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총론
Ⅰ. 시가사 연구의 기반 ... 11
1. 우리나라 옛 시가문학 개관 / 최철 ... 13
2. 고전시가의 형성과 전개 / 조규익 ... 19
3. 고전시가의 형식 / 성호경 ... 39
4. 고전시가의 정신미 / 박노준 ... 55
5. 시가문학에 대한 남·북한의 관점 비교 / 손종흠 ... 77
6. 기존 시가사의 검토 / 정재호 ... 101
Ⅱ. 고전시가와 다른 갈래의 관계 ... 121
1. 고전시가와 설화의 관계 / 조희웅 ... 123
2. 문헌문학과 민요 / 김선풍 ... 137
3. 고전시가와 무가의 관계 / 박경신 ... 151
4. 판소리의 시가 차용과 경쟁력 / 정병헌 ... 163
5. 고전시가와 한시의 관계 / 이종건 ... 175
제2부 시가사의 흐름
Ⅰ. 상고시가의 성립과 존재 양상 ... 187
1. [龜旨歌]의 성격과 해석의 문제 / 류종목 ... 189
2. 제의적 측면에서 본 [黃鳥歌]의 성격 / 전관수 ... 205
3. [公無渡河歌]의 발생과 그 의미 / 최우영 ... 219
Ⅱ. 삼국시가의 출현과 문학사적 위상 ... 227
1. 삼국시대 시간의 양상 / 김창룡 ... 229
2. 향가의 형성과정과 본질 / 고운기 ... 247
3. 향가의 형식과 그 논의 / 최정선 ... 257
4. 향가의 문학적 성격 / 전용오 ... 267
5. 향가의 작자와 향유층 / 허춘 ... 283
Ⅲ. 고려시가의 출현과 문학적 본질 ... 303
1. 향가의 지속과 변이 / 김미란 ... 305
2. 속요의 형성과 장르적 특질 / 윤성현 ... 315
3. 경기체가의 장르와 주제의식 / 최선경 ... 333
4. 고려시가의 형식 / 김미영 ... 343
5. 고려시가의 시대·이념적 기반 / 이현식 ... 355
Ⅳ. 전환기로서의 여말선초 시가 ... 375
1. 고려시가와 궁중악 / 변종현 ... 377
2. 선초악장의 문학적 성격 / 김영수 ... 395
3. [용비어천가]의 찬술의도와 형식미 / 이윤석 ... 411
Ⅴ. 조선조시가의 정착과 변이 ... 423
1. 평시조의 형성과 전개 / 김경미 ... 425
2. 사설시조의 발생과 평시조의 변이 / 신연우 ... 437
3. 가사의 정립과 발전 / 윤덕진 ... 449
4. 가사의 변이와 굴절 / 김유경 ... 461
5. 전문가단과 시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 / 박애경 ... 473
6. 조선후기의 '잡가 현상' / 김현양 ... 485
7. 조선조 국문시가와 한시 / 조기영 ... 501
Ⅵ. 고전시가사에서 민요의 위치 ... 517
1. 향가와 민요의 접속 / 김경숙 ... 519
2. 민요의 속요화 / 임성래 ... 533
3. 여말선초 신진사대부의 민요인식 / 류재일 ... 545
4. 조선조 유학자의 의식전환과 민요 / 안대희 ... 559
5. 조선후기 서민의식의 성장과 민요 / 길태숙 ... 571
6. 민요과 한시의 거리 / 허경진 ... 583
Ⅶ. 근대화와 전통시가의 변모 ... 601
1. 근대의식과 외래사조의 수용 / 이강엽 ... 603
2. 개화가사의 근대지향적 성격 / 김교봉 ... 617
3. 전통시가의 변모와 개화기 시가 / 설성경 ... 629
4. 『독립신문』 소재 창가 가사 / 오성호 ... 63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