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5
제Ⅰ부 한국 유학사상의 인간 이해
1. 도덕사회적 이해 ... 19
2. 자연주의적 이해 ... 25
3. 형이상학적 이해 ... 34
제Ⅱ부 윤리적 가치의 판단과 행위 규범의 인간학적 성립 근거
1. 윤리적 가치의 발생과 가치 판단의 인간학적 준거 ... 44
2. 성선설(性善說)의 인간학적 성찰 ... 47
3. 성선(性善)의 인식에 따른 행위규범의 성립 ... 52
제Ⅲ부 유학적 인간 이해와 윤리체계의 성립
1. 도덕사회적 이해에 의한 성립 ... 58
2. 자연주의적 이해에 의한 성립 ... 75
3. 형이상학적 이해에 의한 성립 ... 94
1) 자연(自然)은 변화 지향이다 ... 96
2) 자연(自然)은 생성 지향이다 ... 98
3) 자연(自然)은 조화·통일의 질서 체계이다 ... 99
제Ⅳ부 유학적 인간 이해와 예(禮) 문화
1. 예(禮)의 본질 ... 117
2. 예규(禮規)의 성립과 예 문화의 형성 ... 121
3. 사례(四禮)의 인간학적 이해 ... 127
1) 관례(冠禮)와 계례(계禮) ... 131
2) 혼례(婚禮) ... 142
3) 상례(喪禮) ... 173
4) 제례(祭禮) ... 265
제Ⅴ부 한국 전통사회의 민본주의 정치사상과 현대민주주의
1. 민본주의 정치사상의 본질적 이해 ... 293
1) 민본주의 정치사상은 인간의 도덕사회적, 성체론(性體論 : Nature-substance)적 이해를 기초로 성립된다 ... 293
2) 민본주의 정치사상은 국민을 나라의 주체로 확인한다 ... 294
3) 민본주의 정치사상은 인민의 도덕사회적 질서와 그에 터한 사회적 안정 및 경제적 번영을 통치의 목적으로 규정한다 ... 297
4) 민본주의 정치사상은 인민을 통치자의 추대(推戴)와 혁명의 주체로서 확인한다 ... 298
5) 민본주의 정치사상은 정치의 교육적 기능을 중시한다 ... 300
6) 민본주의 정치사상은 통치방법으로서 덕치(德治)와 교육을 중시한다 ... 301
7) 민본주의 정치사상은 평화지상주의이다 ... 304
2. 민본주의 정치사상의 구조적 이해 ... 305
1) 민본주의 정치사상의 구조와 성격 ... 305
2) 민본주의 정치에 있어서의 위정자의 요건 ... 308
3. 민본주의 정치사상과 현대 민주주의 ... 310
1) 민본주의 정치사상과 현대 민주주의의 만남 ... 310
2) 민본주의 정치사상과 현대 민주주의의 상대성(相對性) ... 311
제Ⅵ부 신효윤리체계를 이념 배경으로 하는 민주적 도덕공동체의 형성과 과제
1. 전통적 효윤리 체계와 신 효윤리 체계 ... 320
1) 전통적 효윤리 체계의 인간학적 성찰 ... 320
2) 전통적 효윤리 체계의 자유민주주의와의 만남 ... 325
3) 신효윤리 체계의 개념의 성립 ... 330
2. 민주적 도덕공동체의 형성과 과제 ... 334
1) 신효윤리 체계와 민주적 도덕공동체 ... 334
2) 민주적 도덕공동체 형성의 당위성 ... 336
3) 민주적 도덕공동체 형성의 과제 ... 339
맺는 말 ... 346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