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우리에게 있어서 퇴계는 누구인가
1. 퇴계는 보통사람과 무엇이 달랐나 ... 13
2. 퇴계는 행운의 여신과는 인연이 없어 ... 18
3. 퇴계의 생활에서 풍기는 이모저모 ... 23
제2장 퇴계와 그의 어머니
1. 퇴계는 아버지 얼굴도 몰라 ... 29
2. 벽(壁)을 보고 앉는 소년의 마음 ... 31
3. 과부 집 자식 버릇없다는 소리 듣지 말아야 ... 34
제3장 도연명(陶淵明)을 왜 좋아했는가
1. 도연명은 어떤 인물이었나 ... 41
2. 퇴계는 왜 도연명을 좋아했는가 ... 43
3. 고달픈 생애의 정신적 동반자 ... 46
제4장 퇴계가 인식하는 자연의 모습(自然觀)
1. 퇴계는 왜 자연을 좋아했는가 ... 51
2. 작은 것에서부터 큰 우주를 찾아냈다 ... 55
3. 퇴계가 본 자연순리란 어떤 것인가 ... 61
제5장 퇴계가 보는 사람의 위상(人間觀)
1. 인간을 가리켜 왜 소우주라 했는가 ... 67
2. 마음이란 어떻게 존재하는 실체인가 ... 71
3. 선과 악의 분기점은 어디인가? ... 77
제6장 퇴계는 어떻게 공부했는가(學問觀)
1. 퇴계의 학문적 배경을 알아본다 ... 83
2. 지행병진(知行竝進)하는 자세란 무엇인가 ... 87
3. 되뇌는 방법으로 참뜻을 깨달아 ... 91
제7장 퇴계가 보는 고향은 어떤 곳인가(鄕村觀)
1. 퇴계는 향촌을 소중히 여겼다 ... 99
2. 향촌의 활성화를 위하여 무엇을 생각했는가 ... 102
3. 예안향약(禮安鄕約)은 어떤 것인가 ... 106
4. 서원(書院)을 두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 ... 113
5. 도산서원은 인재양성의 도량(道場)이었다 ... 118
6. 향촌은 퇴계의 마음 그 자체이었다 ... 121
제8장 퇴계는 왜 향약을 만들었는가(社會觀)
1. 향약으로 표현된 그의 사상 ... 131
2. 인·도·장·변(人·道·場·變) ... 134
3. 향약을 통해서 본 퇴계의 사회관 ... 139
4. 헌장(憲章)다운 명훈(明訓) ... 159
제9장 향약이념은 새마을운동의 원류(源流)
1. 인간의 참 삶을 구명(究明)하는 실천철학 ... 167
2. 퇴계의 입약정신과 새마을운동이념 ... 168
3. 사람이 함께 가야 할 귀일점(歸一点)을 찾아서 ... 183
제10장 지행호진론과 병진론(竝進論)
1. 지(知)와 행(行)의 상호관계 ... 191
2. 지행론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 ... 194
3. 역학적(力學的) 시각(視角)에서 본 호진성(互進性)의 원리(原理) ... 210
4. 이것이 호진적 병진론이다 ... 217
제11장 퇴계와 율곡의 인간관계
1. 퇴계와 율곡은 어떠한 관계인가 ... 223
2. 율곡의 퇴계관(退溪觀) ... 234
3. 대립설의 연원과 와전(訛傳) ... 242
4. 선현론(先賢論)을 펼 때의 자세 ... 248
제12장 퇴계의 언행록(言行錄)과 그 제자들
1. 언행록에 비친 퇴계의 참 모습 ... 253
2. 퇴계의 수업방식(授業方式)은 어떠했는가 ... 254
3. 언행록은 어떻게 편술(編述)되었는가 ... 256
4. 언행록(言行錄)과 관계된 제자들의 연령구조 ... 257
5. 언행록 자료는 누가 얼마나 제공했는가 ... 258
6.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사제관(師弟觀) ... 260
제13장 퇴계학의 국제화
1. 자아발전의 계종(啓鐘) ... 263
2. 퇴계의 철학사상 ... 265
3. 퇴계학의 일본 전도(傳渡) ... 269
4. 퇴계학의 현대적 조명 ... 273
제14장 부록(附錄)
1. 太極圖 解義 : 태극도의 뜻풀이 ... 279
2. 天命圖 解義 : 천명도의 뜻풀이 ... 283
3. 修身十訓 : 열 가지의 가르침 ... 308
4. 勸學文 : 배우기를 권고하는 글 ... 310
5. 諭四學師生文 : 스승과 학생에게 ... 314
6. 鄕立約條(要約) : 예안향약문(요약) ... 327
7. 名言明訓(選) : 명언명훈(선) ... 332
8. 聖賢道學淵源(選) : 도학의 연원(선) ... 357
9. 戒遺 : 유언으로 남긴 훈계 ... 363
10. 退溪年譜(要約) : 퇴계 선생의 일생(요약) ... 36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