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의 글 ... 11
제1장 다문화에 나타난 유가사상(儒家思想)
Ⅰ. 유학과 차(茶) ... 22
Ⅱ. 다도(茶道)의 유가사상 ... 27
1. 군자(君子) 수신(修身)의 다도 ... 29
2. 다도의 중도사상(中道思想) ... 34
Ⅲ. 다사(茶事)의 공부 ... 43
1. 다사의 대가들 ... 44
2. 역(易)에 입각한 다사(茶事)의 이해 ... 51
3. 다미(茶味)의 철학 ... 53
Ⅳ. 다(茶)의 덕(德) ... 57
1. 청덕(淸德) ... 60
2. 군자되게 하는 덕 ... 73
3. 예(禮)의 덕 ... 76
4. 의(義)의 덕(德) ... 89
Ⅴ. 죄와 법을 다룰 때 행하는 다례의(茶禮儀)의 철학적 의미 ... 91
1. 중형주대의(重刑奏對儀) 다례 ... 91
2. 사헌부 다시(茶時) ... 93
3. 사면다례 ... 96
4. 차모(茶母) ... 96
5. 법 적용 전에 행한 다례의 철학적 의미 ... 97
6. 다시풍습의 변화 ... 100
제2장 고선도(古仙道) 다문화
Ⅰ. 고선도(古仙道) 다문화의 특성 ... 104
Ⅱ. 사선(四仙)과 화랑의 다문화 ... 107
1. 사선의 전다 유적지와 석지조(石池조) ... 107
2. 사선과 화랑의 음다속 ... 119
3. 고려에 남은 선풍(仙風) 음다속 ... 121
Ⅲ. 불가의 고선도 다문화 ... 128
1. 민족의 시조신에게 헌다 ... 128
2. 불가의 신선사상 ... 132
Ⅳ. 그 외의 고선도 다문화의 흔적 ... 134
1. 웅천 찻잔 ... 134
2. 고구려 벽화의 진다도(進茶圖) ... 137
3. 찻자리의 금(琴)과 학 ... 138
제3장 불가(佛家)의 다문화
Ⅰ. 불교와 차(茶) ... 144
Ⅱ. 우리나라 불가(佛家) 다문화의 특색 ... 146
Ⅲ. 다문화에 나타난 불교사상 ... 152
1. 다문화에 자리잡은 선사상(禪思想) ... 152
2. 다도는 성불(成佛)의 길 ... 170
3. 다생활의 청정함 ... 176
Ⅵ. 불가의 다례 ... 178
1. 불가에서 차를 올린 대상 ... 179
2. 봉헌다례 ... 182
3. 제사다례 ... 185
4. 헌수와 헌다 ... 192
제4장 도가(道家) 및 도교사상(道敎思想)과 다문화
Ⅰ. 노장사상과 도교와 차(茶) ... 198
Ⅱ. 도가사상적 다도철학 ... 200
1. 다사(茶事)를 통한 득도(得道) ... 200
2. 다도일여(茶道一如) 사상 ... 209
3. 찻물과 도(道)와 심(心) ... 213
Ⅲ. 도가적 다생활 ... 215
1. 한국 도가의 다례 ... 215
2. 도맥의 다인들 ... 219
Ⅳ. 다문화에 나타난 은일사상과 신선사상 ... 224
1. 도가적 은일(隱逸)과 다생활 ... 224
2. 신선사상과 다생활 ... 226
3. 선비의 도가적 다생활 ... 229
Ⅴ. 도교 제단의 차(茶) ... 235
제5장 민간신앙 및 기타 종교와 차(茶)
Ⅰ. 민간신앙과 차(茶) ... 240
1. 백성들의 음다풍속 ... 241
2. 茶는 벽사(酸邪)의 부적 ... 245
3. 다수(茶水)는 기복(祈福)의 매개체 ... 248
4. 차씨는 아들 낳는 부적 ... 259
Ⅱ. 기타 종교와 차(茶) ... 261
제6장 현대의 다생활
Ⅰ. 다도철학 ... 264
1. 다도(茶道) ... 264
2. 현대의 다도철학 ... 265
3. 중국과 일본의 다도철학 ... 268
Ⅱ. 차(茶)의 일곱가지 덕(德) ... 272
1. 수양하게 한다 ... 272
2. 인정의 통로를 만든다 ... 283
3. 능력을 개발한다 ... 286
4. 예의에 친숙하게 한다 ... 290
5. 신체 건강에 이롭다 ... 293
6. 물의 진리를 배우고 자연을 사랑하게 한다 ... 295
7. 노년기를 잘 지내게 한다 ... 298
Ⅲ. 대중생활문화로서의 다문화(茶文化) ... 300
1. 문화의 중요성과 다문화 ... 300
2. 다문화의 특성 ... 303
주(註) ... 31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