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문학사의 연속론 - 전통과의 화해와 굴절
1920·1930년대 전통시 흐름의 문학 사회적 배경 ... 11
Ⅰ. 서정시와 문학사의 연속 문제 ... 12
Ⅱ. 전통시 흐름의 이론적 전개 ... 17
Ⅲ. 『조선문단』지와 『문장』지의 역할 ... 58
Ⅳ. 전통 서정시 흐름의 원류 - 평북 정주 지역의 문학과 풍토 ... 102
문학사 연속성의 시인론 ... 129
Ⅰ. 전통시 실험의 두 양상 - 김소월과 정지용 ... 130
Ⅱ. 김소월론 ... 155
Ⅲ. 정지용론-무욕의 철학, 노·장의 세계 ... 216
Ⅳ. 백석론-엮음구조와 사설시조와의 관계 ... 238
Ⅴ. 신경림론-시의 구조와 담론 ... 258
제2부 현대시 변혁과 새로움의 탐구
상징주의와 근대시 ... 281
Ⅰ. 상징주의의 수용과 한국 근대시의 정착 ... 282
박인환과 50년대 모더니즘 시의 양상 ... 311
Ⅰ. 박인환 시의 문학사적 허구 ... 312
Ⅱ. 박인환의 시 「목마와 숙녀」 ... 325
닫기