기타 요구 사항 ... 380 타결의 전망 ... 380 1894년 7월 조약 ... 381 제11장 부록 Ⅰ. 상업과 항해에 관한 영일 조약(1894년 7월) ... 383 Ⅱ. 의정서 ... 392 전망 제12장 전쟁 이후 전쟁의 책임 ... 397 동양판 복수극 ... 398 부차적 동기 ... 398 일본의 애국심과 전쟁 준비 ... 399 전쟁의 양상 ... 400 중국 참패의 원인 ... 402 사회적 부패 ... 402 군사적 무능 ... 403 중국의 병사들 ... 404 전쟁의 영향 ... 405 제13장 동아시아의 운명 요약 ... 427 일본의 장래 ... 428 일본의 야망 : '동아시아의 영국' ... 429 중국의 미래 ... 431 이방인으로서의 중국인들 ... 432 중국 부활론 ... 433 피어슨 씨의 주장 ... 433 몽고족의 새로운 침입 ... 435 미래의 지배자 ... 435 중국 내 미점령지의 반대 ... 436 피어슨 씨에게 반론을 제기하는 이유 ... 437 피어슨 씨가 주장한 중국의 두 가지 성공 사례 ... 438 식민지 문제 ... 438 중국 이주민의 특성 ... 440 중국 군대의 약점 ... 442 불가능한 재정벌의 꿈 ... 443 사회적 신격화의 꿈 ... 444 역사의 교훈 ... 445 반란의 위험성 ... 446 실제적 운명 ... 447 종족과 제국 ... 448 일본은 적(敵)인가? ... 449 제14장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영국 영국의 역할 ... 451 영국에 대한 반사 영향 ... 452 영국의 상업적 우월성 ... 453 우리의 경쟁자들 ... 454 사업의 위축 ... 455 기독교 선교사들 ... 456 동아시아에서 영국인의 생활 ... 457 신문 ... 458 가정 생활 ... 459 영국인의 국민성 ... 459 영국의 외교 ... 460 영국 외교관들 ... 461 특별 참고 도서관 ... 462 외교적 변칙 상태 ... 463 동아시아에 있어서 영국의 장래 ... 464 영어 ... 466 부록 ... 468 Ⅰ. 시모노세키 조약(1895년 4월) ... 468 Ⅱ. 일본의 칙령(1895년 5월) ... 474 색인 ... 476 역자후기 ... 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