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1
第一章 과거제도의 형성과 발전 ... 20
1. 과거제도의 연원(淵源) ... 21
2. 과거제도의 사회·문화적 배경(문학·윤리와 정치) ... 25
3. 진(秦)왕조의 교훈과 한 대의 찰거제도 ... 33
4. 찰거제도의 실시와 유학독존(금·고문학의 형성) ... 38
5. 찰거의 폐단(월단평)과 세족문벌사회의 형성 ... 46
6. 조조의 유재시거(唯才是擧)방법과 구품증정제 ... 50
7. 문벌세족사회의 형성(上品無寒門, 下品無勢族의 사회) ... 55
8. 유학의 쇠퇴와 현학의 흥성 ... 58
9. 세족의 몰락과 고시의 강화 ... 63
10. 과거제도 실시 시기의 논쟁과 수대의 관리등용법 ... 66
第二章 당대 과거제도와 문화 ... 72
1. 당대 과거의 응시자(생도와 향공) ... 73
2. 당대 과거과목 ... 77
3. 진사과 시험과 시부(詩賦)문학 ... 80
4. 성시(省試)와 방방(放榜) ... 90
5. 이부전형(吏部銓衡) - 身·言·書·判 ... 96
6. 신 진사의 경축연회 ... 100
7. 과거와 당시(唐詩)의 발전 (시가의 황금시대) ... 104
8. 통방(通榜)과 행권(行卷) ... 108
9. 당대 제과(制科) (유분제책'野無遺賢'의 笑劇) ... 117
10. 세족과 서족의 과거투쟁(우이당쟁(牛李黨爭)) ... 124
11. 과거의 발전과 유학부흥 ... 131
12. 과거의 폐단과 당쟁 ... 134
13. 황소(黃巢)의 난과 당조의 멸망 ... 145
第三章 송대 과거제도와 문화 ... 149
1. 북송의 과거(別頭·鎖院·彌封·騰錄) ... 150
2. 세족과 서족의 한계 소실 ... 158
3. 문관정치와 송대사회 ... 166
4. 경력개혁(慶曆改革)과 유학부흥 ... 171
5. 왕안석의 과거개혁과 사상통제 ... 175
6. 신구당쟁과 과거개혁 ... 180
7. 구양수와 사마광의 과거취사논쟁 ... 184
8. 송대 제과(소철의 제책) ... 190
9. 고문부흥운동과 과거 ... 195
10. 송시(宋詩)의 의론화(議論化)와 송사(宋詞)의 서정화 ... 205
11. 송대 과거의 문화정신(중문경무의 풍조) ... 210
12. 송대 과거의 폐단 ... 216
13. 과거와 지식인들의 부패 ... 223
第四章 원대 과거제도와 문화 ... 230
1. 야율초재(耶律楚材)와 원대의 과거(무술선시) ... 231
2. 서리정치와 원대사회 ... 235
3. 과거제도의 회복과 민족차별정책 ... 239
4. 서리정치의 부패와 유생의 사회적 지위 ... 248
5. 과거와 정주리학의 확립 ... 255
第五章 명·청대 과거제도와 문화 ... 261
1. 명·청대의 과거 ... 262
2. 남북방(南北榜)의 논쟁과 분성취사(分省取士) ... 273
3. 과거제도와 학교교육 ... 277
4. 팔고취사와 그 원류(原流) ... 283
5. 팔고과거와 팔고문풍의 형성 ... 290
6. 청초 팔고문의 존폐논쟁(試帖時) ... 298
7. 명·청 전시의 표준(서법과 장원) ... 304
8. 정유(丁酉)과거장 사건과 노신의 조부 ... 307
9. 과거와 문자옥(維民所止 등) ... 318
10. 팔고과거와 사인의 노예화 ... 323
11. 중국문화의 낙오와 건가학파 ... 331
12. 글재주 위주의 과거(吳敬梓·蒲松齡·曹雪芹의 문장) ... 341
13. 근대화운동과 과거폐지(공거상서와 무술변법) ... 353
14. 신교육과 신지식계층의 흥기 ... 362
15. 민국의 문관고시와 조선과 월남에서의 과거 ... 365
논문목록 ... 369
색인 ... 378
역자후기 ... 402
서론 ... 1
第一章 과거제도의 형성과 발전 ... 20
1. 과거제도의 연원(淵源) ... 21
2. 과거제도의 사회·문화적 배경(문학·윤리와 정치) ... 25
3. 진(秦)왕조의 교훈과 한 대의 찰거제도 ... 33
4. 찰거제도의 실시와 유학독존(금·고문학의 형성) ... 38
5. 찰거의 폐단(월단평)과 세족문벌사회의 형성 ... 46
6. 조조의 유재시거(唯才是擧)방법과 구품증정제 ... 50
7. 문벌세족사회의 형성(上品無寒門, 下品無勢族의 사회) ... 55
8. 유학의 쇠퇴와 현학의 흥성 ... 58
9. 세족의 몰락과 고시의 강화 ... 63
10. 과거제도 실시 시기의 논쟁과 수대의 관리등용법 ... 66
第二章 당대 과거제도와 문화 ... 72
1. 당대 과거의 응시자(생도와 향공) ... 73
2. 당대 과거과목 ... 77
3. 진사과 시험과 시부(詩賦)문학 ... 80
4. 성시(省試)와 방방(放榜) ... 90
5. 이부전형(吏部銓衡) - 身·言·書·判 ... 96
6. 신 진사의 경축연회 ... 100
7. 과거와 당시(唐詩)의 발전 (시가의 황금시대) ... 104
8. 통방(通榜)과 행권(行卷) ... 108
9. 당대 제과(制科) (유분제책'野無遺賢'의 笑劇) ... 117
10. 세족과 서족의 과거투쟁(우이당쟁(牛李黨爭)) ... 124
11. 과거의 발전과 유학부흥 ... 131
12. 과거의 폐단과 당쟁 ... 134
13. 황소(黃巢)의 난과 당조의 멸망 ... 145
第三章 송대 과거제도와 문화 ... 149
1. 북송의 과거(別頭·鎖院·彌封·騰錄) ... 150
2. 세족과 서족의 한계 소실 ... 158
3. 문관정치와 송대사회 ... 166
4. 경력개혁(慶曆改革)과 유학부흥 ... 171
5. 왕안석의 과거개혁과 사상통제 ... 175
6. 신구당쟁과 과거개혁 ... 180
7. 구양수와 사마광의 과거취사논쟁 ... 184
8. 송대 제과(소철의 제책) ... 190
9. 고문부흥운동과 과거 ... 195
10. 송시(宋詩)의 의론화(議論化)와 송사(宋詞)의 서정화 ... 205
11. 송대 과거의 문화정신(중문경무의 풍조) ... 210
12. 송대 과거의 폐단 ... 216
13. 과거와 지식인들의 부패 ... 223
第四章 원대 과거제도와 문화 ... 230
1. 야율초재(耶律楚材)와 원대의 과거(무술선시) ... 231
2. 서리정치와 원대사회 ... 235
3. 과거제도의 회복과 민족차별정책 ... 239
4. 서리정치의 부패와 유생의 사회적 지위 ... 248
5. 과거와 정주리학의 확립 ... 255
第五章 명·청대 과거제도와 문화 ... 261
1. 명·청대의 과거 ... 262
2. 남북방(南北榜)의 논쟁과 분성취사(分省取士) ... 273
3. 과거제도와 학교교육 ... 277
4. 팔고취사와 그 원류(原流) ... 283
5. 팔고과거와 팔고문풍의 형성 ... 290
6. 청초 팔고문의 존폐논쟁(試帖時) ... 298
7. 명·청 전시의 표준(서법과 장원) ... 304
8. 정유(丁酉)과거장 사건과 노신의 조부 ... 307
9. 과거와 문자옥(維民所止 등) ... 318
10. 팔고과거와 사인의 노예화 ... 323
11. 중국문화의 낙오와 건가학파 ... 331
12. 글재주 위주의 과거(吳敬梓·蒲松齡·曹雪芹의 문장) ... 341
13. 근대화운동과 과거폐지(공거상서와 무술변법) ... 353
14. 신교육과 신지식계층의 흥기 ... 362
15. 민국의 문관고시와 조선과 월남에서의 과거 ... 365
논문목록 ... 369
색인 ... 378
역자후기 ... 40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