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寫眞
秋泉公系代圖表
發刊辭 / 理事長 ... 7
祝刊辭 / 李起沃[瑞原君宗會長] ... 9
序文 / 恩津 宋時烈 ... 11
詩
1. 五言節句
追步金學士戱贈淸風子韻 (五首)(김학사가 장난삼아 청풍자에게 준 시운을 따라 짓다.) ... 33
詠百日紅(백일홍을 읊다.) ... 34
次川原驛板上韻(천원역 현판위의 시운에 차운하다.) ... 35
次海隱堂八景韻(해은당 팔경의 시운에 차운하다.) ... 36
新梅 (二首)(새 매화를 읊다.) ... 39
長水縣見梅次客舍韻 (二首)(장수현에서 매화를 보고 객사의 시운에 차운하다.) ... 39
途中遇雪(도중에 눈을 만나다.) ... 40
入直摠府次畵牛圖賢韻 (三首)(도총부에 들어가 숙직하면서 화우도의 제현의 시운에 차운하다.) ... 40
冠(관을 읊다.) ... 41
2. 五言四韻
次聽潮樓韻 (二首)(청조루의 시운에 차운하다.) ... 42
香碧亭次韻贈一之主人 (二首)(향벽정의 시운에 차운하여 일지 주인에게 주다.) ... 43
高敞淸絶堂用前韻 (三首)(고창의 청절당에서 앞의 시운으로 짓다.) ... 44
養眞堂偶吟(양진당에서 우연히 읊다.) ... 46
次西澗年兄韻(서간 연형의 시운에 차운하다.) ... 46
聞韶樓次韻 (二首)(문소루에서 차운하다.) ... 47
旅館秋懷 (六首)(여관에서 가을의 회포를 쓰다.) ... 48
次高山東軒韻以示太和主人兄弟 (四首)(고산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여 태화 주인 형제에게 보이다.) ... 51
次沃溝東軒韻 (三首)(옥구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53
玉川郡守歲 (二首)(옥천군에서 해를 보내다.) ... 54
次南平東軒韻 (二首)(남평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55
次君秀先生韻贈別石陽進賜 (二首)(군수 선생의 시운에 차운하여 석양 진사에게 주어 작별하다.) ... 56
耕隱堂次諸賢韻 : 丙申夏赴仁川 (三首)(경은당에서 제현의 시운에 차운하다. 병신년 여름 인천에 부임해 있을 때이다.) ... 58
次韻別鄭子仁之安峽 (二首)(차운하여 안협으로 가는 정자인을 작별하다.) ... 59
暮春念後一日小酌次安國知韻 (六首)(삼월 스무하루 작은 술자리를 벌여 안국지의 시운에 차운하다.) ... 60
在星州又次前人韻(성주에 있으면서 앞사람의 시운에 다시 차운하다.) ... 63
海印寺謹次林石川韻詠崔仙 (二首)(해인사에서 임석천의 시운에 삼가 차운하여 최선을 읊다.) ... 64
次孝彦令公在慶州詠 : 孝彦卽李好閔字(효언영공이 경주에 있으면서 읊은 시운에 차운하다. 효언은 바로 이호민의 자(字)이다.) ... 65
尙州病吟 (二首)(상주에서 병들어 읊다.) ... 66
次都秀才見贈(두수재가 부쳐준 시에 차운하다.) ... 67
歲庚子春赴京到龍川有感仍次(경자년 봄, 서울로 가다가 용천에 이르러 감회가 있으므로 차운하다.) ... 67
次興陽楊江驛板上韻 (三首)(흥양의 양강역 현판 위에 있는 시운에 차운하다.) ... 68
守歲 (二首)(해를 보내다.) ... 69
新春(새봄.) ... 70
別舍弟 (三首)(아우와 작별하다.) ... 70
次金堤客舍韻 (二首)(김제 객사의 시운에 차운하다.) ... 72
徘徊樓偶感(배회루에서 우연히 감회를 쓰다.) ... 73
哭安靜元 (二首)(안정원의 별세를 애도하다.) ... 73
代南경叔挽靜元(남경숙을 대신하여 지은 안정원의 만사.) ... 75
次提督根晦年兄見示 (六首)(제독인 근회 연형이 보여준 시에 차운하다.) ... 75
曹同知挽詞(조동지에 대한 만사) ... 78
藜杖(청려장을 읊다.) ... 79
竹공(대나무 지팡이를 읊다.) ... 80
挽安僉知好仁 (二首)(첨지 안호인에 대한 만사.) ... 81
挽活溪李大병(활계 이대유에 대한 만사) ... 81
3. 五言長律
耆老宴次大提學柳根韻 (二首)(기로연에서 대제학 류근의 시운에 차운하다.) ... 82
附原韻 柳根(원운을 붙임 류근) ... 85
4. 七言節句
次綾城東軒韻(능성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86
用점畢齋韻詠蓮(점필재의 시운으로 연꽃을 읊다.) ... 87
七夕(칠석) ... 87
慶山壁上次唐官韻(경산 벽 위에 있는 당나라 관원의 시운에 차운하다.) ... 88
旅館秋懷(여관에서 가을의 회포를 쓰다.) ... 89
詠懷 (二首)(회포를 읊다.) ... 89
曉發龍潭 (三首)(새벽에 용담을 출발하다.) ... 90
玉果縣次韻 (三首)(옥과현에서 차운하다.) ... 90
綾城縣憶仲悟次東軒韻(능성현에서 증오를 생각하며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91
滯雨有感 (三首)(비 때문에 지체되어 감회를 쓰다.) ... 92
次元擇韻有懷 (四首)(원택의 시운에 차운하여 회포를 쓰다.) ... 93
총馬行(총마를 읊은 노래.) ... 94
도衣怨(옷을 다듬이질하는 원한.) ... 94
淸溪步虛亭次月汀相國韻 (六首)(청계 보허정에서 월정 상국의 시운에 차운하다.) ... 95
病寓石塘林舍賞梅 (三首)(병으로 석당의 정자에 우거하면서 매화를 구경하다.) ... 96
移病上元寺喜見南경叔送甁梅 (二首)(병으로 상원사에 있으면서 남경숙이 매화 꽃병을 보내준 것을 반가히 보다.) ... 97
子淸呼韻 (二首)(자청이 운을 부르다.) ... 98
次韻贈別 (二首)(차운하여 주고 작별하다.) ... 99
又次李翰林大中先生韻 (三首)(이한림 대중선생의 시운에 다시 차운하다.) ... 100
次智師詩軸蘇齋林塘相國韻 (四首)(지사의 시축에 쓴 소재와 임당 두 상국의 시운에 차운하다.) ... 100
公權池見殘荷有感仍次前賢韻(공권지에서 시들어가는 연꽃을 보고 감회를 느껴 전현의 운으로 차운하다.) ... 102
海印寺夜吟 (三首)(해인사에서 밤에 읊다.) ... 102
次玉果倚雲樓韻 (三首)(옥과 의운루의 시운에 차운하다.) ... 103
無題(무제) ... 104
次羅州東軒韻 (四首)(나주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104
別懷儀吉(의길을 작별하며 그리워하다.) ... 105
次同福東軒韻(동복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106
次挾仙樓韻 (四首)(협선루의 시운에 차운하다.) ... 106
重到淳昌春日有感次韻 (三首)(다시 순창에 이르러 봄철 감회가 있으므로 차운하다.) ... 107
述憫(답답한 회포를 쓰다.) ... 108
5. 七言四韻
綾城樓上次訥齋先生韻有感(능성의 누대 위에서 눌재 선생의 시운에 차운하여 감회를 쓰다.) ... 109
題羅州魯家別庄(나주 노가의 별장에 쓰다.) ... 109
重到靈巖次前韻(다시 영암에 이르러 앞의 시운으로 차운하다.) ... 110
端陽日靈光郡次板上韻(단야일 영광궁에서 현판에 잇는 시운에 차운하다.) ... 111
次潭陽東軒韻 (二首)(담양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111
谷城客舍奉次訥齋先生韻(곡성의 객사에서 눌재선생의 시운을 받들어 차운하다.) ... 112
함담亭次尹左台韻有懷崔孤雲 (三首)(함담정에서 윤좌태의 시운에 차운하여 최고운을 그리워 하다.) ... 113
重到安東府用前韻 (二首)(안동부에 다시 이르러 앞의 운으로 짓다.) ... 114
秋夕途中有感(도중에서 추석을 만나 감회를 쓰다.) ... 115
仲秋十五夜廣寒樓不見月(중추 십오야에 광한루에서 달을 보지 못하다.) ... 116
廣寒樓用前韻 (二首)(광한루에서 앞의 시운으로 짓다.) ... 117
秋思 (二首)(가을 생각) ... 118
次擁翠堂韻 (二首)(옹취당의 시운에 차운하다.) ... 119
又用擁翠堂韻(또다시 옹취당의 운으로 짓다.) ... 120
登廣寒樓用前韻. (광한루에 올라 앞의 운으로 짓다.) ... 121
次連珠亭韻 (三首)(연주정의 시운에 차운하다.) ... 121
淸溪精舍次朴相公諸先生韻 (四首)(청계정사에서 박상공등 여러 선생의 시운에 차운하다.) ... 123
楊季平暎霞亭次苔사先生韻 (四首)(양계평의 영하정에서 태사선생의 시운으로 짓다.) ... 125
次南平東軒韻 (二首)(남평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127
羅州魯家庄次前韻(나주의 노가장에서 앞의 시운으로 짓다.) ... 128
又用淸溪洞韻(다시 청계동의 시운으로 짓다.) ... 128
耕隱堂次諸賢韻 (四首)(경은당에서 제현의 시운에 차운하다.) ... 129
次叔綬壁上韻 (二首)(숙수의 벽상에 있는 시운에 차운하다.) ... 131
贈別金灐歸覲靈光 (二首)(영광으로 근친하러 돌아가는 김형에게 주어 작별하다.) ... 132
次叔綏先生見寄 (四首)(숙수선생이 보여준 시에 차운하다.) ... 133
途中早春遇雪(이른 봄 도중에서 눈을 만나다.) ... 134
卽事(즉사) ... 135
馬上偶吟(마상에서 우연히 읊다.) ... 136
銅雀橋上(동작교 위에서) ... 136
歲己亥夏在嶺南次安景容見寄 (三首)(기해년 여름 영남에 있으면서 안경용이 부쳐준 시에 차운하다.) ... 137
次仁瑞年兄韻(인서 연형의 시운에 차운하다.) ... 139
留金泉驛新秋詠懷 (二首)(금천역에 머물며 초가을 회포를 읊다.) ... 139
尙州感懷 (二首)(상주에서 감회를 쓰다.) ... 140
咸昌大駕村示以健年兄(함창의 대가촌에서 이건 연형에게 보여주다.) ... 141
次元夫令公韻望伽倻山憶崔學士 (四首)(원부영공의 시운에 차운하여 가야산을 바라보며 최학사를 생각하다.) ... 142
病滯無量村寓懷(병으로 무량촌에 머물면서 회포를 쓰다.) ... 144
重到彼好里有感(다시 피호리에 이르러 감회를 쓰다.) ... 145
義州次鄭接伴令公韻(의주에서 정접반 영공의 시운에 차운하다.) ... 145
夷齊廟 (二首)(백이와 숙제의 사당) ... 146
次全州快心亭韻(전주 쾌심정의 시운에 차운하다.) ... 147
興德培風軒次韻 (三首)(흥덕의 배풍헌에서 차운하다.) ... 148
靈巖徘徊樓次韻憶沈元擇 (二首)(영암의 배회루에서 차운하여 심원택을 그리워 하다.) ... 149
次南原廣寒樓韻 (三首)(남원 광한루의 시운에 차운하다.) ... 150
次光陽東軒韻 (三首)(광양 동헌의 시운에 차운하다.) ... 152
長水客舍次韻 (二首)(장수의 객사에서 차운하다.) ... 154
谷城板上次李判書韻(곡성의 현판에 있는 리판서의 시운에 차운하다.) ... 154
又用培風軒韻(또 다시 배풍헌의 시운으로 짓다.) ... 155
次順天東軒板上韻 (三首)(순천의 동헌에 있는 현판의 시운에 차운하다.) ... 156
次萬頃聚遠亭韻 (二首)(만경 취원정의 시운에 차운하다.) ... 157
泰仁縣養眞堂次韻 (二首)(태인현의 양진당에서 차운하다.) ... 158
培風軒用前韻 (二首)(배풍헌에서의 앞의 시운으로 짓다.) ... 159
聽天飛峰精舍次韻(청천의 비봉정사에서 차운하다.) ... 160
麻浦次安景容容菴韻(마포에서 안경용의 용암 운에 차운하다.) ... 160
大行王妃挽章 (二首)(대행왕비의 만장) ... 161
戊午臘月夢詠九重春色滿毫端之句續成一律以識登第之事(무오년 섣달 꿈에 '구중궁궐의 봄빛 붓끝에 가득하다'는 시구(詩句)를 읊고는 율시(律詩) 한수를 이어 지어서 과거에 급제한 일을 기록하다.) ... 163
己未夏僑寓靑坡金洗馬永男蝸舍不堪旱熱侵逼又爲風雨所困吟以遣懷(기미년 여름 청파에 있는 김세마 영남의 작은 집에 우거하였는데 가뭄의 더위를 견딜 수 없고 또 비바람에 시달렸으므로 시를 읊어 회포를 쓰다.) ... 163
又次金城所示和陵放翁韻(금성이 보여준 육방옹에 화답한 시운에 또다시 차운하다.) ... 164
和李淸風謫中見寄 (二首)(이청풍이 유배 중에 보내온 시에 화답하다.) ... 165
挽沈一松相公 名 喜壽(일송 심 희수 상공의 만사) ... 166
呈甲계諸兄(갑계의 여러 형들에게 올리다.) ... 166
挽任疏庵叔英(소암 임숙영에 대한 만사.) ... 167
挽呂右尹(여우윤에 대한 만사.) ... 168
挽海川君崔有源(해천군 최유원에 대한 만사.) ... 168
6. 七言古詩
泰仁縣遇七夕(태인현에서 칠석을 만나다.) ... 169
夷齊廟(백이 숙제의 사당에서) ... 170
夜雨次壁間韻(비내리는 밤 벽 사이의 시운에 차운하다.) ... 173
江之水 (八章)(강물을 읊다.) ... 173
계州途中 (二首)(계주의 도중에서) ... 177
敬次烏川先生六言韻 (五首)(오천선생의 육언시 운에 공경히 차운하다.) ... 178
7. 七言長律
甲계次文潞公韻(갑계에서 문로공의 시운에 차운하다.) ... 180
丁巳春復次前韻(정사년 봄에 다시 앞의 운으로 짓다.) ... 181
說
1. 人說 ... 183
箴
1. 拙齋箴(졸재잠) ... 187
2. 續心箴(속심잠) ... 190
銘
1. 秋泉自訟銘(추천자송명) ... 195
2. 座右銘 (四首)(좌우명) ... 201
3. 戶유銘(문에 대한 명) ... 203
4. 紫硯銘(벼루에 대한 명) ... 206
5. 鏡銘 (二首)(거울에 대한 명) ... 209
6. 琴銘 (二首)(거문고에 대한 명) ... 210
7. 屛風銘(병풍에 대한 명) ... 211
8. 枕銘(베개에 대한 명) ... 212
9. 竹鞭銘(대 채찍에 대한 명) ... 213
10. 藜杖銘(청려장에 대한 명) ... 213
11. 牙笏銘(상아홀에 대한 명) ... 214
12. 窓銘(창에 대한 명) ... 215
贊
畵像贊(화상찬) ... 216
祭文
立先府君贊成公墓碑時祭文 : 公爲松都留守時(선부군 찬성공의 묘비를 세울 때의 제문) ... 217
疏
1. 司諫時八條疏(사간으로 있을 때 올린 8개 조항의 상소) ... 219
2. 斥和疏(화의를 배척할 것을 청한 소) ... 234
附錄
1. 貞簡公 秋泉李公 神道碑銘 : 幷序 / 金尙憲[淸陰 安東 撰] ... 243
2. 追書 : 通訓大夫行義禁府都事 曾孫 梡 ... 257
3. 贈諡 貞簡公 秋泉李公 行狀 : 新豊君 張維 謹狀 ... 261
4. 傳記
海東名臣錄 ... 274
國朝人物志 ... 279
廉史古事附淸白吏錄 ... 281
5. 贈詩
李知事時彦相公以有司設耆老宴于掌樂院 有賜樂送酒之典甚盛事也以詩贊之凡疊三韻 / 靑陸 金德謙 ... 284
李知事次韻 (三首) / 靑陸 金德謙 ... 286
朴貳相夫人挽詞爲李知事作(박이상 부인의 만사 이지사를 위하여 짓다.) ... 287
送李判書秋泉公以謝恩奏請朝天 / 淸陰 金尙憲 ... 288
送謝恩使李判書君美如京 / 悟陰 尹斗壽 ... 289
送謝恩使李知事時彦赴京 / 漢陰 李德馨 ... 290
奉贈李知事以奏請冬至等使赴京 / 淸陰 金尙憲 ... 291
6. 挽
哭秋泉李貳相直彦 / 淸陰 金尙憲 ... 292
挽判敦寧李君美 / 月沙 李廷龜 ... 292
挽李贊成 直彦 / 象村 申欽 ... 293
李贊成直彦挽詞 / 靑陸 金德謙 ... 294
7. 祭文
祭判敦寧李公直彦文 / 靑陸 金德謙 ... 296
祭李貳相直彦文 / 天墨齋 李尙馨 ... 298
跋秋泉遺文 / 南溪 朴世采 ... 302
後識 / 震華[孫 德山縣監] ... 304
編輯後記 / 李秀澤 ... 30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