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시대적 상황과 삶의 역정
19세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의 생활과 사상 / 유봉학 ... 15
1. 머리말 ... 15
2. 최한기의 생활 ... 19
3. 학문적 지향 ... 29
4. 사상적 지향 ... 44
5. 맺음말 ... 66
최한기의 삶과 학문편력 / 권오영 ... 70
1. 머리말 ... 70
2. 가계와 그 사회적 지위 ... 72
3. 삶과 학문 활동 ... 77
4. 맺음말 ... 102
제2부 철학사상
최한기 이기론에 있어서의 리(理)의 위상 / 최영진 ... 109
1. 문제의 제기 ... 109
2. 실리(實理)와 허리(虛理) ... 111
3. 성(性) : 나에게 내재해 있는 천리 ... 115
4. 리의 인식론적·가치론적 함의 ... 117
5. 맺음말 : 증험할 수 없는 존재는 논하지 말라 ... 121
혜강 최한기 기학의 철학적 구조 / 손병욱 ... 127
1. 머리말 ... 127
2. 기학의 철학적 구조에 대한 개관 ... 128
3. 기관(氣觀)에 입각한 기학의 구조 ... 140
4. 맺음말 ... 172
정약용과 최한기의 인간이해 / 금장태 ... 177
1. 정약용과 최한기에서 인간이해의 문제 ... 177
2. 인간존재의 기본구조 - 인간존재의 고유성과 능동성 ... 180
3. 인간존재의 도덕적 근거와 규범 ... 191
4. 인격(人格)의 구조와 실현방법 ... 199
5. 실학적 인간이해의 두 모형이 지닌 의미 ... 204
최한기의 자연관 / 김용헌 ... 207
1. 머리말 ... 207
2. 자연탐구의 탈주자학적 성격 ... 209
3. 서양 근대과학의 수용 ... 218
4. 기학적 자연관 ... 225
5. 맺음말 ... 234
최한기의 인식이론 / 이종란 ... 237
1. 들어가는 말 ... 237
2. 인식의 성립 ... 239
3. 인식의 검증 ... 254
4. 인식과 실천 ... 259
5. 맺음말 ... 265
최한기의 기화적 윤리관 / 신원봉 ... 268
1. 머리말 ... 268
2. 선악의 근원으로서의 기화 ... 270
3. 선의 실현방법 ... 275
4. 기화적 윤리관의 윤리학적 의미 ... 283
5. 맺음말 ... 288
제3부 사회사상
최한기의 사회사상 / 김병규 ... 293
1. 머리말 ... 293
2. 당시 사회에 대한 인식 ... 295
3. 신분에 대한 인식 ... 300
4. 사회 경장관 ... 302
5. 맺음말 ... 305
최한기의 교육관 서설 / 이원순 ... 307
1. 서설의 시각 ... 307
2. '운화기(運化氣)'의 경험적 교육관 ... 309
3. '변통'과 '추측'의 진보적 교육관 ... 315
4. '사무'와 '채서'의 실학적 교육론 ... 320
5. 여언(餘言) ... 327
최한기의 세계지리 인식의 역사성 / 이원순 ... 333
1. 머리말 ... 333
2. 혜강 지리학의 실학적 바탕 ... 335
3. 최한기의 '지지학(地志學)'론 ... 339
4. 혜강 지리학의 자료전거 ... 343
5. 『지구전요』 「범례」의 학문의식 ... 353
6. 『지구전요』의 내용 ... 358
7. 최한기 지리인식의 선각성 ... 373
8. 맺음말 ... 377
최한기의 상업관 / 신해순 ... 380
1. 머리말 ... 380
2. 상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 383
3. 개국통상론 ... 388
4. 상인 역할론 ... 395
5. 맺음말 ... 406
부록 : 최한기 연구논저 목록 ... 409
필자 약력 ... 41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