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 ... 3
序論 ... 13
제1장 西勢의 충격과 東亞三國의 대응 ... 27
1. 中國의 경우 ... 28
1) 아편전쟁과 근대적 개혁운동 ... 28
2) 反帝國主義 투쟁과 義和團運動 ... 34
3) 辛亥革命과 5·4운동 ... 39
2. 日本의 경우 ... 43
1) 斥洋派와 開國派의 대립 ... 43
2) 明治維新과 근대화 ... 47
3) 軍國主義와 침략전쟁 ... 50
3. 韓國의 경우 ... 55
1) 洋優와 衛正斥邪論의 확산 ... 55
2) 江華島條約과 開化派의 등장 ... 61
3) 東學의 대두와 甲午農民蜂起 ... 65
4) 義兵抗爭과 自强運動 ... 68
제2장 衛政斥邪派의 哲學思想과 歷史意識 ... 77
1. 위정척사파의 理念的 定向 ... 77
1) 道學思想의 계승 ... 77
2) 人倫的 普遍性의 추구 ... 83
3) 守舊綱常論과 權變에 대한 이해 ... 88
4) 主理的 哲學思想의 이념적 특색 ... 96
2. 위정척사파의 歷史意識 ... 101
1) 道의 屈伸으로서의 歷史 ... 101
2) 道德的 歷史意識과 抑陰扶陽의 논리 ... 104
3. 春秋 大一統思想의 이념과 특성 ... 108
1) 이념: 人倫的 普遍秩序의 구현 ... 108
2) 방법론적 본질: 名分論的 位階秩序와 調和 ... 115
3) 선천적 근거: 天地의 秩序와 人間의 道德的 本性 ... 121
4) 실천적 동기: 禮讓 ... 124
제3장 爲政斥邪派의 民族主體意識과 反侵略論 ... 129
1. 民族主體性의 논리와 그 특성 ... 129
1) 自主와 尊周事大 ... 129
2) 人倫的 正統意識과 民族自尊意識의 高揚 ... 139
3) 民族 正體性과 倫常正道의 守護 ... 144
4) 國權의 守護와 平和的 世界秩序의 실현 ... 148
2. 帝國主義 列强의 侵略에 대한 대응방법론 ... 156
1) 修德自强의 內修論과 一致團結의 外攘論 ... 156
2) 東洋平和論의 비판적 수용과 萬國公法에의 호소 ... 164
3) 民族文化의 宣揚과 非妥協的 武力抗爭 ... 173
제4장 開化派의 理念的 特性과 社會思想 ... 179
1. 개화파의 理念的 定向 ... 179
1) 實學思想의 계승 ... 179
2) 個體重視의 논리 ... 185
3) 功利主義와 狀況의 논리 ... 192
2. 개화파의 歷史認識 ... 200
1) 발전론적 역사인식과 尙古主義의 부정 ... 200
2) 社會進化論의 수용과 實力의 추구 ... 204
3. 自由主義的 社會思想의 이념과 특성 ... 209
1) 이념: 自由放任을 통한 文明의 진보 ... 209
2) 방법론적 본질: 自由競爭과 勢力均衡 ... 214
3) 선천적 근거: 個體의 天賦的權利 ... 219
4) 실천적 동기: 利己的 競爭心 ... 224
제5장 開化派의 近代化論과 自主獨立論 ... 229
1. 近代性의 추구와 開放·改革의 논리 ... 229
1) 近代性의 追求 ... 229
2) 開放과 近代的 改革의 논리 ... 235
2. 自主獨立의 具現方法論 ... 241
1) 平等한 主權國家觀의 확립과 自主獨立論 ... 241
2) 優勝劣敗의 現實認識과 富國强兵論 ... 248
3) 東洋三國共榮論의 수용과 朝鮮中立化論 ... 255
4) 民族改造論과 獨立準備論 ... 263
제6장 批判的 論議 ... 271
1. 自主·自强論에 대한 批評 ... 271
1) 위정척사파의 自主 自强論에 대한 批評 ... 271
2) 개화파의 開化自强論에 대한 批評 ... 278
3) '先後本末論'과 '開化의 大道' ... 283
2. 社會思想에 대한 省察과 摸索 ... 290
1) 自由主義的 社會思想의 再照明 ... 291
2) 春秋 大一統思想의 再認識 ... 301
3) 自由主義와 大一統思想에 대한 理念的 統合의 摸索 ... 309
3. 歷史的 再評價 ... 322
1) 위정척사사상과 개화사상에 대한 再評價 ... 322
2) 意義와 展望 ... 329
結論 ... 339
(補論)近代 韓國思想에 잇어서의 民族的 主體性과 世界的 普遍性의 問題 ... 349
1. 序論 ... 349
2. 韓末의 경우 ... 353
1) 衛正斥邪派의 中華的 普遍主義와 그 逆轉 ... 353
2) 開化派의 民族主體意識과 그 逆轉 ... 359
3) 東學에 있어서의 民族主體性論의 특성 ... 367
3. 日帝下의 경우 ... 373
1) 實力養成 노선 ... 373
2) 프롤레타리아 國際主義 노선 ... 379
3) 民族主義 노선 ... 384
4. 批判的 論議 ... 396
1) 민족적 주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의 상호매개이론 ... 397
2) 비판적 논의 ... 405
5. 結論 ... 410
參考文獻 ... 413
後記 ... 42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