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부 아동·가족
제1장 애착 증진 ... 5
Ⅰ. 개념적 정의 ... 5
Ⅱ. 이론적 기틀 ... 6
1. 애착개념의 특성 ... 6
2. 애착행동 ... 7
3. 애착으로 잘못 해석된 용어들의 정의 ... 8
4. 왜 애착을 조직적 관점으로 보는가? ... 9
Ⅲ. 사정 ... 11
1 돌봄제공자의 행위 ... 11
2. 영아행동과 상호작용의 호혜성 ... 12
3. 기질 ... 13
Ⅳ. 중재 ... 14
1. 돌봄제공자의 민감성 ... 15
2. 중재수정요인 ... 18
Ⅴ. 평가 ... 19
Ⅵ. 미래의 연구방향 ... 19
제2장 부성역할 촉진 ... 24
Ⅰ. 개념적 정의 ... 25
Ⅱ. 이론적 기틀 ... 26
1. 10대 아버지 ... 27
2. 부모-영아 애착 ... 28
3. 영아기 이후의 아버지역할 ... 30
4. 환아 아버지의 역할 ... 31
Ⅲ. 사정 ... 33
Ⅳ. 중재 ... 34
Ⅴ. 평가 ... 35
Ⅵ. 미래의 연구방향 ... 36
제3장 형제지지 ... 40
Ⅰ. 개념적 정의 ... 40
Ⅱ. 이론적 기틀 ... 41
1. Status Marker로서의 형제 ... 41
2. 설명 변수로서의 형제 ... 41
3. 형제의 역할 ... 42
Ⅲ. 사정 ... 42
Ⅳ. 중재 ... 45
1. 형제를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법 ... 45
2. 정보 나눔과 의사소통 ... 46
3. 직접 형제를 돕는 법 ... 47
4. 형제 지지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 ... 48
Ⅴ. 평가 ... 50
Ⅵ. 미래의 연구방향 ... 50
제4장 가족통합성지지 ... 53
Ⅰ. 개념적 정의 ... 53
Ⅱ. 이론적 기틀 ... 54
Ⅲ. 사정 ... 58
Ⅳ. 중재 ... 59
1. 현존 자원에 대한 탐구 ... 59
2. 정보제공 ... 60
3. 역할 유지 ... 61
4. 중재 결과와 관련된 변수 ... 62
Ⅴ. 평가 ... 64
Ⅵ. 미래의 연구방향 ... 64
제5장 사전건강지도 ... 67
Ⅰ. 개념적 정의 ... 67
Ⅱ. 이론적 기틀 ... 68
Ⅲ. 사정 ... 69
Ⅳ. 중재 ... 70
1. 개별적인 사전건강지도 ... 71
2. 집단 사전건강지도 ... 72
3. 매체를 통한 사전건강지도 ... 73
4. 사전건강지도 : 문제해결 과정 ... 74
Ⅴ. 평가 ... 75
Ⅵ. 미래의 연구방향 ... 77
제2부 심리·사회적 중재
제6장 대처기능 증진 ... 85
Ⅰ. 개념적 정의 ... 85
Ⅱ. 이론적 기틀 ... 87
1. 스트레스의 개념적 정의 ... 87
2. Selye의 일반적응증후군 ... 88
3. 스트레스와 대처 ... 89
4. 아동간호를 위한 스트레스 대처이론 ... 89
5. 아동의 대처행동 ... 91
6. 중재로서의 준비 ... 93
7. 준비로서의 정보 ... 93
8. 준비로서 대처기술의 향상 ... 95
9. 준비로서의 정서적 지지 ... 95
10. 스트레스 발생시점의 준비 ... 96
Ⅲ. 사정 ... 97
Ⅳ. 중재 ... 98
1. 중재내용 ... 99
2. 중재방법 ... 100
3. 준비전략에 영향을 주는 변수 ... 102
Ⅴ. 평가 ... 106
Ⅵ. 미래의 연구방향 ... 106
제7장 치료적 놀이 ... 111
Ⅰ. 개념적 정의 ... 111
Ⅱ. 이론적 기틀 ... 112
1. 놀이의 분류 ... 112
2. 치료적 놀이형식 ... 113
3. 치료적 놀이범주 ... 113
Ⅲ. 사정 ... 114
Ⅳ. 중재 ... 115
1. 치료적 놀이를 위한 준비 ... 115
2. 치료적 환경의 설정 ... 116
3. 치료적 놀이의 단계 ... 117
4. 입원한 아동의 치료적 놀이 ... 117
Ⅴ. 평가 ... 117
Ⅵ. 미래의 연구방향 ... 118
제8장 유머중재 ... 120
Ⅰ. 개념적 정의 ... 120
Ⅱ. 이론적 기틀 ... 121
1. 관계성립 ... 122
2. 불안과 긴장의 완화 ... 122
3. 적대감과 공격성의 표출 ... 122
4. 고통스러운 감정의 방어 ... 122
5. 학습의 촉진 ... 122
Ⅲ. 중재 ... 123
Ⅳ. 미래의 연구방향 ... 125
제9장 미술치료 ... 127
Ⅰ. 이론적 기틀 ... 127
1. 아동 그림의 발달단계 ... 128
2. 사람 모습 그림(Human Figure Drawing : HFD) ... 129
Ⅱ. 사정 ... 131
1. 크기 ... 132
2. 강조와 과장 ... 132
3. 누락 ... 132
Ⅲ. 중재 ... 133
1. 그림을 위한 단계 설정 ... 133
2. 발달단계의 사정 ... 134
3. 사람 그림과 가족 그림 ... 134
4.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아동의 그림 ... 136
Ⅳ. 평가 ... 137
Ⅴ. 미래의 연구방향 ... 137
제10장 사회적지지 ... 140
Ⅰ. 개념적 정의 ... 140
Ⅱ. 이론적 기틀 ... 141
1. 모형 ... 141
2. 가족의 사회적지지 과정의 선행 요인과 결과 ... 142
3. 아동의 특성 ... 142
4. 가족 특성 ... 145
5. 상호작용적 요소 ... 145
6. 사회적 환경 ... 145
Ⅲ. 사정 ... 147
Ⅳ. 중재 ... 148
1. 사회적 망의 확인 ... 148
2. 중재방법의 중요성 ... 149
3. 돌봄에 있어서 가족참여 ... 149
4. 부모에게 적용한 지지중재 프로그램 ... 150
5. 아동에게 적용한지지 ... 154
6. 또래와 성인 ... 154
7. 형제의 지지 ... 155
8. 아동기 동안 지지의 완충효과 ... 155
Ⅴ. 평가 ... 156
Ⅵ. 미래의 연구방향 ... 156
제11장 가정간호 ... 160
Ⅰ. 개념적 정의 ... 160
Ⅱ. 이론적 기틀 ... 161
Ⅲ. 사정 ... 163
1. 대상자요인 ... 164
2. 가족요인 ... 164
3. 지역사회요인 ... 164
4. 발달단계별 사정 ... 165
5. 가정환경 안전 사정 ... 166
Ⅳ. 중재 ... 166
1. 병원과 가정간호와의 연계 ... 167
2. 가족자원의 이용 ... 168
3. 빠른 신체적 변화에의 대처 ... 169
4. 장기적인 문제 ... 169
5. 죽어가는 아동에 대한 간호 ... 169
6. 종결계획 ... 170
7. 재입원 ... 170
8. 의사소통 ... 171
Ⅴ. 평가 ... 171
Ⅵ. 미래의 연구방향 ... 172
제3부 환경·생물학적 중재
제12장 감각자극 ... 178
Ⅰ. 개념적 정의 ... 178
Ⅱ. 이론적 기틀 ... 179
1. 감각환경과 관련된 발달 ... 180
2. 질병경험과 감각환경과의 관계 ... 181
3. 급성기 간호의 물리적 환경 ... 181
Ⅲ. 사정 ... 184
Ⅳ. 중재 ... 185
1. 청각자극(auditory strategies) ... 186
2. 시각자극(visual strategies) ... 187
3. 후각자극(olfactory strategies) ... 188
4. 온도자극(thermal strategies) ... 188
5. 자극 패턴의 다양성(pattern variation) ... 189
6. 근접성(contingency) ... 189
Ⅴ. 평가 ... 194
Ⅵ. 미래의 연구방향 ... 194
제13장 수면 증진 ... 199
Ⅰ. 개념적 정의 ... 199
Ⅱ. 이론적 기틀 ... 200
Ⅲ. 가정 ... 203
1. 문제 확인 ... 203
2. 문제 분석 ... 206
Ⅳ. 중재 ... 207
1. 수면양상의 유지와 확립 ... 208
2. 수면 촉진 ... 208
3. 약물중재 ... 209
4. 행동중재전략 ... 210
5. 이완 ... 212
6. 퇴원계획 ... 212
Ⅴ. 평가 ... 213
Ⅵ. 미래의 연구방향 ... 214
제14장 통증관리 ... 216
Ⅰ. 개념적 정의 ... 216
Ⅱ. 이론적 기틀 ... 217
1. 통증이론 ... 217
2. 통증의 차원(pain dimensions) : 도구와 전략 ... 218
3. 통증에 관한 신념 ... 220
4. 통증측정에 관련된 문제 ... 221
Ⅲ. 사정 ... 222
Ⅳ. 중재 ... 223
1. 비약물요법 ... 224
2. 약물요법 ... 228
3. 중재변인(intervention modifiers) ... 228
Ⅴ. 평가 ... 232
Ⅵ. 미래의 연구방향 ... 233
맺음말 ... 237
찾아보기 ... 23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