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 ... 5 제1부 동양 철학, 서양 철학과 어떻게 다른가 ... 11 제1장. 자연을 바라보는 동·서양의 관점 ... 13 제2장. 역사로 본 중국 철학과 서양 철학 ... 24 1. 서양 근대 철학자들이 지닌 중국관의 문제 ... 25 2. 근대 동양 중국학자들의 문제점 ... 31 3. 문화사와 철학 방법 ... 36 4.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인식 체계 ... 38 5. 자연의 역사와 인간 심리 ... 43 6. 객관적 비판을 통한 역사 과학 ... 44 7. 성리학과 비판 철학 ... 47 제3장. 동양 철학의 과학화를 위하여 ... 52 1. 세계관과 방법론 ... 52 2. 철학 방법의 과학성과 혁명성의 통일 ... 55 3. 철학의 기본 유파 ... 59 4. 동양과 서양의 철학 방법 ... 62 제2부 동양 철학의 과학적 인식 ... 67 제4장. 현대 사회의 인식 이론과 성리학 ... 69 1. 도 개념의 변천과 봉건 국가 철학의 확립 ... 69 2. 자연 변증법으로서의 '도'와 실증주의 철학 ... 84 3. 고전 철학인 성리학과 실증주의 철학인 실학 사상 ... 91 4. 변증법적 사회 인식과 신채호의 혁명적 유학 사상 ... 94 5. 변증법과 '도'의 실천적 의미 ... 103 제5장. 불교 철학의 과학적 인식 ... 107 1. 역사의 발전과 철학 방법의 변화 ... 107 2. 과학의 발달 ... 111 3. 자연 사물에 대한 관심의 발전 ... 115 4. 원시 불교 철학 ... 124 제6장. 중국 철학에서 '수'의 문제 ... 136 1. 단계 질서로서의 수 ... 136 2. 기호 순환의 수 ... 140 3. 형식 논리가 아닌 변증 논리의 수 ... 149 4. 조직의 구성 ... 160 제7장. 중국의 망아적忘我的 초월 사상 ... 162 1. 도통의 철학 ... 162 2. 고대 중국의 무술 ... 163 3. 고전적 도가인『장자』에서의 무술적 요소 ... 167 4. 고대 도가의 침잠적 요소와 선불교와의 만남 ... 171 5. 신유가의 도가와 선불교 사상의 흡수 ... 173 6. 종합적 결론 ... 177 제3부 한국 철학의 새로운 인식 ... 181 제8장. 한국 철학의 과학적 연구 ... 183 1. 서경덕의 과학적 철학 사상 ... 183 2. 이황의 이일원론 철학 ... 192 3. 이이의 이기이원론 철학 ... 195 4. 실학 사상의 발전과 정약용의 철학 ... 205 5. 박은식과 자본주의 계몽 철학 ... 210 6. 신채호와 민족 혁명 사상 ... 215 제9장. 신채호의 신국민론 ... 219 1. 신채호의 민족주의 사상 ... 219 2. 메이지 유신 이후의 일본과 중국 사상 ... 231 3. 신채호와 신중국 사상 ... 235 4. 사회 진화론과 신채호 ... 240 5. 신국민 도덕과 국력의 관계 ... 248 제4부 동양 철학의 현대적 수용 ... 253 제10장. 현대 사회와 유교 ... 255 1. 사회적 변동과 전통 유교적 가치관의 문제 ... 255 2. 추상화된 유교 사상과 현실 문제 ... 256 3. 수동적 사유와 능동적 사유 ... 260 4. 현대 유교의 관점 ... 261 5. 사회를 바탕으로 한 유교 ... 264 제11장. 동양 가족 구조의 변형과 윤리 ... 267 1. 생활 양식과 윤리의 변화 ... 267 2. 산업 사회로의 이행에 따른 윤리관의 변화 ... 286 제12장. 사회주의 중국과 교육 철학 ... 291 1. 새로운 철학과 교육 혁명 ... 291 2. 1966년, 중국에서 '교육 혁명'이 필요한 이유 ... 294 3. 공자와 모택동의 교육 철학 ... 297 4. 교육 제도의 변화 ... 300 5. 교육 혁명의 본질 ... 304 6. 두 가지 노선 ... 308 7. 결론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