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청년기 이해를 위한 기초 ... 15 1. 청년기와 관련된 문제 ... 18 1) 왜 청년기를 연구하는가 ... 18 2) 독립된 발달 단계로서 청년기의 확립 ... 19 3) 청년기의 정의 ... 20 생리학적 정의 ... 20 인지적 정의 ... 21 사회학적 정의 ... 21 연령에 따른 정의 ... 22 짐링의 정의 ... 22 4) 청년기의 발달과업 ... 24 2. 청년기 연구의 문제점과 특징적 현상 ... 25 1) 청년기 연구의 문제점 ... 25 부정적 고정관념 ... 25 비교문화적 조망의 결여 ... 26 연구대상자의 문제 ... 28 2) 청년기 연구의 특징적 현상 ... 28 실험연구의 부족 ... 28 사례연구의 필요성 ... 29 3) 청년 연구의 윤리적 문제 ... 30 3. 청년심리학의 연구 방법 ... 31 1) 양적 연구 방법 ... 32 연령·출생동시집단 및 측정 시기 ... 32 발달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양적 연구의 접근법 ... 33 2) 질적 연구 방법 ... 40 사례연구 ... 41 사례연구의 예 ... 41 제2장 청년기를 설명하는 이론 ... 45 1. 생물사회적 조망 ... 48 1) 스텐리 홀 ... 48 2) 로저 바커 ... 49 2. 정신분석적 조망 ... 50 1) 지그문트 프로이트 ... 50 프로이트의 성격 구조와 발달 단계 ... 50 청년기에 관한 프로이트의 설명 ... 51 2) 안나 프로이트 ... 53 3. 심리사회적 조망 ... 55 1)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차이점 ... 55 2) 정체감 대 역할혼란의 시기로서 청년기 ... 57 4. 사회인지적 조망 ... 58 1) 알버트 반두라 ... 59 2) 로버트 셀만 ... 60 5. 사회문화적 조망 ... 63 1) 마가렛 미드 ... 63 2) 루스 베네딕트 ... 64 3) 킹스리 데이비스 ... 65 6. 대인관계적 조망 ... 66 1) 헤리 스택 설리반 ... 67 2) 조지 레빙거 ... 70 7. 맥락적 조망 ... 71 1) 쿠르트 레빈 ... 72 연령에 따른 생활공간의 변화 ... 72 청소년들의 주변인적 지위 ... 75 2) 브론펜브레너 ... 77 미세체계 ... 78 중간체계 ... 79 외부체계 ... 79 거대체계 ... 80 3) 리차드 러너 ... 80 맥락 ... 81 역동적 상호작용주의 ... 82 적합도 모델 ... 83 제3장 특징적 신체 변화 ... 87 1. 청년기의 신체 변화 ... 89 1) 신장과 체중의 변화 ... 90 2) 신체 다른 부위의 변화 ... 94 3) 운동 능력의 발달 ... 95 4) 성장의 가속화 현상 ... 97 신장과 체중의 증가 ... 97 초경 연령의 저하 ... 97 2. 청년기의 성적 변화 ... 101 1) 사춘기의 호르몬 변화 ... 102 2) 남성의 성적 성숙 ... 104 3) 여성의 성적 성숙 ... 105 3. 신체 성장의 영향 ... 107 1) 일반적 건강 상태 ... 107 2) 외모와 체중이상 ... 108 외모 ... 108 체중이상 ... 109 3) 신체 변화에 기인된 심리적 변화 ... 113 4) 호르몬과 심리적 상태 ... 114 5) 조숙과 만숙 ... 116 (1) 조숙아 ... 116 (2) 만숙아 ... 117 제4장 지적·인지적 변화 ... 121 1. 지능의 정의 ... 123 1) 지능과 인지 ... 123 2) 지능에 대한 유전과 환경의 의미 ... 124 2. 지적 발달의 심리측정적 조망 ... 125 1) 지능의 측정 ... 126 지능검사 ... 126 지능지수의 계산 ... 127 2) 중다지능 ... 129 언어적 지능 ... 129 음악적 지능 ... 130 수학적 - 논리적 지능 ... 130 시각적 - 공간적 지능 ... 130 신체운동지능 ... 130 개인적 지능 ... 131 3) 지능의 발달적 패턴 ... 132 4) 청년기의 지능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34 3. 지적 발달의 인지발달적 조망 ... 135 1) 인지 발달을 위한 필수 요소 ... 136 2) 형식적 조작능력의 출현 ... 137 3) 형식적 조작능력의 영향 ... 139 긍정적 영향 ... 140 부정적 영향 ... 141 4) 청년기 자아중심성의 특징적 현상 ... 141 상상의 청중 ... 143 개인적 우화 ... 143 이상주의적 경향 ... 144 5) 형식적 조작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 145 형식적 조작능력의 획득 연령 ... 145 형식적 조작능력과 IQ 및 환경적 조건과의관계 ... 146 4. 지능과 정보처리 ... 147 1) 스턴버그의 구성요소 ... 147 2) 청년기 동안 정보처리 능력에서의 변화 ... 148 3) 청년기의 의사결정 능력 ... 150 5. 사회적 맥락에서의 인지의 역할 ... 151 1) 사회인지 능력에서의 변화 ... 151 인상 형성 ... 152 사회적 조망수용 능력 ... 153 2) 청년기의 위험감행 행동 ... 154 제5장 성격, 정서 및 대처양식의 변화 ... 157 1. 청년기의 성격 특성 ... 159 1) 성격의 정의 ... 159 2) 자아로서의 성격 ... 160 레빙거의 자아발달 단계 ... 160 청년기 자아 발달에 관한 연구 결과 ... 164 3) 청년기 동안의 성격 변화 ... 165 청년기 성격 변화의 전제 조건 ... 167 청년기의 대표적 방어기제 ... 168 4) 자기개념과 자기존중감 ... 170 자기개념 ... 170 자기존중감 ... 171 오퍼의 자기상 질문지 ... 173 자기개념과 자기존중감 발달의 연령차와 성차 ... 173 자기개념과 자기존중감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76 자기존중감의 예언 효과 ... 179 2. 정서 변화 ... 180 1) 청년기 정서 변화의 원인 ... 180 2) 청년기의 대표적 정서 ... 182 긍정적 정서 ... 182 부정적 정서 ... 183 3. 대처 양식의 변화 ... 186 1)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사건 ... 186 한국, 중국 및 일본 청소년들의 고민과 걱정거리 ... 186 미국 청소년들의 고민과 걱정거리 ... 188 2) 무스의 대처 모델 ... 188 제6장 정체감 형성과 직업선택 과정 ... 193 1. 정체감이란 무엇인가 ... 195 1) 에릭슨의 8단계와 정체감 위기 ... 197 2) 청년기의 특성과 정체감 확립 ... 199 3) 정체감 확립에 미치는 문화적 영향 ... 200 2. 정체감 상태 ... 202 1) 네 가지의 정체감 상태 ... 202 2) 발달 단계로서의 정체감 상태 ... 204 3) 조셀슨의 종단연구 ... 206 4) 정체감 발달과 관련된 요인 ... 208 3. 정체감 형성과 성역할 ... 210 1)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 ... 210 2) 정체감 발달의 성차 ... 211 남성의 정체감 발달 ... 212 여성의 정체감 발달 ... 214 성공 공포 ... 216 4. 직업선택 과정과 준비 ... 218 1) 직업선택의 발달적 특성 ... 218 직업선택 과정 ... 218 직업선택과 개인의 성격 특성 ... 219 직업선택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화 영향 ... 220 2) 진로 교육 ... 222 진로 교육의 정의 ... 223 진로 교육의 역사 ... 223 진로 교육의 내용 ... 225 3) 최근의 직업선택 경향 ... 227 제7장 가치관 확립 : 도덕성 발달과 종교적 및 정치적 가치관의 발달 ... 231 1. 가치관이란 무엇인가 ... 233 2. 도덕성의 발달 ... 235 1) 양심의 발달 ... 236 2) 도덕적 판단의 발달 ... 237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 238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 239 길리건의 연구 ... 245 워크의 종단연구 ... 248 3) 도덕성 발달에 관한 사회학습 이론 ... 249 3.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51 1) 부모의 영향 ... 251 훈육 기법 ... 251 훈육의 일관성 ... 253 2) 동년배의 영향 ... 254 3) 매스컴의 영향 ... 255 부정적 기능 ... 256 긍정적 기능 ... 257 4) 학교의 영향 ... 257 4. 종교적 및 정치적 가치관의 발달 ... 258 1) 종교적 가치관의 발달 ... 258 정체감 상태와 종교적 가치관 ... 258 파우러의 종교적 신념 발달 단계 ... 259 청년기의 종교적 가치관 ... 260 2) 정치적 가치관의 발달 ... 262 청년초기의 발달 ... 262 청년중기 및 후기의 발달 ... 263 정치적 사고의 발달에 관한 아델슨의 연구 ... 264 제8장 청년기의 맥락Ⅰ : 가족관계의 변화 ... 267 1. 청년기와 가족생활주기 ... 269 1) 가족생화주기 모델 ... 270 2) 가족생활주기와 부부의 만족 ... 271 2. 가족의 기능 ... 272 1) 가족체계 조망 ... 273 2) 가족 기능에서의 변화 ... 275 3) 가족관계 지도 : 지노그램 ... 277 3. 부모 - 청소년의 상호작용 ... 280 1) 청년기 자녀를 둔 부모 ... 281 2) 부모로부터의 분리 ... 282 3) 청소년 - 부모의 갈등 ... 284 갈등의 양상 ... 284 갈등의 원인 ... 287 세대차이는 존재하는가 ... 288 4. 부모의 훈육 방식과 청소년의 행동 ... 290 1) 바움린드의 부모훈육 양식과 청소년의 특성 ... 290 2) 마코비와 마틴의 부모훈육 양식과 청소년의 특성 ... 291 3) 청년기의 정체감 형성과 부모의 훈육 방식 ... 294 5. 청년기 동안의 형제자매 관계 ... 295 1) 형제자매들은 얼마나 유사한가 ... 295 2) 형제자매 관계의 질적 특성 ... 296 제9장 청년기의 맥락Ⅱ : 동년배 관계, 학교 및 전자매체의 영향 ... 299 1. 동년배 관계 ... 301 1) 애착 대상의 변화 ... 302 부모에서 동년배로 ... 302 동성에서 이성으로 ... 303 2) 동년배 집단의 특성 ... 305 동년배 집단의 기능 ... 306 동조성 ... 307 동년배 집단의 수용과 거부 ... 310 3) 우정과 애정 ... 310 사회적 침투 이론 ... 311 자기노출 ... 311 우정 형성의 발달적 경향 ... 312 데이트의 의미 ... 314 2. 학교의 영향 ... 315 1) 학교의 기능 ... 316 2) 학업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 318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 ... 318 부모의 특성 ... 318 동년배 집단 ... 319 성차 ... 320 지능 ... 320 3) 학교와 관련된 문제 ... 321 학교공포증 ... 321 시험불안 ... 322 학습부진 ... 322 3. 전자매체의 영향 ... 323 1) 전자오락 ... 324 전자오락의 활용 실태 ... 324 전자오락이 청소년들에게 주는 영향 ... 325 2) 삐삐(무선호출기) ... 327 3) 사이버 공간 ... 329 제10장 청년기의 성행동과 문제 ... 331 1. 성적 발달 ... 333 1) 성적 감정의 기원 ... 333 2) 성역할 정체감과 성적 선호 ... 334 3) 성욕의 성차 ... 335 2.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변화 ... 336 1) 성의 개방화 추세 ... 336 2) 성에 기인된 청소년과 부모의 갈등 ... 339 3) 이중 기준의 변화 ... 340 3. 청년기의 성행동 ... 341 1) 자위행위 ... 341 2) 혼전성교 ... 344 3) 동성애 ... 348 4. 청년기의 성행동과 관련된 문제 ... 350 1) 10대의 임신 ... 350 2) 혼전임신의 해결과 아기 양육 문제 ... 352 3) 성병 ... 354 임질 ... 355 매독 ... 355 음부 헤르페스 ... 356 에이즈 ... 356 4)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 358 성교육의 필요성 ... 358 성에 관한 정보를 얻는 곳 ... 358 성교육 실시시기와 성교육의 내용 ... 360 제11장 비행과 폭력 ... 363 1. 청소년 비행 실태 ... 365 1) 비행의 정의 ... 365 2) 청소년 범죄 행동의 유형별 발생률 ... 366 3) 비행과 관련된 변인 ... 368 연령 ... 368 성별 ... 370 사회경제적 수준 ... 370 2. 청소년의 폭력 행동 ... 372 1) 신체적 폭력 ... 372 2) 성폭력 ... 374 피해자로서의 청소년 ... 375 가해자로서의 청소년 ... 376 3) 폭력을 조장하는 상황 ... 377 가족 내에서의 폭력 ... 377 대중매체에서의 폭력 ... 378 입시 위주의 교육 ... 378 알코올과 다른 약물의 사용 ... 380 4) 폭력의 영향 ... 380 3. 비행과 관련된 문제 ... 382 1) 비행의 원인 ... 382 생물학적 이론 ... 382 심리학적 이론 ... 383 사회학적 이론 ... 385 2) 비행 청소년의 특성 ... 387 심리적 특성 ... 387 부모 - 청소년 관계 ... 387 동년배 관계 ... 388 3) 비행 청소년의 선도 ... 388 한국에서 활용되는 제도 ... 389 미국에서 활용되는 프로그램 ... 391 제12장 약물사용 문제와 심리적 부적응 ... 393 1. 청년기의 약물사용 문제 ... 395 1) 용어의 정의 ... 396 2) 한국 청소년의 약물사용 실태 ... 396 3) 남용되는 약물 ... 398 담배 ... 398 알코올 ... 399 본드와 가스 ... 401 약 ... 403 대마 ... 404 메스암페타민 ... 405 4) 약물남용과 관련된 요인 ... 406 가족 요인 ... 406 사회적, 심리적 요인 ... 407 5) 약물남용의 예방과 처치 ... 407 청소년 약물남용의 예방 ... 407 청소년 약물남용의 처치 ... 409 2. 청년기의 심리적 장애 ... 410 1) 심리적 장애를 진단하는 기준 ... 410 2) 청년기 동안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 유형 ... 413 3) 구체적 장애 ... 415 불안장애 ... 415 우울장애 ... 416 정신분열증 ... 418 자살 ... 421 참고문헌 ... 425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