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朝鮮文字及語學史(계속)
29. 最近의 한글 運動 ... 545
外來語 表記法 統一案 ... 630
30. 한글 硏究材料의 文獻 ... 678
註 ... 763
새로 지은 국어학사
제1편 서론
제1장 문짜와 문화와 민족의 관계 ... 5
제2장 말과 글의 관계와 말의 갈래 ... 6
1. 계통적 분류 ... 6
2. 형태적 분류 ... 8
3. 글(문자)의 종류 ... 10
제3장 우랄 알타이 말의 특질 ... 12
1. 홀소리 어울림 ... 12
2. 닿소리의 법칙 ... 13
3. 첫소리의 규칙 ... 14
4. 끝소리 규칙 ... 15
5. 월을 짜는 법 ... 15
제4장 한국말의 범위 ... 16
1. 단군 조선(檀君朝鮮) ... 16
2. 부여(扶餘) ... 16
3. 한족 조선(漢族朝鮮) 17
4. 예(濊) ... 18
5. 옥저(沃沮) ... 18
6. 삼한(三韓) ... 18
7. 신라(新羅) ... 20
8. 고구려(高句麗) ... 21
9. 백제(百濟) ... 21
10. 발해(渤海) ... 21
11. 고려(高麗) ... 22
12. 탐라(耽羅) ... 22
제2편 훈민정음 이전의 글자
제1장 전해지지 않은 고대의 글(文字) ... 27
1. 삼황내문(三皇內文) ... 27
2. 신지비사문(神誌秘詞文) ... 27
3. 왕문문(王文文) ... 29
4. 나무에 새긴 글 ... 29
5. 고구려 글(高句麗 文字) ... 30
6. 백제 글(百濟 文字) ... 30
7. 향찰(鄕札) ... 31
8. 발해 글(渤海 文字) ... 32
9. 고려 글(高麗 文字) ... 34
제2장 전해진 글 ... 35
1. 이두(吏讀) ... 35
2. 입겾(口訣, 토) ... 39
제3편 훈민정음
제1장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 47
1. 만든 까닭 ... 47
2. 만들기에 고심한 자취 ... 48
3. 노력한 결과 ... 49
4. 맞춤법 ... 51
제2장 훈민정음의 기원설 ... 53
1. 고전 기원설(古篆起源說) ... 53
2. 범자 기원설(梵字起源說) ... 53
3. 몽고자 기원설(蒙古字起源說) ... 57
4. 범자와 몽고자 기원설 ... 59
5. 설총(薛聰) 창작설 ... 61
6. 요의(了儀) 창작설 ... 62
7. 일본 신대문자(神代文字) 기원설 ... 63
8. 상형(象形) 기원설 ... 66
9. 악리(樂理) 기원설 ... 67
10. 28수(宿) 기원설 ... 68
11. 고대문자(古代文字) ... 68
제3장 반포 이후의 변천 ... 71
1. 문헌의 소실 ... 71
2. 세종의 국문 보급 정책 ... 72
3. 세조의 국문 보급 정책 ... 72
4. 성종의 국문 보급 정책 ... 73
제4편 박해받은 훈민정음
제1장 연산주의 국문 말살 정책 ... 77
1. 정음 사용 금지령 ... 77
2. 금지령의 동기 ... 77
3. 금지령 이후의 훈민정음 ... 78
제2장 반절과 훈몽자회 ... 79
1. 민간에 보존된 정음·반절 ... 79
2. 반절에 대한 기원설 ... 80
3. 최세진의 「훈몽자회」 범례 ... 82
제3장 음운 연구 ... 85
1. 박성원의 「화동 정음 통석 운고」 범례 ... 85
2. 신경준의 「훈민정음 운해」 ... 87
3. 홍계희의 「삼운성휘」 범례 ... 94
4. 이사질(李思質)의 학설 ... 96
5. 금영택(琴榮澤)의 학설 ... 99
6. 홍양호의 「경세정운도설」 서문 ... 101
7. 「진언집」 범례 ... 103
8. 황유석의 '자모변'(字母辯) ... 105
9. 정동유의 학설 ... 110
10. 유희의 「언문지」(諺文志) ... 113
11. 석범(石帆)의 학설 ... 117
12. 이규경의 「언문 변증설」(諺文 辨證說) ... 119
13. 정윤용(鄭允容) 의 학설 ... 120
14. 강위의「동문자모분해」(東文字母分解) ... 121
15. 노정섭(盧正燮)의 학설 ... 124
제5편 한글의 부흥과 새 연구
제1장 갑오경장과 국문 운동 ... 129
1. 국어에 대한 지각 ... 129
2. 이봉운의 「국문정리」(國文正理) ... 130
3. 지석영의 '신정국문'(新訂國文) ... 132
4. 권정선의 「정음종훈」(正音宗訓) ... 134
5. 권정선(權靖善) 학설 붙임 ... 136
6. 국문 연구소(國文 硏究所) ... 139
7. 최광옥의 「대한문전」(大韓文典) ... 141
8. 유길준의 「대한문전」(大韓文典) ... 147
제2장 문법 연구의 발전 ... 154
1. 주시경의 국어 문법 ... 154
2. 주시경의 후계학자들 ... 159
3. 본 저자의 주장하는 체계 ... 257
제3장 한글의 보급과 발전 ... 277
1. 총독부의 철자법 규정 ... 277
2. 조선어 학회의 '한글 맞훔법 통일안' ... 290
3. '조선어 학회'의 표준말 시정 ... 309
4. '조선어 학회'의 외래어 표기법 제정 ... 310
5. '조선어 학회' 수난 ... 311
6. '한글 맞춤법' 파동 ... 314
7. 해방 뒤 국어학계의 동향 ... 333
부록
1. 한결 年譜 ... 345
2. 저작 목록 ... 352
朝鮮文字及語學史(계속)
29. 最近의 한글 運動 ... 545
外來語 表記法 統一案 ... 630
30. 한글 硏究材料의 文獻 ... 678
註 ... 763
새로 지은 국어학사
제1편 서론
제1장 문짜와 문화와 민족의 관계 ... 5
제2장 말과 글의 관계와 말의 갈래 ... 6
1. 계통적 분류 ... 6
2. 형태적 분류 ... 8
3. 글(문자)의 종류 ... 10
제3장 우랄 알타이 말의 특질 ... 12
1. 홀소리 어울림 ... 12
2. 닿소리의 법칙 ... 13
3. 첫소리의 규칙 ... 14
4. 끝소리 규칙 ... 15
5. 월을 짜는 법 ... 15
제4장 한국말의 범위 ... 16
1. 단군 조선(檀君朝鮮) ... 16
2. 부여(扶餘) ... 16
3. 한족 조선(漢族朝鮮) 17
4. 예(濊) ... 18
5. 옥저(沃沮) ... 18
6. 삼한(三韓) ... 18
7. 신라(新羅) ... 20
8. 고구려(高句麗) ... 21
9. 백제(百濟) ... 21
10. 발해(渤海) ... 21
11. 고려(高麗) ... 22
12. 탐라(耽羅) ... 22
제2편 훈민정음 이전의 글자
제1장 전해지지 않은 고대의 글(文字) ... 27
1. 삼황내문(三皇內文) ... 27
2. 신지비사문(神誌秘詞文) ... 27
3. 왕문문(王文文) ... 29
4. 나무에 새긴 글 ... 29
5. 고구려 글(高句麗 文字) ... 30
6. 백제 글(百濟 文字) ... 30
7. 향찰(鄕札) ... 31
8. 발해 글(渤海 文字) ... 32
9. 고려 글(高麗 文字) ... 34
제2장 전해진 글 ... 35
1. 이두(吏讀) ... 35
2. 입겾(口訣, 토) ... 39
제3편 훈민정음
제1장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 47
1. 만든 까닭 ... 47
2. 만들기에 고심한 자취 ... 48
3. 노력한 결과 ... 49
4. 맞춤법 ... 51
제2장 훈민정음의 기원설 ... 53
1. 고전 기원설(古篆起源說) ... 53
2. 범자 기원설(梵字起源說) ... 53
3. 몽고자 기원설(蒙古字起源說) ... 57
4. 범자와 몽고자 기원설 ... 59
5. 설총(薛聰) 창작설 ... 61
6. 요의(了儀) 창작설 ... 62
7. 일본 신대문자(神代文字) 기원설 ... 63
8. 상형(象形) 기원설 ... 66
9. 악리(樂理) 기원설 ... 67
10. 28수(宿) 기원설 ... 68
11. 고대문자(古代文字) ... 68
제3장 반포 이후의 변천 ... 71
1. 문헌의 소실 ... 71
2. 세종의 국문 보급 정책 ... 72
3. 세조의 국문 보급 정책 ... 72
4. 성종의 국문 보급 정책 ... 73
제4편 박해받은 훈민정음
제1장 연산주의 국문 말살 정책 ... 77
1. 정음 사용 금지령 ... 77
2. 금지령의 동기 ... 77
3. 금지령 이후의 훈민정음 ... 78
제2장 반절과 훈몽자회 ... 79
1. 민간에 보존된 정음·반절 ... 79
2. 반절에 대한 기원설 ... 80
3. 최세진의 「훈몽자회」 범례 ... 82
제3장 음운 연구 ... 85
1. 박성원의 「화동 정음 통석 운고」 범례 ... 85
2. 신경준의 「훈민정음 운해」 ... 87
3. 홍계희의 「삼운성휘」 범례 ... 94
4. 이사질(李思質)의 학설 ... 96
5. 금영택(琴榮澤)의 학설 ... 99
6. 홍양호의 「경세정운도설」 서문 ... 101
7. 「진언집」 범례 ... 103
8. 황유석의 '자모변'(字母辯) ... 105
9. 정동유의 학설 ... 110
10. 유희의 「언문지」(諺文志) ... 113
11. 석범(石帆)의 학설 ... 117
12. 이규경의 「언문 변증설」(諺文 辨證說) ... 119
13. 정윤용(鄭允容) 의 학설 ... 120
14. 강위의「동문자모분해」(東文字母分解) ... 121
15. 노정섭(盧正燮)의 학설 ... 124
제5편 한글의 부흥과 새 연구
제1장 갑오경장과 국문 운동 ... 129
1. 국어에 대한 지각 ... 129
2. 이봉운의 「국문정리」(國文正理) ... 130
3. 지석영의 '신정국문'(新訂國文) ... 132
4. 권정선의 「정음종훈」(正音宗訓) ... 134
5. 권정선(權靖善) 학설 붙임 ... 136
6. 국문 연구소(國文 硏究所) ... 139
7. 최광옥의 「대한문전」(大韓文典) ... 141
8. 유길준의 「대한문전」(大韓文典) ... 147
제2장 문법 연구의 발전 ... 154
1. 주시경의 국어 문법 ... 154
2. 주시경의 후계학자들 ... 159
3. 본 저자의 주장하는 체계 ... 257
제3장 한글의 보급과 발전 ... 277
1. 총독부의 철자법 규정 ... 277
2. 조선어 학회의 '한글 맞훔법 통일안' ... 290
3. '조선어 학회'의 표준말 시정 ... 309
4. '조선어 학회'의 외래어 표기법 제정 ... 310
5. '조선어 학회' 수난 ... 311
6. '한글 맞춤법' 파동 ... 314
7. 해방 뒤 국어학계의 동향 ... 333
부록
1. 한결 年譜 ... 345
2. 저작 목록 ... 35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