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의 말 제1장 두 개의 달마상 1. 중국 선종사의 새로운 계기-돈황의 발견 ... 11 귀중한 고문서 ... 11 달마의 정체 ... 12 인류의 지적 유산으로서의 선 ... 13 생동하는 사상 ... 14 달마·達摩·達磨 ... 15 2. 초기 중국선의 역사와 스즈키-세계의 이목이 집중 ... 16 국제적 관심을 끄는 선의 자료 ... 16 참선체험과 학문연구의 차이 ... 17 반규(盤珪), 호적(胡適) 그리고 돈황문서 ... 18 호적의 신회 발견과 스즈키에 대한 비평 ... 19 런던에서의 초기선종과의 최초의 만남 ... 20 스즈키 이후의 문제 ... 21 중국불교로서의 선 ... 22 (소실일서(小室逸書)) ... 23 전통과 혁신 ... 24 (소실일서) 연구 ... 26 제2장 달마의 전기(傳記) 1. 달마선의 고향, 실크로드 ... 29 명상의 종교 ... 29 5호(胡)시대 ... 30 (한역대장경)과 석굴의 불상들 ... 31 장대한 (삼천불명경)의 역사 ... 32 부처가 부처의 이름을 부르는 세계 ... 33 천불만다라의 입체감각 ... 34 달마의 고향 ... 35 티베트문화의 형성과 달마어록 ... 36 2. 낙양에서의 달마-바람을 몰고 온 달마 ... 37 서방의 제종교를 종합한 북위의 새로운 문화 ... 37 대동에서 낙양으로 ... 37 하룻밤에 소실된 낙양 가람의 기록 ... 39 환상의 영녕사 9층대탑 ... 39 말법시대의 도래 ... 41 호승 달마의 등장 ... 42 달마는 과연 페르시아인이었나 ... 43 일개 호승에게 쏠린 새로운 기대 ... 44 페르시아 호승의 행방 ... 46 3. 달마를 전하는 기록들 ... 47 제자 담림은 당대 최고의 번역관료였다 ... 47 단순명쾌한 구어불교 ... 48 달마를 둘러싼 제자와 교단의 형성 ... 49 페르시아 호승의 일대 변모 ... 50 새로운 성전으로 인식된 달마어록 ... 51 4. 마음을 갖고 오라-안심문답(安心問答) ... 53 마음을 갖고 오라 ... 53 지금의 문제 ... 54 정법안장(正法眼藏) ... 54 불법은 단순한 교육의 문제가 아니다 ... 55 진리의 말·정법안장 ... 56 양현지와 달마의 문답 ... 57 마조도일과 분주무업 ... 58 달마는 왜 중국에 왔는가 ... 59 5. 선문답의 세계-현실 그 자체가 선 ... 60 일상회화에서 출발하는 종교철학 ... 60 석공혜장과 서당지장 ... 62 그대의 죄업을 가져오라 ... 63 상대의 죄를 가중시켜서는 안 된다 ... 64 죄업은 뿌리도 잎도 없는 망상이다 ... 65 본래의 자기를 세우는 것이 최고의 참회다 ... 66 간명직재한 본래자기를 어떻게 실천해 갈까 ... 68 급한 성질은 천성이 아니다 ... 69 제3장 달마의 사상-이입(理入)과 사행(四行) 달마의 소전(小傳) ... 73 두 개의 입장, 이법과 행위의 발견 ... 76 네 가지 실천 ... 89 동료의 편지(1) ... 98 동료의 편지(2) ... 100 공견(空見)의 두려움 ... 104 반야의 이론 ... 109 허무주의의 비판 ... 113 법이 사람을 따른다 ... 114 불심이란 무엇인가 ... 117 삼보에 대하여 ... 118 공허한 선 ... 119 남녀의 모습 ... 121 참된 깨달음 ... 123 도(道)를 닦는 방법 ... 125 두 개의 진리 ... 126 마음과 법 ... 127 한몸의 두 얼굴 ... 128 도를 얻음의 속도 ... 130 이법(理法)에 의해 도를 실현한다 ... 132 문자 속에서 깨달은 사람 ... 134 일반 규범을 초월한 세계 ... 136 순박한 마음 ... 138 바른 마음 그릇된 마음 ... 139 근성의 정도 ... 140 학문으로 도를 이루지 못한다 ... 142 공의 진리와 수도의 주체 ... 143 도가 아닌 데로 가다 ... 144 일체의 존재를 통달한다 ... 146 사견을 버리고 정견에 드는 것이 아니다 ... 147 궁극의 진리는 가까운가 먼가 ... 151 궁극의 진리는 알기 쉽다 ... 153 노자의 말 ... 154 보살의 생활모습 ... 155 부처와 귀신 ... 156 이법의 세계 ... 157 깨달음의 장소 ... 157 깨달음의 경지 ... 158 바닥으로 지는 여래의 혜일 ... 159 스스로 속이다 ... 159 생멸과 불생멸 ... 160 죄의 본질 ... 162 자아를 구하는 자 ... 164 법계의 주체 ... 164 이법을 알다 ... 165 보는 것을 초월한 이법과 각자 ... 166 육바라밀 ... 167 해방된 마음 ... 169 갖가지 망집 ... 170 자신의 마음이 멋대로 나타낸 것 ... 174 연법사의 말 ... 175 법과 사람 ... 177 지법사의 물음 ... 179 갖가지 망상 ... 180 법을 가르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 181 도란 무엇인가 ... 182 도깨비의 마음 ... 184 가법사의 말 ... 185 그대의 마음을 보여달라 ... 187 참회의 가르침 ... 188 불도의 완성 ... 191 지옥에 떨어지는 자 ... 193 돌을 깎아 부처를 만들면 ... 194 네 가지 설법 ... 195 능선사의 말 ... 197 업을 끊을 수는 없다 ... 198 현선사의 말 ... 199 훤선사의 말 ... 200 연선사의 말 ... 201 장법사의 말 ... 203 현선사의 말 ... 205 안선사의 말 ... 205 인선사의 말 ... 206 홍선사의 말 ... 208 각선사의 말 ... 209 범선사의 말 ... 212 도지사의 말 ... 213 원적니의 말 ... 214 남선사의 말 ... 215 인선사의 삼장법사의 문답 ... 217 삼장법사와의 문답(2) ... 218 인선사의 의견 ... 220 가선사의 말 ... 221 양선사의 말 ... 222 담사의 말 ... 223 혜요사의 말 ... 224 지선사의 말 ... 226 지선사의 말 ... 227 문법사의 말 ... 228 일체의 경론 ... 229 연선사의 말 ... 229 낭선사의 말 ... 233 제4장 달마상의 전개와 오늘 1. 숭산 소림사의 시대-비문시대 ... 237 숭산 소림사 ... 237 비문으로 집대성되는 봉선의 전통 ... 238 여제(女帝)의 출현과 신종교 운동 ... 240 신수와 그 문하의 융성 ... 241 (능가사자기)와 (전법보기) ... 244 2. 새로운 달마상의 전개 ... 247 달마를 맞이하는 양무제 ... 247 처음으로 정법을 전한 달마 ... 248 신회의 북종 비판 ... 250 신회가 주장하는 새로운 달마 ... 251 신수와 혜능의 차이 ... 252 방편이 아닌 진실한 말 ... 254 무제의 비문은 최초이자 최대의 기념비 ... 256 3. 제자들의 달마 운동 ... 257 불타에서 달마에 이르는 스승과 제자 ... 257 북종의 지반을 수용한 신회 ... 259 (부법장인연전)의 24조설 ... 259 달마를 조사로 하는 28대의 출현 ... 260 (전등록)의 달마전 ... 261 4. 달마사상의 변천-돈오와 점수의 대결 ... 263 (달마전)의 의외의 변화와 발전 ... 263 중국승 마카엔(摩訶衍)과 인도승 카마라실라의 토론 ... 263 돈오에 기운 중국의 선종 ... 264 사천의 선과 달마다라 ... 265 (역대법보기)에서 보는 달마다라 ... 266 남북대립의 정산 ... 267 선·교의 종합과 체계를 지향한 (종경록) ... 268 조사서래의 ... 271 달마연표 ...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