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4
제1장 조선시대 국가운영 시스템과 신분구조의 운영원리
1. 조선초기 신분제에 대한 제설 검토 ... 17
2. 조선 국가의 운영구조 ... 23
1) 국역체제 ... 23
2) 제민정책 ... 31
3. 조선초기 신분구조의 이원적 구성 ... 37
4. 본서의 주요 검토대상과 시기 ... 46
제2장 16세기 국가 재정수요의 증대와 재정운영의 위기
1. 조선시대 국가재정 연구의 동향 ... 51
2. 국가재정 운영방식의 변화 ... 54
1) 국가 재정수요의 증대 ... 54
2) 부세운영체계의 변화 : '정세경·잡역중' 현상 ... 57
3. 국가재정의 만성적 적자상황 ... 63
1) 만성적 재정적자 구조의 정착 ... 63
2) 재정적자의 심화 ... 72
3) 재정적자의 주요 원인 : 왕실 ... 78
4. 국가 운영체계의 위기 ... 82
1) 행정체계의 이완 ... 82
2) 재정기반의 황폐화 ... 86
3) 국가기능의 약화 ... 91
제3장 공민층의 몰락과 국역체제의 해체
1. 조선시대 중장기 사회변동과정으로서의 16세기와 그에 대한 이해방식 ... 95
2. 양인농민층 몰락의 재양상 ... 98
3. 국역체제의 해체과정 ... 107
1) 공민·공전의 감소 : 강원도 영서지방의 사례 ... 107
2) 국역체제의 해체 ... 111
3) 군역 동원방식의 변화 ... 119
4. '양소천다' 현상의 발생과 국가의 대응 ... 125
1) '양소천다' 현상 ... 125
2) 국가의 대응 ... 145
제4장 농장의 발달과 사족층의 성장
1. 역사적 변화대상으로서의 사족층과 그에 대한 이해방식 ... 161
2. 사족층의 경제기반 ... 163
1) 외방유력층의 성장 ... 163
2) 지주제의 발달 : 농장 ... 167
3. 국가의 사족 규정과 사족의 존재형태 ... 176
1) 국가의 사족 규정 ... 176
2) 사족의 존재형태 : 안동 이훈가의 사례 ... 189
4. 사족층의 사회경제적 성장추이 ... 211
1) 사족의 외연 확대 ... 211
2) 사족층의 성장과 지주제와의 관련성 ... 220
제5장 반상제의 대두와 그 한계
1. '사족'과 '양반관료제사회'의 성립시점에 대한 이해 ... 227
2. 사족층의 존립요건 : 관직 ... 231
1) 관료후보군의 증대 ... 231
2) 폐쇄적 관직진출로의 확보 ... 234
3. 사족층의 양반(문·무반) 관직 진출사례 ... 242
4. 반상제의 대두 ... 249
1) 사족 동류집단간의 유대와 결속 ... 249
2) 비사족층에 대한 차별 강화 ... 257
5. 국가의 사족정책 ... 265
1) '전가사변' 정책 ... 265
2) 충군정책 ... 277
3) 향촌자치에 대한 통제 ... 290
(부표) ... 301
제6장 임진왜란 시기 상인층의 동향과 사족층의 대응
1. 임진왜란사 연구동향 ... 305
2. 임진왜란 직전의 사회상 ... 308
1) 부세구조의 문제점 ... 308
2) 사족-상인간의 갈등 ... 324
3) 조선사회의 구조적 모순 ... 328
3. 전란시기 상인·사족의 동향 ... 333
1) 상인층의 동향 ... 333
2) 사족층의 대응 ... 336
4. 전란시기 사족층의 역할 ... 341
1) 의병활동 ... 341
2) '광취무과'의 지원과 납속수직 ... 354
제7장 전후 복구사업의 전개와 사족층의 동향
1. 임진왜란 전후 시기의 사회변동에 대한 이해 ... 373
2. 전란 및 이후 시기의 경제상황 ... 378
3. 사족층 주도의 전후 복구사업 ... 388
1) 개간사업 추진 ... 388
2) 노비에 대한 지배권 강화 ... 393
4. 경제기반의 확보 ... 403
1) '여민휴식'정책의 추진과 농장의 발달 ... 403
2) 소비수준의 회복 ... 418
제8장 반상제의 확립과 '사족지배구조'의 정착
1. 신분사와 향촌사회사의 접합점 : '사족지배구조' ... 423
2. 향촌사회의 재편 ... 426
3. 향론의 분열 : 경남우도의 경우 ... 431
1) 경남우도의 향풍 ... 431
2) 향론분열의 사례 : 함양 남계서원을 중심으로 ... 434
3) 북인세력의 결집과 정치세력화 ... 438
4. 충군정책의 실시와 사족층의 대응 ... 442
1) 전후 국방 증강사업의 추진 ... 442
2) 충군정책의 실시 ... 446
3) 호패법의 실시 ... 452
5. 사족지배구조의 정착 ... 460
1) 반상제의 확립 ... 460
2) 사족우위 사회로의 전환 ... 464
제9장 정리와 종합
1. 16세기 국가 재정운영방식의 변화와 공족 운영체계의 마비 ... 471
1) 16세기 국가재정의 운영과 부세구조의 특성 ... 471
2) 공적 운영체계의 마비 ... 473
2. 공민층의 몰락과 국역체제의 해체 ... 474
1) 공민과 공전의 급격한 감소 ... 474
2) '양소천다' 현상의 발생 ... 476
3) 국역체제 해체의 단계별 추이 ... 477
3. 농장의 발달과 사족층의 성장 ... 480
1) 외방유력층의 성장 ... 480
2) 특권계층으로서의 공인 : 사족 ... 481
3) 사림파의 등장과 집권의 역사적 의의 ... 482
4) 16세기 농장의 발달과 그 특성 ... 484
4. 반상제의 대두 ... 485
1) 사족층의 관직독점 ... 485
2) 사족정책의 변화 ... 486
3) 사족층 성장의 신분사적 의의 ... 488
5. 임진왜란 시기 사족층의 역할 ... 490
1) 16세기 사회구조에 대한 이해 ... 490
2) 임진왜란 발발 이후 사족층의 활동 ... 492
6. 전후 복구사업의 전개 ... 494
1) '여민휴식'정책의 추진 ... 494
2) 사족층의 경제적 안정화 ... 495
7. 사족지배구조의 정착 ... 496
1) 향촌사회의 재편과 사족층의 분열 ... 496
2) 반상제와 사족지배구조의 정착 ... 497
8. 조선중기 중장기 사회변동의 추이 ... 498
9. 종합 : '국가↔민'의 관계로부터 '국가↔사족↔민'의 관계로의 변화 ... 501
참고문헌 ... 507
찾아보기 ... 519
Abstract ... 533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