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문에서의 소설월평
돋보이는 예술가 소설 / 호영송 ... 13
「정신주의」성립놓고 도박 / 유재용 ... 15
낯선 존재 / 「뉴키즈」의 목소리 ... 17
새로운 中篇형식 출현 / 최수철 ... 19
문학의 형식 빈 유언 / 홍국태 ... 22
우연을 필연으로 끌어올리기 / 김소진 ... 24
세대걸친 分斷문제 통찰 / 이청준 ... 26
告白體 글쓰기 유행 / 양귀자 ; 공지영 ; 김만옥 ... 28
절묘한 結米짓기 / 최윤 ... 31
理念지향文學 거듭나기 진통 / 김남일 ; 이창동 ... 33
'나는 나다' 목소리 / 유순하 ... 35
短篇 설땅 회복 '한마음' - 짧은소설 29인집 ... 37
이미지가 앞선 글쓰기 / 하일지 ... 39
순진성을 共有한 세 傳記 / 신경숙 ; 정찬 ; 공선옥 ... 41
관념소설의 가능성 / 최시한 ; 최윤 ... 44
매력적인 모더니즘 小說 / 하재봉 ... 46
文學的감흥 고루 제시 / 정건영 ; 이상문 ; 이승우 ... 49
「글쓰기놀이」에서 소설쓰기로 / 전상국 ; 구효서 ... 51
문예詩 두가지 존재 방식 - 계간지와 월간지 ... 53
의미심장한 징후 가득 - 1990년도의 소설 상황 ... 55
4ㆍ19앓이 / 김국태 ... 57
理念에 매몰린 「自我」 / 김영현 ... 59
현실성 形象化로 분단文學 새영역 구축 / 홍상화 ... 61
자료ㆍ구성ㆍ상상력 갖춘 評傳 / 전상국 ... 63
문학과 韓國戰 / 염상섭 ; 한설야 ; 최인훈 ; 홍성원 등 ... 65
Ⅱ. 문예지에서의 소설월평
가짜 욕망과 소설적 진실 / 유순하 ; 이승우 ; 윤대녕 ; 윤후명 ... 71
이 계절을 밝힌 등불 / 공지영 ; 김영현 ; 윤정모 ; 최인석 ; 최일남 ... 83
시간에 대한 네 가지 인식으로서의 소설 / 하창수 ; 이순원 ; 최윤 ; 서정인 ... 49
빛나는 '유리 구두' / 박상우 ; 김인숙 ... 113
기행소설과 그 수준 / 조성기 ; 이호철 ; 홍상화 ; 송우혜 ... 125
최상규의 '악령의 늪'에 이른 길 ... 137
Ⅲ. 소설이 지닌 강도
우리 문학의 등불, 우리문학의 연꽃 ... 149
不在를 견디는 독특한 문체와 미학 / 신경숙론 ... 160
어떤 원주민을 위한 진혼곡 / 이남희론 ... 171
순수의식에서 순수감각까지 / 최수철론 ... 181
근소한 차이 또는 리얼리즘과 알레고리의 분기점 ... 206
사소설의 미학 비판 ... 219
지라르와 욕망의 현상학 ... 234
Ⅳ. 어떤 문학사적 시각
전후 비평 세가지 감수성 / 이어령 ; 유종호 ; 고석규 ... 251
형이상학의 성채만들기와 탈출하기 - 「초극」과 「요한시집」 ... 267
전후문학과 실존주의 - 고석규와 관련하여 ... 277
역사의 문학화, 문학의 역사화 - 「청년 김옥균」 ... 299
金玉均과 東海散士 ... 307
젊은 靑馬의 표정 ... 319
촛불에서 초원에 이르는 길 / 김남조론 ... 324
文學에 있어 傳統繼承의 問題 / 서정주 ; 신경림 ... 331
놀이로서의 문학, 생리로서의 문학 / 이상 ; 박완서 ; 김동리 ... 342
찾아보기 ... 35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