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3 첫째마당 : 시골장, 장시의 출현 ... 11 장시는 언제 어디서 처음 열렸나? ... 11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던 시골장 ... 13 시장 개설에 대한 찬성과 반대 의견 ... 14 농촌의 황폐화와 도적 발생의 요인-시골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 15 흉년 타개와 진휼의 방편-'시골장은 열려야 한다' ... 18 〈쇄미록〉에 나타난 16세기 말 시장의 모습 ... 21 둘째마당 : 시장 개설의 여러 모습 ... 23 조선후기 시장은 몇 개나 되었나? ... 26 장날은 어떻게 정해졌을까? ... 30 시장의 확산과 시장권 형성 ... 33 포자가 처음 나타나다 ... 37 5일장에서 상설시장으로 ... 40 〈만기요람〉에 실린 15대 시장 ... 40 정기시장이 상설화되다 ... 42 셋째마당 : 전국에서 이름난 시장과 특수시장 ... 45 1. 유명한 시장 ... 45 서울 근교에서 사상인들의 근거지가 되었던 송파장 ... 45 서울과 삼남지방을 연결하는 요충지에 있던 안성장 ... 49 동북지방으로 통하는 길목에서 크게 성장한 누원점 ... 53 수로와 해로를 연결하며 3대시장 중 하나로 손꼽혔던 강경장 ... 58 정조의 화성 축조와 함께 발달한 수원의 시장 ... 61 남해안에서 새롭게 성장한 마산장 ... 69 동북해안에서 북어 생산지로 유명했던 원산장 ... 70 박천군의 관아 재정을 좌지우지했던 진두장 ... 71 2. 서울의 시전과 시전상인 ... 74 시전의 조성 ... 74 사상인의 성장을 억압했던 금난전권 ... 75 육의전과 유푼전·무푼전 ... 76 3. 특수시장 ... 88 약령시 ... 88 대구약령시 ... 90 원주약령시 ... 92 공주약령시 ... 93 전주약령시 ... 93 고액이 오갔던 우시장 ... 94 넷째마당 : 시장 금압에서 장세 징수로 ... 99 장세 징수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을까? ... 99 장세 징수를 폐지하라 ... 100 장세가 없으면 지방재정도 흔들린다 ... 103 장세는 어떤 기관에서 누가 거두었나? ... 105 장세-현물에서 금납화로 ... 107 장세는 어떤 곳에 쓰였나? ... 109 다섯째마당 : 실학자들의 시장관 ... 115 반계 유형원의 시장관 ... 116 성호 이익의 시장관 ... 119 농암 유수원의 시장관 ... 122 취석실 우하영의 시장관 ... 125 다산 정약용의 시장관 ... 127 고산자 김정호의 시장관 ... 129 여섯째마당 : 장돌뱅이에서 부상대고까지 ... 135 장시를 순회하던 장돌뱅이-행상 ... 135 상단으로 성장한 보부상 ... 140 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나타난 객주와 여각 ... 153 물품거래의 중매쟁이-거간 ... 158 상품의 매점매석 행위-도고상업 ... 162 〈허생전〉에 나타난 도고 상업의 형태 ... 168 여성으로서 부상대고로 이름을 남긴 김만덕 ... 171 일곱째마당 : 대외무역의 변화와 이를 통해 성장한 상인들 ... 175 1. 중국과의 무역 ... 175 중강개시 ... 177 중강후시 ... 178 책문후시 ... 179 북관개시 ... 181 대중국 무역을 주도한 의주상인 ... 182 2. 일본과의 무역 ... 184 왜관무역 ... 184 동래상인의 활동 ... 186 3. 국내의 상권을 장악하고 있던 상인들 ... 189 전국적인 지점망 송방으로 조직된 개성상인 ... 189 서울의 상권을 쥐락펴락했던 경강상인 ... 194 여덟째마당 : 시장 발달을 촉진한 요인과 상품유통의 활성화 ... 201 1. 시장경제를 활성화시킨 정부의 보호정책들 ... 201 상품유통에 활기를 불어넣은 대동법 ... 201 금속화폐가 전국적으로 유통되다 ... 206 세금은 동전으로 내라 ... 208 통골발매-'마음대로 팔아라' ... 209 2. 상품의 생명은 신선도-교통로의 발달 ... 212 육로를 통한 상품 운반 ... 212 수로와 해로를 통한 상품운송의 대규모화 ... 218 3. 상업적 농업의 확대와 상품생산의 증대 ... 223 곡물류의 상품화 ... 228 1833년 서울의 쌀소동 ... 231 직물류의 상품화 ... 233 도시 근교에서의 채소 재배 ... 236 담배 소비의 증가로 옥토가 담배밭으로 변하고 ... 238 4. 수공업 분야의 변화상 ... 246 관영수공업 체제에서 민영수공업 체제로 ... 246 민영수공업의 발달 ... 248 전업적 수공업으로서 유기공업의 발달 ... 252 5. 상품유통의 활성화로 나타난 현상들 ... 254 시장의 발달과 상인의 증가로 문란해진 도량형 ... 254 동전의 유통과 상품 거래의 변화 ... 262 화폐유통 정책의 걸림돌-사주전과 전황 ... 267 상품 거래의 증대와 환의 등장 ... 272 어음 사용의 증가 ... 274 아홉째마당 : 상품화폐 경제의 발달과 함께 나타난 변화 ... 277 1. 사회에 반영된 갖가지 변화들 ... 277 읍지·지리지 편찬에도 시장 개설 내용이 반영되다 ... 277 주막과 점막이 크게 증가하다 ... 280 원의 기능 변화 ... 285 시장 발달과 지배층의 인식 변화 ... 286 동전유통에 따른 세태의 변화 ... 290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양반-〈양반전〉에 나타난 사회상 ... 294 시장은 명화적의 근거지였나? ... 298 2. 시장 발달과 함께 삼금정책이 강화되다 ... 300 쇠고기 수요의 증가로 우금이 강조되다 ... 301 조선시대 서울 도성내외의 푸줏간-현방 ... 305 양조로 인한 곡물소비 억제책-주금령 ... 310 산림보호와 목재확보를 위한 송금정책 ... 314 열째마당 : 시장의 사회·문화적 기능 ... 319 정보교환·수집, 홍보의 장 ... 319 괘서·벽서 등으로 민심이 반영되는 곳 ... 322 모역자·반역자의 처형장소로도 이용 ... 324 민중들의 스트레스 해소장-오락·유희의 장 ... 327 주민 모취 및 안집의 장 ... 336 가뭄이 들면 시장을 옮기기도 ... 340 민중들의 삶과 하나가 되었던 장터 ... 342 우리의 삶에 활기를 불어넣어줄 5일장 ... 345 부록 : 조선시대 주요 경제 관련 연표 ... 349 참고문헌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