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第1章 幼兒敎育課程의 槪念
Ⅰ. 用語定義의 問題 ... 17
가. 다양한 用語定義 ... 17
나. 用語定義의 敎育的 含蓄性 ... 23
1. 용어정의가 시사하는 유아교육과정관 ... 23
2. 두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 ... 25
3. 시스템적인 유아교육과정관 ... 30
Ⅱ. 幼兒敎育課程의 編成 ... 31
가. 敎育課程 必要性 ... 31
나. 敎育課程의 統制와 編成 ... 32
Ⅲ. 現代敎師들의 敎育課程 硏究의 必要性 ... 34
第2章 幼兒敎育課程의 計劃化 節次
Ⅰ. 敎育課程의 시스템化 ... 40
가. 시스템의 槪念 ... 40
1. 시스템의 의의 ... 41
2. 시스템 접근법의 효용과 한계 ... 43
나. 敎育課程 計劃化의 意義 ... 44
다. 上級學校 敎育課程 計劃化에 관한 圖形모델 ... 46
1. 타바(Taba, H.)의 모델 ... 46
2. 로오턴(Lawton, D.)의 모델 ... 48
3. 자이스(Zaiss, R.S.)의 절충 모델 ... 53
Ⅱ. 幼兒敎育課程 計劃化 節次 ... 55
가. 先行硏究 ... 55
나. 幼兒敎育課程 計劃 모델 試案 ... 58
第3章 敎育課程의 基礎理論
Ⅰ. 哲學的 基礎理論의 硏究 ... 68
가. 槪要 ... 68
나. 類型 分類 ... 71
1. 二分法 ... 71
2. 三分法 ... 83
3. 四分法 ... 93
다. 類型의 選擇 ... 104
Ⅱ. 社會的 基礎 ... 105
가. 社會的 基礎의 意義 ... 105
1. 사회적 기초이론 ... 105
2. 유아교육을 위한 사회환경 연구 ... 108
나. 敎育課程에 影響을 미치는 社會的 環境 ... 110
1. 과학기술 ... 110
2. 가족구성의 변화 ... 119
3. 빈곤문제 ... 125
4. 성차역할 ... 136
5. 매스컴 ... 139
Ⅲ. 心理學的 基礎 ... 142
가. 心理學的 基礎의 意義 ... 142
1. 이론적 기초로서의 심리학 ... 142
2. 교육심리학의 의의 ... 144
나. 發達理論 ... 148
1. 발달이론 개요 ... 148
2. 발달이론 유형 분류 ... 149
다. 發達理論에 따른 幼兒敎育課程 모델 ... 163
第4章 幼兒敎育課程의 構成要素(Ⅰ)
Ⅰ. 目的·目標 ... 166
가. 敎育課程 構成要素로서의 目的·目標 ... 166
1. 기초이론들의 유기적 관계 ... 166
2.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관계 ... 167
나. 目標分析의 틀 ... 168
1. 목표의 명시성 ... 169
2. 목표의 폭 ... 172
3. 목표내용의 난도 ... 176
다. 學習發達理論에 따른 目的·目標 ... 183
1. 행동주의 이론의 목표 설정 ... 183
2. 인지발달이론의 목표 ... 187
3. 인간화 이론의 목표 ... 192
라. 우리나라 幼兒敎育의 目的·目標 ... 195
1. 현행 교육과정의 구성방향 ... 195
2. 교육목표의 위계적 구조 ... 197
3. 영역별 목표 ... 199
4. 목표의 활용 ... 199
Ⅱ. 敎育의 內容 ... 200
가. 經驗·敎材의 導出 ... 200
1. 구체적 목표의 內容化作業 ... 200
2. 경험·교재의 선택·정리 ... 211
나. 敎育內容의 性格 ... 215
1. 모델에 따른 교육내용의 개념 ... 215
2. 교육내용에 대한 NAEYC의 기준 ... 224
Ⅲ. 敎育의 方法 ... 226
가. 敎授 樣式 ... 228
1. 파아커(Parker, R.K.) 등의 분류 ... 228
2. 로비슨(Robison, H.F.) 등의 분류 ... 230
나. 敎師의 役割 ... 242
1. 제1유형 ... 242
2. 제2유형 ... 243
3. 제3유형 ... 243
다. 集團 編成 ... 244
라. 父母 參與 ... 245
Ⅳ. 敎授·學習 環境 ... 251
가. 環境의 意義 ... 251
1. 용어정의 ... 251
2. 원의 환경 구분 ... 252
나. 環境 造成 ... 252
1. 물리적 환경 ... 252
2. 人的 環境 ... 268
第5章 幼兒敎育課程의 構成要素(Ⅱ)
Ⅰ. 指導計劃과 活動計劃 ... 275
가. 指導計劃과 活動計劃의 槪念 ... 275
1. 지도계획과 활동계획의 의의 ... 275
2. 지도계획과 활동계획의 필요성 ... 276
나. 計劃作成의 基礎 ... 278
1. 작성상의 유의점 ... 278
2. 기초조사 ... 280
다. 計劃 作成 ... 285
1. 계획의 분류 ... 285
2. 장기계획 ... 287
3. 단기계획 ... 289
Ⅱ. 單元論 ... 295
가. 單元의 槪念 ... 295
1. 단원의 유래 ... 295
2. 단원의 의의 ... 298
나. 單元의 類型 ... 300
1. 단원의 분류 ... 300
2. 유형별 단원 ... 302
Ⅲ. 實踐·展開 ... 317
가. 活動과 指導의 意義 ... 317
1. 교육실천으로서의 활동과 지도 ... 317
2. 활동과 지도의 관계 ... 327
나. 活動別의 敎育的 價値와 目標 ... 328
1. 목표 규명의 필요성 ... 328
2. 활동별 교육목표 ... 330
Ⅳ. 幼兒敎育 評價 ... 349
가. 評價의 意義 ... 349
1. 측정과 평가 ... 349
2. 교육평가의 의의 ... 350
3. 유아교육평가의 특징 ... 352
나. 評價對象과 評價方法 ... 353
1. 평가대상 ... 353
2. 평가도구 ... 354
3. 실시 시기별의 평가 ... 357
4. 유아교육 평가방법 ... 363
第6章 幼兒敎育 프로그램 모델
Ⅰ. 뱅크·스트리트 接近法 ... 369
가. 理論的 背景 ... 369
1. 이론구성 ... 369
2. 발달상호작용 이론 ... 374
나. 目的·目標 ... 375
1. 목적·목표의 시좌 ... 375
2. 일반목표 ... 376
3. 구체적 목표 ... 382
다. 實踐·展開上의 特徵 ... 384
1. 학급편성의 특징 ... 384
2. 교수방법 ... 385
Ⅱ. 몬테소리式 幼兒敎育 ... 387
가. 理論的 背景 ... 387
1. 교육이념 ... 388
2. 이론적 가정 ... 393
나. 目的·目標 ... 398
다. 實踐·展開上의 特徵 ... 400
1. 교육환경 ... 400
2. 교육과정 ... 401
3. 교구 ... 406
라. 몬텟소리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 ... 408
Ⅲ. 베라이터-엥겔만 行動主義 接近法 ... 409
가. 理論的 背景 ... 409
1. 행동주의 학습이론 ... 409
2. 이론적 가정 ... 411
3. 직접교수의 필요성과 당위성 ... 412
나. 目的·目標 ... 413
1. 장기목표에 대한 견해 ... 413
2. 구체적 목표 ... 414
다. 實踐·展開上의 特徵 ... 419
1. 조편성과 일과표 ... 419
2. 교육내용과 방법 ... 421
Ⅳ. 피아제式 幼兒敎育 프로그램 ... 423
가. 理論的 背景 ... 423
1. 지식관 ... 424
2. 발달관 ... 426
3. 학습관 ... 428
나. 目的·目標 ... 429
1. 목적 ... 429
2. 일반목표와 구체적 목표 ... 430
다. 實踐·展開上의 特徵 ... 433
1. 일과 ... 433
2. 교육활동에 대한 시각 ... 435
3. 교사의 역할 ... 436
Ⅴ. 開放敎育 ... 437
가. 理論的 背景 ... 437
1. 형성 및 도입 과정 ... 437
2. 이론적 가정 ... 441
나. 開放敎育의 特徵 ... 442
1. 유아중심 교육 ... 443
2. 학습공간 ... 444
3. 학습 코너 ... 445
다. 實踐·展開上의 特徵 ... 446
1. 일과표와 활동 ... 446
2. 일과 활동의 사례 ... 447
3. 교사의 역할과 자세 ... 450
Ⅵ. 우리나라의 幼稚園 敎育課程 ... 452
가. 槪要 ... 452
나. 유치원 敎育課程 改編史 ... 453
1. 學府令 제10호 ... 453
2. 總令 제11호 ... 454
3. 文敎部令 제207호 ... 455
4. 문교부 고시 제 424호 ... 457
5. 문교부 고시 제 442호 ... 458
6. 문교부 고시 제87-89호 ... 459
찾아보기 ... 46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