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면서 ... 4
제1부 조선시대 화론의 제 형식
머리말 - 조선시대 화론 연구의 발자취 ... 14
화론의 개념과 범주 ... 18
1. 중국의 화론 ... 18
2. 조선의 화론 ... 21
조선시대 화론의 전개 형식 ... 24
1. 논(論)·기(記)·서(序)·발(跋) 형식의 화론 ... 24
1) 원론 내지 총론 ... 25
2) 작가론 ... 27
3) 작품론 ... 29
4) 기법론 ... 32
5) 감식·수장론 ... 33
2. 전(傳) 형식의 작가 전기 ... 37
3. 행장(行狀)·묘지(墓誌)·애사(哀辭) 형식의 작가 증언 ... 39
4. 만록(漫錄) 형식의 열전식 비평 ... 41
5. 시(詩) 형식의 예술적 성찰 ... 43
6. 제화(題畵) 형식의 비평 ... 48
7. 서간(書簡) 형식의 화론과 비평 ... 49
맺음말 ... 52
제2부 조선 후기 화론 연구
머리말 ... 56
동양화론에서 전신론과 사실론 ... 61
1 묘사적 사실론 ... 61
2. 전신론과 기운론 ... 64
3. 사의론과 형사론 ... 70
조선 전기 화론에서 전신론과 사실론 ... 75
1. 잡기·말예론과 시화일률론 ... 76
2. 성정론과 천기론 ... 81
조선 후기 화론에서 전신론과 사실론 ... 89
1. 전신론 ... 91
1) 남태응의 천기론(天機論)〈청죽화사(聽竹畵史)〉 ... 93
2) 윤두서의 화도론(畵道論)《기졸(記拙)》 ... 105
3) 조귀명의 신운론(神韻論)《동계집(東谿集)》 ... 109
4) 권헌의 전신론(傳神論)《진명집(震溟集)》 ... 121
5) 이규상의 유법·원법론(儒法院法論)《일몽고(一夢稿)》 ... 135
6) 심재의 화·사구분론(畵寫區分論)《송천필담(松泉筆譚)》 ... 139
7) 박지원의 사의론(寫意論)《연암집(燕巖集)》 ... 142
2. 사실론 ... 149
1) 이하곤의 사진론(寫眞論)《두타초(頭陀草)》 ... 150
2) 조영석의 사생론(寫生論)《관아재고(觀我齋稿)》 ... 158
3) 이익의 사진론(寫眞論)《성호사설(星湖僿說)》 ... 164
4) 강세황의 사실화법론(寫實畵法論)《표암유고(豹菴遺稿)》 ... 171
5) 정약용의 사생론(寫生論)《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 178
조선 후기 시론·서론에서 전신론과 사실론 ... 185
1. 조선 후기 시론에서 형신론 ... 186
1) 이수장과 김석주의 '신(神)론' ... 188
2) 김창협과 김창흡의 '진시(眞詩)' ... 190
3) 이하곤의 진시와 진문 ... 197
4) 조귀명의 도문분리론(道文分離論) ... 200
5) 권헌의 문학적 기론(氣論) ... 204
6) 박지원의 법고창신론(法古創新論) ... 207
7) 이익의 현실주의적 사실론 ... 211
8) 정약용의 사실론 ... 214
2.조선 후기 서론에서 동국진체론 ... 218
1) 조귀명의 윤백하론(尹白下論) ... 220
2) 이서의 동국진체론(東國眞體論) ... 226
3) 이광사의 형사론(形似論) ... 230
4) 이규상의 원법·방법론(圓法方法論) ... 234
조선 후기 전신론과 사실론의 미학적 해석 ... 239
1. 동양미학에서 본 전신의 문제 ... 239
2. 서양미학에서 재현의 문제 ... 242
3. 조선 후기 전신론과 사실론의 예술론적 교훈 ... 247
맺음말 ... 253
참고 문헌 ... 257
찾아보기 ... 27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