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문초록 ... ⅰ
ABSTRACT ... ⅲ
제1장 서론 ... 1
Ⅰ. 연구의 의의 ... 1
Ⅱ.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제2장 직무분석의 개요 ... 4
Ⅰ. 직무분석의 정의 및 관련개념 ... 4
Ⅱ. 직무분석의 역사 ... 5
Ⅲ. 직무분석의 절차 ... 8
1. 직무분석의 일반적 준비 사항 ... 8
2. 직무분석의 내용과 접근방법 ... 13
3. 직무분석의 구체적인 절차 ... 16
제3장 직무분석의 기법 ... 19
Ⅰ. 자료수집기법 ... 19
1. 최초분석법(New Analysis Method) ... 19
2. 비교확인법(Verification Method) ... 21
3. 그룹토의 기법(Group Process Method) ... 21
Ⅱ. 직무분석기법모델 ... 22
1. 미국 노동성 기법(The Department of Labor Methodology : DLM) ... 22
2. 기능적 직무분석(Functional Job Analysis : FJS) ... 33
3. 보건서비스가동성연구기법(Health Services Mobility Study Method : HSMS) ... 40
4. 직위분석설문기법(Position Analysis Questionaire : PAQ) ... 50
제4장 직무분석의 인력관리에의 활용 ... 57
Ⅰ. 임용 및 배치 ... 57
1. 임용에 있어서의 타당성(validity) 검증 ... 58
2. 임용에 있어서의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 61
Ⅱ. 업무평정 ... 67
Ⅲ. 교육 및 훈련 ... 70
제5장 외국정부의 직무분석 ... 73
Ⅰ. 의의 ... 73
Ⅱ. 직위분류제와 직무분석 ... 74
1. 직위분류제의 개괄 ... 74
2. 직위분류기준 설정 ... 75
3. 직무조사와 직위기술서(Position Description) 작성 ... 91
4. 직렬의 결정 ... 106
5. 등급의 결정(Determining the Grade) ... 108
6. 감독직위 분류(Classifying Supervisory Positions) ... 110
Ⅲ. 맺는말 ... 111
제6장 한국 정부의 직무분석 ... 114
Ⅰ. 전문성 제고 방안 ... 115
1. 전문성 제고의 필요성 ... 115
2. 전문성 제고 방안 ... 116
Ⅱ. 직무분석의 설계 및 절차 ... 119
1. 직무조사설계 ... 119
2. 자료의 수집 및 분석 ... 122
3. 직무평가 ... 126
Ⅲ. 전문성 정도의 측정방법 ... 131
1. 주요 외국의 직무평가 요소 및 내용 ... 131
2. 전문성정도 측정기법 ... 138
Ⅳ. 전문성 정도의 평가방식 ... 145
1. 계량적 평가 ... 145
2. 비계량적 평가와의 종합 및 조정 ... 147
3. 평가과정 및 결과 ... 148
제7장 결론 ... 149
참고문헌 ... 153
부록 ... 156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