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언론개혁은 제2의 민주화운동이다 ... 7 1부 우리는 왜 조선일보를 거부하는가? 역사가 말하는 조선일보의 진실 ... 23 친일잡지 『조광』과 방일영, 그리고 김대중 주필 ... 49 조선일보 불매운동, 시기상조인가? ... 71 조선일보는 한나라당 기관지인가? ... 79 조선일보는 개혁의 요구를 겸허하게 수용하라 ... 86 조선일보의 대북관은 치매수준 ... 94 우리는 왜 조선일보를 거부하는가 ... 108 조선일보 거부선언 그 후 ... 116 조선일보와 테러저널리즘 ... 124 조선일보반대시민운동의 새로운 지평과 전망 ... 133 2부 우리 시대 지식인·진보는 무엇으로 사는가? 친일언론·언론인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55 국가보안법 폐지운동 바람직한가? ... 172 진보정당은 진보적인가? ... 179 김성구 교수의 한겨레 비판에 대한 반론 ... 186 언론개혁과 언론학자의 처신 ... 194 언론개혁, 정부의 의지를 묻는 지식인들에게 ... 197 3부 함께 가는 정치개혁과 언론개혁 총선시기 언론 모니터, 어떻게 할 것인가 ... 203 '바꿔 열풍'과 신문개혁 ... 209 언론과 선거혁명 ... 212 함께 가는 정치개혁과 언론개혁 ... 220 4·13 총선과 소설가 배수아의 고민 ... 225 공조복원과 총선 민의, 그리고 정계개편 ... 235 이회창과 중앙일보, 그 치명적 얽힘 ... 242 4부 언론개혁, 무엇을 할 것인가 한국 언론의 역사 ... 251 한국 민주주의와 언론 ... 259 한국 언론의 현재와 미래 ... 275 한국 시민언론운동의 과제와 전망 ... 283 시민운동과 언론개혁, 그리고 지역언론 ... 296 인적청산 없이 언론개혁 없다 ... 310 언론단체, 무엇을 할 것인가 ... 313 에필로그 학자로서보다는 언론운동가로 기억되고 싶다 ... 323 추천의 길 극우 기득권세력과의 싸움에 선 정의로운 지식인 / 정연주 ... 337 김동민과 명성의 '정치경제학' / 강준만 ...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